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G/4G

검색결과 28,329건 처리시간 0.054초

제4차 산업혁명 활성화를 위한 5G 추가 주파수 공급의 전략적인 의견 (Strategic Reviews on Promo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Supplying 5G Additional Frequency)

  • 박승근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6호
    • /
    • pp.1-16
    • /
    • 2019
  • The paper presents five strategic opinions for promoting the fourth industry revolution through the supply of 5G additional frequency. The assessments are on the basis of 5G frequency utiliza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with reference to 3GPP 5G New Radio standards, after investigating the domestic 1G, 2G, 3G, 4G, and 5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s well as the use of mobile radio frequency and spectrum. The presented opinions contain the frequency supply of contiguous-wide bandwidth channels, harmonized frequency supply between licensed and unlicensed spectrum, the existing 4G frequency recycle for increasing 5G coverage and capacity, balance frequency supply in the multi-band for 5G services, and the development of 5G vertical frequency for industry. The aim is that the presented five strategic opinions can offer guidance for the upcoming plan of domestic 5G additional frequency supply.

Expression of Glypican-3 in Mouse Embryo Stem Cells and its Derived Hepatic Lineage Cells Treated with Diethylnitrosamine in vitro

  • Kim, Young Hee;Kang, Jin Seo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341-6345
    • /
    • 2013
  • To clarify the role of stem cells in hepatocarcinogenesis, glypican-3 (GPC-3) and E-cadherin expression was investigated in embryonic cell lineages. Mouse embryonic stem cells (ESCs), hepatic progenitor cells (HPCs) and hepatocyte like cells (HCs), representing 0, 22 and 40 days of differentiation, respectively, were treated in vitro with diethylnitrosamine (DEN) at four doses (0, 1, 5 and 15 mM; G1, G2, G3 and G4, respectively) for 24 h and GPC-3 and E-cadherin expression was examined by relative quantitative real-time PCR and immunocytochemistry. GPC-3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G4 at day 0 (p<0.001) and for G4 at day 22 (p<0.01) compared with the control (G1). E-cadherin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G3 and G4 at day 0 (p<0.05 and p<0.001, respectively), for G2 and G4 (p<0.05 and p<0.001, respectively) at day 22 and for G2 and G4 (p<0.01 and p<0.001, respectively) at day 40 compared with G1. Immunofluorescence staining for GPC-3 showed a membranous and/or granular expression in cytoplasm of ESCs and HPCs and granular and/or diffuse expression in cytoplasm of HCs, which were also stained by E-cadherin. DEN treatment increased GPC-3 expression in ESCs, HPCs and HCs, with increase of E-cadherin expression. Taken together, the expression of GPC-3 was altered by DEN treatment. However, its expression pattern was different at the stage of embryo stem cells and its derived hepatic lineage cells. This suggests that GPC-3 expression may be modulated in the progeny of stem cells during their differentiation toward hepatocytes, associated with E-cadherin expression.

최근 5년간 부산지역의 미세먼지(PM10)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 (PM10) Concentration in Busan for Five Years)

  • 전병일;황용식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6호
    • /
    • pp.533-542
    • /
    • 2007
  •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 and meteorological analysis of high $PM_{10}$ concentration day which was over $100{\mu}g/m^3$ in busan were investigated for period of 2002 to 2006. Annual mean concentration including Asian dust day was $68.7{\mu}g/m^3$ in 2002, $54.6{\mu}g/m^3$ in 2003, $60.4{\mu}g/m^3$ in 2004, $58.3{\mu}g/m^3$ in 2005 and $58.8{\mu}g/m^3$ in 2006, respectively. Seasonal mean concentration was $73.4{\mu}g/m^3$ in Springtime, $56.8{\mu}g/m^3$ in Summertime, $55.5{\mu}g/m^3$ in Wintertime and $54.4{\mu}g/m^3$ in Falltime, respectively. Mean concentration for land use was 69.2 $37.0{\mu}g/m^3$ in industrial area, 64.2 $35.5{\mu}g/m^3$ in rural area, 62.6 $34.4{\mu}g/m^3$ in commercial area and 55.3 $33.8{\mu}g/m^3$ in residential area, respectively. Frequency of synoptic pattern for high $PM_{10}$ concentration day was 18 days(16.7%) in I type, 27 days(25.0%) in II type, 10 days(9.3%) in III type, 5 days(4.6%) in IV type, 13 days(12.0%) in V type and 29 days (26.9%) in VI type, respectively. Frequency of long range transport sector for high $PM_{10}$ concentration day was 9 days(8.3%) in I type, 64 days(59.5%) in II type, 34 days(31.5%) in III type, 1 days in IV type, 0 days, respectively.

어획어종의 다변량분석에 의한 1인승 연안어선의 분류 (Classification of One-Crewmen Coastal Fishing Boats by the Fish Species caught with A Multivariate Analysis)

  • 정동근;최찬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9권2호
    • /
    • pp.222-235
    • /
    • 1997
  • 천엽현암화전(千葉縣岩和田)어업협동조합에 소속하는 1인승어선이 어획한 7어종항목에 대해서 어획금액이 높은 어종항목으로 어선을 분류하여, 다시 이들을 판별함수로 분류한 결과, 6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들 그룹은, 방어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1그룹, 넙치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2그룹, 가다랭이 참치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3그룹, 오징어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4그룹, 저서어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5그룹, 기타어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6그룹이다. 1인승어선 총척수의 대부분의 평균어획금액은 10년동안 400만엔에 미치지 못하는 G1, G2 및 G6그룹에 속하고, 전업어업에 종사하지 않는 어선들이었다. 그리고, 7어종의 어획금액에 관해서 주성분분석을 행하여, 제1주성분에서 제4주성분의 주성분득점으로 각 그룹을 고찰한 결과, 끌낚시어업에 의한 방어류와 넙치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1 G2그룹, 가다랭이 참치류와 오징어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3 G4그룹과 저서어류를 포함하는 G5그룹, G1 G2그룹과 유사하지만 자망에 의한 어획이 주된 G6그룹의 3그룹으로 다시 크게 분류할 수 있었다. 그러나, G1 G2그룹과 G3 G4 G5그룹의 일부분이 중복된 것에 대해서의 해석은 앞으로의 연구과제라 할 수 있다.

  • PDF

튜브식 겔형 납축전지에 있어서 활물질 밀도에 따른 싸이클 수명 특성 (Influence of Filling Density in the Positive Active-material on the Cycle-life Performance of the Tubular Type Gelled Valve Regulated Lead Acid Batteries)

  • 윤연섭;김병관;이수;김규태
    • 공업화학
    • /
    • 제10권3호
    • /
    • pp.415-418
    • /
    • 1999
  • 튜브식 양극판과 겔전해액을 사용한 VRLA (valve regulated Iead-acid) 전지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 (active material)의 충전 밀도에 따른 충 방전 싸이클 특성을 고찰하였다. VRLA전지에 사용된 양극 활물질의 밀도는 각각 3.2g/mL, 3.4g/mL 및 3.6g/ml 이었다. VRLA전지는 IU 방식 ($I_{max}=0.2C_{10}/10$, 상한 전압 2.40 v/cell)의 충전과, D.O.D 100%/C5의 방전 방법으로 충 방전 싸이클 수명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25{\pm}1^{\circ}C$의 항온항습기에서 실행하였다. 시험 결과 활물질 밀도별 VRLA전지의 초기 용량은 밀도와 무관하였다. 즉 3.4g/mL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3.6g/mL에서 가장 낮았다. 충 방전 싸이클에서의 특성은 3.6g/mL인 전지는 3.4g/mL와 거의 유사하였고, 3.2g/mL보다는 크게 우수하였다. 또한 VRLA 전지의 수분고갈 및 열화는 양극 활물질의 충전 밀도가 높을수록 적었다. 이상으로 충 방전 싸이클용 VRLA전지의 양극 활물질의 밀도는 3.4~3.6g/mL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Nutrient Utilization and Compensatory Growth in Crossbred (Bos indicus×Bos taurus) Calves

  • Santra, A.;Pathak, N.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8호
    • /
    • pp.1285-1291
    • /
    • 1999
  •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over 238 day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mpensatory growth in crossbred calves having 166 kg body weight. Fifteen crossbred calv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five calves (G1 group) and ten calves (G2 group) as per randomized block design. Growth study was conducted on the feeding of wheat straw based diet containing 60 and 30 percent concentrate supplying equal amount of protein in group G1 and G2 respectively for 119 days (phase - I). At the end of phase-I, calves of G2 group were subdivided in to two groups (G3 and G4). One sub group (G4) received 60% concentrate in their diet (during 120 to 238 days of experiment) while other subgroup G3 received 30% concentrate in their diet (phase-II). The calves of G1 group continued to receive the same diet as during phase-I experiment. Mean DM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lves fed high level of concentrate (in G1 and G4 groups), which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digestibility of all nutrients except NDF. Nitrogen balance was positive in all the group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ase-II (higher nitrogen retention in G4 group than G1 group). ME intak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evel of dietary concentrate, being higher in high concentrate fed group (G1 and G4 than G2 and G3 group). Higher daily body weight gain in the calves of G4 group during phase-II than in G1 and G3 groups was due to compensatory growth on shifting animals from low concentrate to high concentrate based ration.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phase-I than in the phase-II. Protein and energy intake per unit body weight gai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alves fed high concentrate diet.

식품첨가물중(食品添加物中) 유해미량금속(有害微量金屬) 함량(含量)에 관(關)하여 (Investigation on Harmful Trace Elements in Some Food Additives)

  • 김정옥;송재철;양한철;하영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3호
    • /
    • pp.25-32
    • /
    • 1979
  • 한국(韓國) 식품가공(食品加工)에 상용(常用)하고 있는 식품첨가물중(食品添加物中)의 유해금속원소(有害金屬元素)의 함량(含量)을 조사검토(調査檢討)하기 위(爲)하여 착향과(着香料) 7종(種), 착색과(着色料)3종(種), 산미과(酸味料)4종(種), 팽장제(膨腸劑)4종(種), 유화제(乳化劑)(2종(種)), 호료(糊料)2종(種), 항산화제(抗酸化劑)2종(種), 강화제(强化劑)2종(種), 조미료(調味料(3종(種)), 식품품질개량제(食品品質改良劑)(10종(種)의 유해금속(有害金屬)을 APDC-MIBK추출법(抽出法)으로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대부분(大部分)의 식품첨가물(食品添加物)은 유해금속(有害金屬을) 비교적(比較的) 적게 함유(含有)하고 있었으나 sodium, carbonate, 식용황색색(食用叢色色), 5호(號), 식용청색색소(食用靑色色素) 1호(號), 식용적색색소(食用赤色色素) 2호(號) 및 면류첨가알카리제는 다소(多少) 다량(多量)으로 함유(含有)하고 있다. 이들 식품첨가물(食品添加物의) 유해금속(有害金雇)의 함량(含量)은 다음과 같다. 1) sodium carbonate Cd: 16.77 $16.77{\mu}g/g.$ Pb: $61.55{\mu}g/g$이었다. 2) 식용황색색소(食用黃色色素) 5호(號)는 Cd: $1.67{\mu}g/g$, Pb: $23.46{\mu}g/g$이었다. 3) 식용청색색소(食用靑色色素) 1호(號)는 Cd: $1.16{\mu}g/g$, Pb: $12.13{\mu}g/g$이었다. 4) 식용적색색소(食用赤色色素) 2호(號)는 Cd: $1.91{\mu}g/g$, Pb: $23.08{\mu}g/g$이었다. 5) 면류 첨가(添加)알카리제는 Cd: $6.11{\mu}g/g$, Pb: $53.85{\mu}g/g$ 이었다.

  • PDF

전북지방에서 생산된 가축사료내 납 함량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Lead Contents of Feedstuffs Produced in Chonbuk Area)

  • 권오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73-276
    • /
    • 1992
  •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valuate the lead contents of various feedstuffs produced in Chonbuk area. Fifty-fiv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5 regions. All of the samples were dry-ashed and analyzed for lead content using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ed : 1. The lead content in $\mu\textrm{g}$/g of agriculture by-products were measured with the following mean values and ranges : soybean pod 7.01${\pm}$2.49(4.71∼10.66), rice bran 4.56${\pm}$0.90(3.17∼5.65), rice straw 3.89${\pm}$2.01(1.29∼6.33), rice hull 1.92${\pm}$1.77(0∼3.63). 2. The lead content in $\mu\textrm{g}$/g of pasture plants were measured with the following mean values and ranges : kudzu 20.29${\pm}$4.75(14.84∼25.34), clover 13.92${\pm}$2.68(10.17∼16.44), lespedeza 10.91${\pm}$9.00 (3.35∼23.54), sagebrush 10.75${\pm}$3.28(5.14∼13.18), Korean lawn grass 5.05${\pm}$2.29(2.57∼7.79), cornstalk 3.91${\pm}$2.55(0.50∼7.22), reed 2.92${\pm}$1.88(0.50∼5.73). 3. Seventeen samples (30.9%) out of 55 samples showed lead content of more than 10$\mu\textrm{g}$/g which are said to be the upper limit value for all animals. 4. The regional mean v짓ues for 리1 kinds of samples were Wanju-gun 10.02${\pm}$8.55$\mu\textrm{g}$/g, Mooju-gun 8.16${\pm}$4.91$\mu\textrm{g}$/g, Namwon-gun 7.09${\pm}$4.59$\mu\textrm{g}$/g, Okgu-gun 7.06${\pm}$7.11$\mu\textrm{g}$/g, Jeongup-gun 6.35${\pm}$6.50$\mu\textrm{g}$/g.

  • PDF

한국인 일부 아동에서 식이성 단백질의 흡수 및 평형 (Protein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Korean Children)

  • 오승호;이성숙;이경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5-231
    • /
    • 1996
  • 본 연구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식이성 단백질의 소화 흡수율 체내 평형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국민학교 남자아동 8명, 여자아동 7명을 대상으로 4주간 평상시와 유사한 식단과 생활양식을 유지시키면서 각 대상자들이 섭취하는 동량의 모든 음식물과 배설한 대변 및 소변을 수거하여 질소 함량을 측정하므로서 1일 1인당 단백질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였고 이로부터 외견적 소화흡수율과 체내 평형상태를 구하였다. 단백질 섭취량은 남자아동은 43.6~61.6g 범위로 평균 $52.3\pm1.2g이었으며$ 여자아동은 34.6~50.6g 범위로 평균 $43.1\pm1.3g이었다.$ 대변중 단백질 배설량은 남자아동은 7.3~11.1g 범위로 평균 $9.2\pm0.3g이었으며$ 여자아동은 6.7~8.9g 범위로 평균 $7.8\pm0.2g이었다.$ 단백질 흡수율은 남자아동은 79.2~85.6%범위로 평균 $81.9\pm0.6%이었으며$ 여자아동은 79.6~84.5% 범위로 평균 $81.3\pm0.4%로$ 상호 유사하였으며 이들은 다른 연령층을 대상으로한 단백질 흡수율(80~85%)과 비슷하였다. 소변으로의 1일 질소 배설량은 남자아동은 4.4~5.0g 범위로 평균 $5.3\pm0.1g이었으며,$ 여자아동은 3.1~5.3g 범위로 평균 $3.9\pm0.2g이었으며$ 대변 및 소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을 감안한 질소 평형 상태는 남자아동은 +1.0~2.6g의 범위로 $1.60\pm0.1g의$ 양의 평형이었으며 여자아동은 1.4~2.1g의 범위로 평균 $1.7\pm0.1g의$ 양의 평형이었다.

  • PDF

시판 동물성 식품의 오염지표세균 분포 및 저장온도, 기간별 오염지표세균의 변화 (Distribution of Indicator Organisms and Influence of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in Commercial Animal Foods)

  • 이용욱;박석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30-440
    • /
    • 1998
  • 식육류에서의 오염지표세균의 분포를 보면 돈육에서는 일반세균 19/g, 대장균군 1.8/g, 저온세균 15/g, 종석영양세균 12/g, 분원성연쇄상구균 6.2/100 g, 슈도모나스 13/100 g이었으며, 내열성세균 및 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우육에서는 일반세균수 $1.3{\times}10^{2}/g$, 대잔균군 5.2/g, 저온세균 $1.4{\times}10^{2}/g$, 종속영양세균 28/g, 포도상구균 1.2/g, 분원성연쇄상구균 9.5/100 g, 슈도모나스균 1.9/100 g이었으며 내열성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계육은 일반세균수 $8.8{\times}10^{3}/g$, 대장균군 53/g, 저온 세균 $4.6{\times}10^{3}/g,\;종속영양세균\;4.7{\times}10^{3}/g$ 분원성연쇄상구균 9.9/100g, 슈모나스균 1.5/100 g이었으며, 내열성세균 및 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우유에서는 일반세균 $4.7{\times}10^{3}/m;\l,\;저온세균\;1.2{\times}10^{2}/ml,\;종속영양세균\;4.2{\times}10^{2}/ml$이었으며, 대장균군, 내열성세균, 포도상구균, 분원성연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치즈에서는 일반세균 3.2/g, 저온세균 2.3/g, 종속영양세균 1.6/g, 포도상구균 1/g, 분원성연쇄상구균 9.1/100g 이었으며, 대장균군, 저온세균, 종속영양세균, 포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치즈에서는 일반세균 3.2g, 저온세균 2.3/g, 종속영양배균 1.6/g, 포도 상구균 1/g, 분원성연쇄상구균 9/100 g이었으며, 대장균군, 내열성세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발효유에서는 유산균의 영향을 받아 일반세균수 $1{\times}10^{7}/ml,\;내열성세균\,1.0{\times}10^{6}/ml,\;분원성연쇄상구균\;2.4{\times}10^3/100\,m;,\;유산균수\;3.2{\times}10^{15}/ml$이었으며, 대장균군, 저온세균, 종속영양세균, 포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 밖의 햄, 소시지, 버터, 계란, 메추리알에서는 오렴지표세균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시판동물성 식품을 $10^{\circ}C,\;20^{\circ}C\;30^{\circ}C$에서 보관하면서 저장기간별로 오염지표세균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식육류는 $1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일반세균, 대장균군, 저온세균 및 종속영양세균은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균수가 증가하였으나 내열성세균, 포도상구균, 분별성연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2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일반세균, 대장균군, 저온세균, 종속영양세균 및 분변성연쇄상구균은 7일 보존시 가장 높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내열성세균, 포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약간 증가하였다. $30^{\circ}C$에서 보존할 경우에는 3일부터 7일 사이에 가장 높은 균수를 나타내었고, 7일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육가공품은 $1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17일 보존시 $10^{1}/g$ 수준까지 증가하였을 뿐이었고, $2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일반세균, 저온세균 및 종속영양 세균이 $10^{5}/g$ 수준정도 증가하였으며, 나머지 지표세균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3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20^{\circ}C보다\;10^{2}/g$ 수준 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을 뿐이었다. 우유류는 저온 살균처리에 의해 일반세균, 저온 세균 및 종속영양세균이 $10^{\circ}C\;보존시\;10^{4}/ml$ 수준까지 증가하였을 뿐 대장장균군, 포도상구균, 분변성연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전혀 검출도지 않았다. $20^{\circ}C와\;30^{\circ}C$에서는 빠른 속도로 균수가 증가한 후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