• 제목/요약/키워드: 3T3-L 1

검색결과 5,076건 처리시간 0.037초

레몬그라스 에탄올 추출물의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Cymbopogon Citratus Ethanol Extracts on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조용석;주성민;황금희;김민숙;김광상;전병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24
    • /
    • 2019
  • Cymbopogon citratus, commonly know as lemongrass, prossesses strong antioxidant, anti-tumor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Howerver, its anti-obesity activity remains to be elucida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Cymbopogon citratus on adipogenesis, and its underlying mechanism, in 3T3-L1 preadipocyt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ethanol extracts of Cymbopogon citratus effectively suppressed intercellular lipid accumulation at non-toxic concentrations, and was associated with the down-regulation of adipocyt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C/EBP{\alpha}$ and $PPAR{\gamma}$, and phosphorylation of $AMPK{\alpha}$. Furthermore, ethanol extracts of Cymbopogon citratus increased p21 and p21 expression, while the expression of CDK2, cyclin A and cyclin B1 was reduced. As a result, ethanol extracts of Cymbopogon citratus seems to induce G0/G1 cell cycle arrest of 3T3-L1 cells. On the other hand, ERK and Akt signaling pathways were not involved in anti-adipogenesis by ethanol extracts of Cymbopogon citratus. Taken together, theses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extracts of Cymbopogon citratus inhibits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and can be used as a safe and efficient natural substance to manage anti-obesity.

한국 남성의 혈중 Luteinizing Hormone과 Testosterone 수준의 연령-관련 변화 (Age-related Changes in Luteinizing Hormone and Testosterone Levels in Korean Men)

  • 이성호;안련섭;권혁방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57-66
    • /
    • 2008
  • 한국 남성의 연령 증가에 따른 혈중 luteinizing hormone(LH), testosterone(T), 그리고 타액 T 수준 변화를 조사하였다. 혈중LH 수준은 40대까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20s, $2.5{\sim}1.0$; 30s, $2.7{\sim}1.5$; and 40s, $2.5{\sim}1.8\;mIU/mL$), 50대 이상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50s, $3.7{\sim}1.8$ and 60s, $3.1{\sim}1.7\;mIU/mL$). 또한, 혈중 T 수준도 40대까지는 변화하지 않았으나(20s, $5.3{\sim}2.6$, 30s, $4.4{\sim}1.4$, 40s, $4.1{\sim}1.5$ ng/mL), 50대 이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50s, $3.4{\sim}1.5$; 60s, $2.6{\sim}0.8\;ng/mL$). 타액 T 수준 또한 40대까지 약간의 변화가 나타났으나($20s{\sim}40s$, $0.11{\pm}0.015\;ng/mL$), 50대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0.08{\sim}0.03\;ng/mL$). 타액 T 대 혈중 T의 상대적인 비율은 모든 연령대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2.4{\sim}0.9%$). 직선회귀 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에서 혈중 LH 수준은 매년 1.5%씩 증가하고 혈중 T와 타액 T 수준은 각각 매년 1%와 0.8%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혈중 T/LH 비율은 40대까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20s{\sim}40s$; $2.27{\pm}0.14$) 50대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2{\sim}1.0$). 연령과 관련된 타액 T/LH 비율은 혈중 T/LH 비율과 대단히 유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혈중 LH와 T, 그리고 타액 T 수준이 한국인 남성에서 40대까지는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고, 50대부터는 LH 수준이 증가하고 T 수준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50대경 노화과정에 의해 일어나는 원발성 정소부전(primary testicular failure)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비록 타액 T 수준이 혈중 총 T 수준과 약한 상관관계(r=0.53)를 갖지만, 혈중 free T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타액 T 수준에 대한 정보는 연령과 관련해서 나타나는 남성 정소생리를 연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천연물질을 이용한 반추동물 항생제 대체용 미량광물질 및 천연유화제의 이용 (Supplmentation of the Mineral and Surfactant for Replacement of Antibiotics for Ruminant Aninmal)

  • 이수록;김삼철;최낙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63-272
    • /
    • 2016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clusion of chromium propionate (Cr-P) and lysophopholipid (LPL) in diet on blood parameter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 Feeding trial was performed from late fattening period to slaughter and blood parameters (insulin, blood glucose and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concentration) and meat quality were examined. Total 4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control (no addition), T1 (Cr-P 0.2%), T2 (LPL 0.2%) and T3 (Cr-P 0.1% + LPL 0.1%) were employed. For blood parameters, insulin concentration in T1 and T3 showed an elevating patterns from $3.13{\mu}U/mL$ to $3.35{\mu}U/mL$ (T1) and from $4.38{\mu}U/mL$ to $5.23{\mu}U/mL$ (T3). The changes of NEFA in all groups were detected as a decreasing patterns according to days of feeding.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growth performance, T2 showed greater daily gain and T1 showed greater carcass yield compared to other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ce in difference. In meat quality, T1 showed greater yield and intra-muscular fat levels and lower sharing force compared to other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detected.

무막줄기세포추출물의 3T3-L1 세포에서 포도당 흡수 촉진 효과 (Membrane Free Stem Cell Extract from Adipose Tissue Enhances Glucose Uptake in 3T3-L1 Cells)

  • 김지현;김민정;박혜숙;김영실;조은주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9-96
    • /
    • 2019
  • Objectives: We investigated whether membrane free stem cell extract from adipose tissue (MFSCE) has anti-diabetic effect. Methods: To determine glucose uptake effect of MFSCE, we carried out glucose uptake assay in 3T3-L1 adipocytes. The regulatory mechanisms of MFSCE on glucose uptake were exa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When MFSCE was treated to adipocytes at the concentration of 0.5, 1, 2.5, and 5 ㎍/mL, 2-deoxyglucose-6-phosphate uptake was elevated approximately 1.8-fold compared to cells not treated with MFSCE. It indicated that MFSCE enhances glucose uptake in 3T3-L1 adipocytes. In addition, MFSCE reduced phosphorylation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1 at serine 307 and induced Akt and glucose transporter 4 protein expressions that were related to insulin signaling. Furthermore, MFSCE regulated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pathway by increases of increas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acetyl-CoA carboxylase that were related to AMPK pathway.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FSCE promotes glucose uptake via modulation of insulin signaling and AMPK pathway. Therefore, MFSCE could be a promising agent for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through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of ethanol extract from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Root)

  • 김성옥;정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27-133
    • /
    • 2019
  • 본 연구는 3T3-L1 세포로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뿌리 에탄올 추출물(TKM)의 항비만 활성을 조사하였다. TKM 처리 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억제를 통한 지방생성 억제에 초점을 두었다.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100ug/ml 농도에서 TG 함량을 현저히 억제하고, 세포 초기분화 전사인자 $PPAR{\gamma}$, $C/EBP{\alpha}$, SREBP-1c의 발현 억제, 세포내 에너지 향상성 조절인자 pAMPK, 중성지방산의 합성분해 조절인자 pACC, CPT-1, 지방산 합성 효소(FAS) 발현 억제, 호르몬자극지방분해 효소(HSL) 활성화 등 지방합성 관련인자들의 발현 조절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TKM은 지방세포 분화와 지방대사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지방 생성과 축적 저해 효능을 보여 항비만 융합치료제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국인 다소비 채소의 에탄올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와 HepG2 간장세포의 지질축적, MCP-1과 Adiponectin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Commonly Consumed Vegetables in Korea on Differentiation and Secretion of MCP-1 and Adiponectin in 3T3-L1 Adipocytes and Lipid Accumulation in HepG2 Hepatocytes)

  • 안은미;강현주;김영;최정숙;강민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9-110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인이 다소비하는 채소 중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관련연구 문헌을 통하여 9가지를 선정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와 HepG2 간장세포를 이용하여 채소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비만과 대사증후군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T3-L1 지방전구세포와 HepG2 간장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은 고사리 0.01~0.1 mg/mL 농도에서, 나머지 8가지 시료는 0.02~0.2 mg/mL의 농도에서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의 Oil-red O 결과, 고사리를 제외한 8가지 시료는 한 가지 이상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시료에 따라 지방분화율을 25~90% 정도 감소시켰다. 그 중에서 쑥갓(0.02 mg/mL, 68%; 0.2 mg/mL, 61%)과 쑥(0.02 mg/mL, 57%; 0.2 mg/mL 90%)의 에탄올 추출물은 50% 이상의 지방분화 저해율을 보였다. 3.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분화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다소비 채소 7가지에 대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MCP-1 단백질 분비를 측정하였을 때, 애호박, 부추, 쑥갓과 쑥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4. Adiponectin의 단백질 분비는 7가지 시료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유전자 발현은 애호박, 부추, 쑥갓과 쑥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분화 관련 유전자인 PPAR-${\gamma}$의 발현은 쑥, aP2의 발현은 부추와 쑥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5. 비만에 의한 NAFLD의 모델로, HepG2 간장세포에 oleic acid를 처리하여 지방 독성을 유발한 후 채소의 8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시료의 농도에 따른 지질축적 저해율의 차이는 있었지만, 9가지 시료 모두에서 간장세포의 지질축적을 저해하였다. 그 중 부추(0.02 mg/mL, 26%; 0.2 mg/mL, 29%)와 고구마줄기(0.02 mg/mL, 25%; 0.2 mg/mL, 20%) 에탄올 추출물은 처리한 농도 모두에서 감소 효과가 있었으며, 저농도에서 고농도 수준의 감소 효과를 보였다. 6. 지방과 간장세포의 지질축적 억제, 지방세포에서 과분비된 MCP-1의 감소, 지방분화관련 유전자의 발현 감소 효과가 있는 시료로 애호박, 부추, 쑥갓과 쑥이 선정되었다.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AMPK signaling pathway를 통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adipogenesis 억제에 관한 연구 (Ethanol Extracts of Citrus Peel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AMPK Signaling Pathway in 3T3-L1 Preadipocytes)

  • 조현균;한민호;홍수현;최영현;박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5-2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진피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s of citrus peel, EECP)이 유발하는 항비만 효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3T3-L1 세포의 생존율 및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의 EECP를 처리하였을 경우 지방세포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lipid droplet의 형성과 triglyceride의 생성도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EECP가 유발하는 지방세포로의 분화억제에는 PPARγ, C/EBPα, C/EBPβ 및 SREBP-1c 등과 같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의 발현억제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로 aP2 및 Leptin과 같은 adipocyte expressed genes의 발현도 억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EECP는 AMPK 및 ACC의 인산화를 유발하였으며, AMPK 억제제인 Compound C를 이용하여 AMPK의 활성을 억제하였을 경우 EECP에 의한 AMPK의 인산화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의 억제현상이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EECP는 AMPK signaling pathway를 통하여 항비만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비만 예방 및 억제와 관련된 기능성 소재로서의 진피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Methanol extract of Elsholtzia fruticosa promotes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 Deumaya Shrestha;Eunbin Kim;Krishna K. Shrestha;Sung-Suk Suh;Sung-Hak Kim;Jong Bae Se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6권1호
    • /
    • pp.204-218
    • /
    • 2024
  • Elsholtzia fruticosa (EF) is present in tropical regions throughout South Asian countries as well as the Himalayas. Although i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digestive, respiratory, and inflammatory issues, its effect on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is unknow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a m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EF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Cell differentiation was assess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and oil-red O staining.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and lipogenic genes, including PPARγ and C/EBPα,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to provide insight into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mechanis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F promotes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with elevated lipid accumulation occurring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out apparent cytotoxicity. EF enhances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and lipogenic genes, including PPARγ, FABP4, adiponectin, and FAS,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The effect of EF was more pronounced during the early and middle stages of 3T3-L1 cell differentiation. Treatment with EF decreased C/EBP homologous protein (CHOP) mRNA and protein levels, while increasing C/EBPα and PPARγ expression. Treatment with EF resulted in the upregulation of cyclin E and CDK2 gene expression within 24 h, followed by a decrease at 48 h, demonstrating the early-stage impact of EF. A concomitant increase in cyclin-D1 levels was observed compared with untreated cells, indicating that EF modulates lipogenic and adipogenic genes through intricate mechanisms involving CHOP and cell cycle pathways. In summary, EF induces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and lipogenic genes, possibly through CHOP and cell cycle-dependent mechanisms.

보중치습탕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지방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Bojungchiseub-tang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이수정;김원일;강경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8-295
    • /
    • 2014
  • Bojungchiseub-tang (BJCST) has been used in symptoms and signs of edema, dampness-phlegm, kidney failure, and so on. BJCST is also expected to have strong anti-obesity activit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mechanisms of its inhibitory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and mechanism of BJCST on transcription factors and adipogenic genes of 3T3-L1 preadipocytes to understand its inhibitory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Our results showed that BJCST significantly inhibited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of 3T3-L1 preadipocytes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effects of BJCST on lowering lipid content in 3T3-L1 adipocytes, we examined whether BJCST modulate the expressions of transcription factors to induce adipogenesis and adipogenic genes related to regulate accumulation of lipids. As a result, the expression of steroid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SREBP)1, cytidine-cytidine-adenosine-adenosine-thymidine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alpha}$ ($C/EBP{\alpha}$), $C/EBP{\beta}$, $C/EBP{\delta}$,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genes, which induce the adipose differentiation, liver X receptor $(LXR){\alpha}$ and fatty acid synthase (FAS) genes, which induce lipogenesis and adipose-specific aP2, Adipsin, lipoprotein lipase (LPL), CD36, TGF-${\beta}$, leptin and adiponectin genes, which compose fat formation were decreased. BJCST also reduced the expression of acyl CoA oxidase (ACO) and uncoupling protein (UCP) genes related to lipid oxidation. In conclusion, BJCST could regulate transcript factor related to induction of adipose differentiation and inhibited the accumulation of lipids and expression of adipogenic genes.

Ceriporia lacerata 균사체 배양물이 3T3-L1 세포에서 인슐린 신호 전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merged Culture of Ceriporia lacerata Mycelium on Insulin Signaling Pathway in 3T3-L1 Cell)

  • 신은지;김지은;;박용만;윤성균;장병철;이삼빈;김병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5-33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항당뇨 효능이 확인된 Ceriporia lacerata 균사체 배양물 건조물(CL01)을 3T3-L1 세포에 인슐린과 병용 혹은 단독 처리하여 CL01이 세포 단계에서 인슐린 신호 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화된 3T3-L1 세포에서 포도당 흡수 정도를 측정한 결과, 인슐린과 CL01을 병용 처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포도당 흡수 정도가 증가하였고, 인슐린 부재 상태에서 CL01을 처리하였을 때는 포도당 흡수 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화된 세포에서 인슐린 신호 전달 관련 단백질 및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IRβ, Akt, PI3K, AMPK 단백질의 인산화가 진행되었고, GLUT4 mRNA 발현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를 통해 CL01이 당 대사 및 인슐린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유관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세포 내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