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P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34초

Dynamic Positioning System의 IMO Class 변경 요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ynamic Positioning System IMO class upgrade requirements)

  • 채종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5-172
    • /
    • 2015
  • Dynamic Positioning System(DPS)은 그 신뢰성 및 redundancy(대체) 시스템에 따라 IMO 및 각 선급에서 3개의 class(등급)로 나누고 있다. IMO MSC/Circ 645에 의하면 DPS는 Class 1, 2, 및 3로 나누고 있으며 등급이 높을수록 좀 더 신뢰성 있고 안전하게 DP 선박을 운용할 수 있다. 국내에서 많은 DP Class 선박들이 건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DP Class 1선박의 개조를 통해서 DP Class 2로 변경하거나 DP Class 2선박을 신조 또는 중고선으로 구입하는 경우 무엇을 검토하고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실무 자료가 부족하고, DP Class 1선박을 Class 2로 변경하여 다시 매도하는 새로운 산업분야의 개척에 있어 국내 사례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P Class 1선박을 DP Class 2 선박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IMO 및 선급의 DP class 요건의 충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어떠한 설비의 변경 및 추가가 필요한지를 국내에서 있었던 실제 사례를 통해서 연구해 보았다. DP 선박 Class 변경을 위해서는 FMEA를 통해서 파악되는 DP 선박의 동력 시스템, thruster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 3가지의 주요 시스템에 대체(redundancy)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동력 시스템은 단일의 발전기, 배전반등에 문제가 발생해도 DP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더불어 PMS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thruster 시스템은 단일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선박의 Surge, Sway 및 Yaw를 남은 thruster 시스템으로 자동 제어 할 수 있어야 한다. 각종 제어 시스템, PRS 및 센서는 여러개를 설치하여 단일의 장비고장에도 DP 기능을 유지 할 수 있어야 한다.

3D프린팅을 이용한 텍스타일 제조 기술동향 (The Recent Tendency of Fashion Textiles by 3D Printing)

  • 김슬기;김혜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7-127
    • /
    • 2018
  • As an application and potential of 3D printing (3DP) accelerates in diverse industries, the use of 3DP is also increasing in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Since the fashion trend is rapidly changing and there are high demands of customized products for customer segments, research on manufacturing of 3DP textiles has become more important. 3DP textiles have differ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depending on a various 3D printing technologies or materia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abricate 3DP textiles that meets demand of garment such as flexibility, wearability, tensile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so that 3DP in fashion industry relatively has a narrow range of application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trend of research about manufacturing 3DP textiles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extile's properties. This paper classifies the five types of 3DP textiles and analyses systematically. First, 3DP textiles blended with existing textiles. Second, 3DP textiles utilizing the structural design of existing textiles. Third, 3DP textiles designed with continuous units. Fourth, 3DP textiles utilizing material properties. Fifth, 3DP textiles based on smart materials. Based on this analysis, future research of manufacturing 3DP textiles needs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가축에 대한 보조사료 규산염제로서 포졸란의 in vitro 항균 효과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ozzolan as a dietary silicate minerals supplementation to animals)

  • 김창현;엄경환;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778-7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포졸란의 항생제 내성균과 장내 유해 미생물 억제에 관한 체외배양 항균 활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대조군 (CON, 포졸란 무첨가 대조군)과 DP0.3 (증류수와 포졸란 분말 0.3%를 혼합하여 제조한 배지군), DP0.5 (증류수와 포졸란 분말 0.5%를 혼합하여 제조한 배지군), PE (포졸란 분말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배지군)으로 구분하였다. Lacctobacillus casei 균수는 CON과 비교할 때 DP0.3 처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5) 기타 처리구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Clostridium butyricum,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 균수는 CON과 비교할 때 포졸란 처리구가 유의하게 낮았다 (P<0.05). Clostridium butyricum, Salmonella typhimurium 균수는 DP0.3, DP0.5와 PE 사이, E. coli 균수는 DP0.5와 PE 사이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MRSA와 VRE의 균수는 CON과 비교할 때 포졸란 처리구가 유의하게 낮았다 (P<0.05). MRSA 균수는 DP0.5와 DP0.3, PE 사이의 차이가 있었고, VRE 균수는 PE> DP0.3> DP0.5> CON 처리구 순서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포졸란의 항생제 내성균 및 장내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이 확인됨에 따라 가축용 천연항균제, 보조사료 규산염제로써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Dynamic Positioning System 등급 변경 요건에 관한 연구

  • 채종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30
    • /
    • 2014
  • Dynamic Positioning System(DPS)은 그 신뢰성 및 대체 시스템에 따라 IMO 및 각 선급에서 3개의 class(등급)로 나누고 있다. IMO MSC/Circ 645에 의하면 DPS는 Class 1, 2, 및 3로 나뉘어 있으며 등급이 높을수록 좀 더 신뢰성 있고 안전하게 DP 선박을 운용할 수 있다. 이러한 DPS의 등급은 DP 선박을 건조할 때 그 선박의 사용 목적 및 필요성 신뢰도에 따라 건조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이미 건조되어 있는 DP 선박의 등급을 개조를 통해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DP Class 1선박을 DP Class 2 선박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IMO 및 선급 요건의 만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어떠한 설비의 추가가 필요한지를 알아보고 이를 실제 사례를 통해 확인 및 검증해 본다.

  • PDF

3DP 폴리머-패브릭(3D Print Polymer-Fabric Structure)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f Fashion Design Applying a 3D Print Polymer-Fabric Structure)

  • 임소영;전재훈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9-152
    • /
    • 2023
  • Despite efforts to apply 3D print (3DP) technology in the field of fashion and endless discuss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future development,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utilize 3DP technology in fashion for reasons related to material, technology, and cost constra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3DP technology in order to promote its utilization in fashion and simultaneously find a solution to achieve aesthetic satisfaction in the design method. Specifical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fashion products with a 3DP polymer-fabric structure to which the parametric design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and proposes a new 3DP fashion design method. The 3DP polymer-fabric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as stably adhered to the fabric. Additionally, the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making 3DP clothes that are amenable to the wearer's activities, as it was verified that cutting and sewing tailored to the human body's curvature and structure can be performed. The design process using the 3DP polymer-fabric present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solution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modern technology in connection with designers' creativity. Moreover, the design process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mmercialization and generalization of 3DP by providing practical help to allow fashion experts to utilize 3DP technology.

One stage MSVQ/DP를 이용한 음성 인식에 관한연구 (A Study on Speech Recognition by One Stage MSVQ/DP)

  • 정의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12
    • /
    • 1994
  • 본 논문은 One Stage MSVQ/DP를 제안하여 단어 인식을 수행하였다. 인식 대상 어휘로는 대학교 행정부서명 40개를 선정 하였고 인식을 위한 특징 파라메타로는 10차 LPC 켑스트럼 계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One Stage MSVQ/DP 인식 시스템 이외에도 같은 데이터 상에서 LBDTW인식 시스템, One Stage DP 인식시스템에 의한 음성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LBDTW와 One Stage DP알고리즘에 의한 인식율은 $83.3\%$$87.5\%$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MSVQ/DP에 의한 인식율은 $91.6\%$였다.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lacken spoilage inducing bacteria from Korean dried persimmon

  • Kim, Byoung-Kwan;Hong, Eun-Young;Chung, Shin-Kyo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105-109
    • /
    • 2012
  • Blacken spoilage is one of the common problems during the cold storage of dried persimmon in Korea. We collected the spoiled dried persimmon in the refrigerator and classified them to 4 types depending on their appearances. Furthermore we isolated blacken spoilage inducing bacteria from type D of dried persimmons. Among the isolates we identified the seven blacken spoilage inducing bacteria. They are Aeromonas hydrophila DP1, Cedecea davisae DP2, Ewingella americana DP3, Flavimonas oryzihabitans DP4, Providencia rettgeri DP5, Providencia rustigianii DP6 and Serratia plymuthica DP7. Strain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ultur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We also found that Ewingella americana DP3, Flavimonas oryzihabitans DP4 were the major blacken spoilage inducing bacteria during dried persimmon storage.

  • PDF

Dynamic Positioning 선박들의 사고사례 분석 (An Analysis on Incident Cases of Dynamic Positioning Vessels)

  • 채종주;정연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9-156
    • /
    • 2015
  • Dynamic Positioning System(DPS)은 동력, DP control 장치, DP 컴퓨터, 위치참조시스템(PRS), 센서, thruster 시스템 및 DP 운용자(DPO) 7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DP 선박은 이들 구성요소들에 문제가 발생하면 그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데 이러한 DP 선박의 위치손실사고(Loss of Position, LOP)는 선주가 자발적으로 매년 IMCA에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1~2010년까지 10년 동안 IMCA 보고된 DP 선박 관련사고 612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DPS의 7가지 구성요소와 관련된 사고 원인을 파악하고 이들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요인의 정성적, 정량적 분석을 통한 DP 선박의 안전운항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0년 평균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DPS 사고원인 요소는 PRS였다. 이를 전문가들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작성된 flowchart를 바탕으로 베이지안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한 결과 PRS 각 요소별 조건부 확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DP 선박의 drive off를 발생시키는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DGPS, microwave radar 및 HPR 이었고 DGPS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에러 요인은 signal blocked, electric components failure, relative mode error 및 signal weak or fail이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쌀아밀로펙틴의 분자구조적 성질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Rice Amylopectins)

  • 김봉찬;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34-38
    • /
    • 1990
  • 일반계 품종인 천마벼, 다수계 품종인 용문벼와 인디카형인 마하트마등 세 품종의 쌀에서 아밀로펙틴을 분리하여 분자구조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천마벼, 용문벼, 마하트마의 고유점도는 각각 148.3 ml/g, 156.6 ml/g, 167.5 ml/g였고, ${\beta}-amylolysis$ limit(%)는 54.6, 55.4, 52.9였다. 평균사슬길이(${\overline{CL}}$)와 안쪽사슬길이 (${\overline{ICL}}$)는 마하트마가 다른 품종보다 길었다. ${\beta}-amylase$에 의한 쌀아밀로펙틴의 가수분해물을 Sephadex G-50으로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했을 때, 동일한 두 개의 주요 peak(void volume과 ${\overline{DP}}$ 3)가 얻어졌으며, 각 품종에서 동일한 형태를 보였다. 이들 아밀로펙틴의 pullulan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은 Sephadex G-50으로 겔 크로마토 그래피를 했을 때, 세 개의 peak(void volume, ${\overline{DP}}$ 35-45, ${\overline{DP}}$ $10{\sim}20$)가 얻어졌고, 품종간에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나 Peak의 면적과 사슬길이(${\overline{DP}}$)는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천마벼, 용문벼, 마하트마의 Peak II에 대한 Peak III의 면적비는 각각 3.9, 3.4, 3.3였다.

  • PDF

Associations between the dietary patterns of pregnant Malaysian women and ethnicity, education, and early pregnancy waist circumference: A prospective cohort study

  • Yong, Heng Yaw;Shariff, Zalilah Mohd;Yusof, Barakatun Nisak Mohd;Rejali, Zulida;Bindels, Jacques;Tee, Yvonne Yee Siang;van der Beek, Eline 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3호
    • /
    • pp.230-239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Little is known about the dietary patterns (DPs) of women during pregnancy.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Ps of pregnant Malaysian women and their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obstetric, and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SUBJECT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737 participants enrolled in Seremban Cohort Study between 2013 and 2015. Food consumption was assessed using a validated 126-food item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FFQ) at four time-points, namely, pre-pregnancy and at each trimester (first, second, and thir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used to identify DPs. RESULTS: Three DPs were identified at each time point and designated DP 1-3 (pre-pregnancy), DP 4-6 (first trimester), DP 7-9 (second trimester) and DP 10-12 (third trimester). DP 1, 4, and 7 appeared to be more prudent diets, characterized by higher intakes of nuts, seeds & legumes, green leafy vegetables, other vegetables, eggs, fruits, and milk & dairy products. DP 2, 5, 8, and 11 had greater loadings of condiments & spices, sugar, spreads & creamer, though DP 2 had additional sweet foods, DP 5 and 8 had additional oils & fats, and DP 11 had additional tea & coffee, respectively. DP 3 and 6 were characterized by high protein (poultry, meat, processed, dairy, eggs, and fish), sugars (mainly as beverages and sweet foods), and energy (bread, cereal & cereal products, rice, noodles & pasta) intakes. DP 9 had additional fruits. However, DP 12 had greater loadings of energy foods (bread, cereal & cereal products, rice, noodles & pasta), sugars (mainly as beverages, and sweet foods), and good protein sources (eggs, nuts, seeds & legumes). Malays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adherence (LA) for DP 1 and 10 than non-Malays. DP 2, 8, and 11 were more prevalent among Malays than non-Malays. Women with a higher education were more likely to have LA for DP 10, and women with a greater waist circumference at first prenatal visit were more likely to show LA for DP 11. CONCLUSIONS: DPs observed in the present study we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ose reported in Western populations. Information concerning associations between ethnicity, waist circumference and education with specific DPs before and throughout pregnancy could facilitate efforts to promote healthy dietary behavior and the overall health and well-being of pregnant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