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CRT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2초

방사선 재치료를 시행한 뇌전이환자의 결과 분석 (Outcomes after Reirradiation for Brain Metastases)

  • 유제상;최지훈;마선영;정태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3호
    • /
    • pp.137-142
    • /
    • 2015
  • 방사선 재치료를 받은 뇌전이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결과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6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완화목적의 뇌 방사선치료를 받은후 방사선 재치료를 받은 23명의 환자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전뇌 방사선치료 선량의 중앙값은 30 Gy (23.4~30 Gy) 이었다. 삼차원입체치료의 선량은 하루에 3 Gy로 총 30 Gy를 분할조사하였다. 정위적 방사선수술의 선량은 16 Gy를 1회 조사하였다. 방사선 재치료에서 전뇌 방사선치료, 삼차원 입체조형 치료의 중앙값은 각각 27.5 Gy와 30 Gy 이었다. 정위적 방사선수술의 재치료 선량은 16 Gy를 1회 조사하였다. 완화목적의 뇌 방사선치료 이후 뇌전이로 인한 증상 악화를 동반하고 영상학적으로 병변 진행이 확인되는 환자에서 방사선 재치료를 시행하였다. 경과 관찰기간의 중앙값은 25개월 이었다. 증상 관해율은 47.8%였고, 증상 완화의 효과 비율은 증상 유지 환자를 포함하여 82.6% 이었다. 재치료후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3.2개월이었다. 방사선 재치료 이후의 중앙값은 60으로 재치료 이전의 KPS 중앙값 30에 비해 향상되었다. 뇌전이 환자에서 방사선 재치료의 증상 완화 효과는 치료이전 KPS값이 60이상(: ECOG 0~2)의 전신수행상태가 좋은 환자에서 적합한 것으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for carotid sparing in the management of early glottic cancer

  • Kim, Young Suk;Lee, Jaegi;Park, Jong In;Sung, Wonmo;Lee, Sol Min;Kim, Gwi E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4권1호
    • /
    • pp.18-25
    • /
    • 2016
  • Purpose: Radiotherapy of the neck is known to cause carotid artery stenosis. We compared the carotid artery dose received between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 and conventional fixed-field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plans in patients with early glott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early glottic cancer patients who previously underwent definitive radiotherap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or each patient, double arc VMAT, 8-field IMRT, 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and lateral parallel-opposed photon field radiotherapy (LPRT) plans were created. The 3DCRT plan was generated using lateral parallel-opposed photon fields plus an anterior photon field. VMAT and IMRT treatment plan optimization was performed under standardized conditions to obtain adequate target volume coverage and spare the carotid artery. Dose-volume specifications for the VMAT, IMRT, 3DCRT, and LPRT plans were calculated with radiotherapy planning system. Monitor units (MUs) and delivery time were measured to evaluate treatment efficiency. Results: Target volume coverage and homogeneity results were comparable between VMAT and IMRT; however, VMAT was superior to IMRT for carotid artery dose sparing. The mean dose to the carotid arteries in double arc VMAT was reduced by 6.8% compared to fixed-field IMRT (p < 0.001). The MUs for VMAT and IMR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89). VMAT allowed an approximately two-fold reduction in treatment delivery time in comparison to IMRT (3 to 5 minutes vs. 5 to 10 minutes). Conclusion: VMAT resulted in a lower carotid artery dose compared to conventional fixed-field IMRT, and maintained good target coverage in patients with early glottic cancer.

Dosimetric advantages and clinical outcomes of simultaneous integrated boost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for anal squamous cell carcinoma

  • Sakanaka, Katsuyuki;Itasaka, Satoshi;Ishida, Yuichi;Fujii, Kota;Horimatsu, Takahiro;Mizowaki, Takashi;Sakai, Yoshiharu;Hiraoka, Masahir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368-379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osimetric difference between simultaneous integrated boost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SIB-IMRT) and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and the clinical outcomes of anal squamous cell carcinoma (ASCC) chemoradiotherapy featuring SIB-IMR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ten patients with ASCC who underwent chemoradiotherapy using SIB-IMRT with 5-fluorouracil and mitomycin C. SIB-IMRT delivered 54 Gy to each primary tumor plus metastatic lymph nodes and 45 Gy to regional lymph nodes, in 30 fractions. Four patients received additional boosts to the primary tumors and metastatic lymph nodes; the median total dose was 54 Gy (range, 54 to 60 Gy). We additionally created 3DCRT plans following the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9811 protocol to allow dosimetric comparisons with SIB-IMRT. Locoregional control, overall survival, and toxicity were calculated for the clinical outcome evaluation. Results: Compared to 3DCRT, SIB-IMRT significantly reduced doses to the external genitalia, bladder, and intestine, delivering the doses to target and elective nodal region. At a median follow-up time of 46 months, 3-year locoregional control and overall survival rates were 88.9% and 100%, respectively. Acute toxicities were treated conservatively. All patients completed radiotherapy with brief interruptions (range, 0 to 2 days). No patient experienced ${\geq}grade$ 3 late toxicity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 The dosimetric advantages of SIB-IMRT appeared to reduce the toxicity of chemoradiotherapy for ASCC achieving high locoregional control in the extended period.

선량강도 조절법을 이용한 방사선치료에서 총선량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otal Dose in Intensity Modulation Radiation Therapy)

  • 김성규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1권1호
    • /
    • pp.85-90
    • /
    • 2000
  • 방사선치료에서 치료의 효과는 총선량, 치료회수, 1회 조사선량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선량강도조절법을 사용하여 방사선치료를 행할 때 치료회수나 1회 조사선량을 고려하여 총선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사선치료의 목적은 암조직에는 충분한 선량을 조사하면서 주위 정상 조직에는 최소한의 선량을 조사되게 하여 치료성적의 향상으로 암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한 결과 CT의 영상을 치료계획에 이용할 수 있게 되어 three 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3DCRT)를 개발하였다. 선량강도조절법을 시행하여 총선량을 75, 80, 85, 90Gy를 조사할 때, 처음부터 선량강도조절법을 사용하여 치료하는 경우와 일차적으로 45Gy를 조사하고 boost를 조사할 때 나머지 선량을 선량강도조절 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TDF 환산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처음부터 선량강도조절법으로 치료할 경우에는 총선량에서 약 12.5 - 15 Gy 정도 감해서 조사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15 MV 의료용 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광중성자의 선량 평가 - 3차원입체조형방사선치료와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비교 - (Study on the Photoneutrons Produced in 15 MV Medical Linear Accelerators : Comparison of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and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 양오남;임청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4호
    • /
    • pp.335-343
    • /
    • 2012
  • 세기조절방사선치료는 기존의 3차원입체조형방사선치료보다 표적체적에 최적의 선량분포를 구현하면서 주변 정상조직에 들어가는 선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료기법으로 현재 임상에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2011년 국민건강보험으로 인정되면서 그 이용이 대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10 MV 이상의 고에너지 광자선에 대한 방사선 치료 이용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광자선은 타겟, 편평화여과기, 콜리메이터, 그리고 다엽콜리메이터와 같은 원자번호가 높은 물질과 광핵반응을 통하여 광중성자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다엽콜리메이터 기반의 세기조절방사선치료는 MU를 증가시켜, 결국 광핵반응에 의한 광중성자 발생률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ando 팬텀을 이용한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에 있어 3차원입체조형방사선치료와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시 발생되는 광중성자의 선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자궁경부암 치료를 위해 Rando 팬텀을 이용하여 3차원입체조형치료계획과 세기조절방사선치료 계획을 수립하였다. 치료실에 Rando 팬텀을 셋업 하였고, 광자극 발광선량계를 복부, 흉부, 경부, 그리고 미간의 표면에 부착한 후 치료계획을 기반으로 15 MV 광자선을 조사시켰다. 측정은 각 측정위치에서 5회 반복 시행하였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로부터 측정된 광중성자의 선량을 3차원입체조형방사선치료와 비교했을 때, 복부, 흉부, 경부, 그리고 미간 측정 위치에서 각각 9.0 배, 8.6 배, 8.8 배, 그리고 14 배로 많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15 MV 광자선을 이용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가 조사야 밖에서 상당한 양의 광중성자를 발생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의료용선형가속기의 물리적인 특성상 광중성자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는 어렵겠지만 의료의 질적인 면이나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조사야 외 불필요하게 영향을 받는 정상조직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 되어야 하겠다.

Phase II Study on Dose Escalating Schedule of Paclitaxel Concurrent with Radiotherapy in Treating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Cui, Lin;Liu, Xing-Xiang;Jiang, Yong;Liu, Jian-Jun;Zhou, Xiang-Rong;He, Xue-Jun;Chen, Jue;Huang, Xin-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4호
    • /
    • pp.1699-1702
    • /
    • 2014
  • Objective: To evaluate clinical efficacy of a dose escalating schedule of paclitaxel concurrent with radiotherapy in treating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NSCLC). Methods: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SCLC were treated with conventional fractionated radiotherapy or three 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 DCRT), concurrently with a dose escalating schedule of paclitaxel.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with paclitaxel $30mg/m^2$, B with paclitaxel $60mg/m^2$ and C with paclitaxel $90mg/m^2$. Paclitaxel was repeated every week for a total of 4 or 6 weeks. Results: Among 109 patients, response rates were 68.8%, 71.1% and 71.8% (p>0.05) for group A (n=32), B (n=38), and C (n=39) respectively. Accordingly, disease control rates were 81.3%, 81.6% and 82.1% (p>0.05). Progression-free survival time was $8.0{\pm}5.0$ months, $11.6{\pm}6.1$ months, and $14.8{\pm}7.9$ months (p<0.05), respectively. Overall survival time was $15.4{\pm}7.6$ months, $18.2{\pm}8.0$ months, and $22.0{\pm}7.6$ months (p<0.05), one-year survival rates were 62.5%, 73.1% and 90.0% (p>0.05) and two-year survival rates were 31.3%, 38.5% and 50.0% (p<0.05). Main side-effects were bone marrow suppression, radiation related esophagitis and gastrointestinal reaction. Conclusion: In treating patients with NSCLC,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ith paclitaxel improves early response compared with conventional fractionated radiotherapy or 3 DCRT. The survival rate was improved with the addition of paclitaxel, but there was an increase in adverse reactions when the dose of paclitaxel was increased.

방사선치료 시 환자자세 검증을 위한 분석용 도구 개발 (Patients Setup Verification Tool for RT (PSVTS) : DRR, Simulation, Portal and Digital images)

  • 이석;성진실;권수일;추성실;이창걸;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100-106
    • /
    • 2003
  • 목적 : 네트워크를 이용해 영상수집을 하여 방사선치료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기계중심점과 종양중심점의 일치여부 및 환자자세의 재현성을 확인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환자자세검증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으로부터 재구성한 디지털화재구성사진(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y, DRR) 영상과 투과 영상인 모의치료영상, 상용전자포탈 영상장치에서 수집한 포탈영상 밑 CCD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였고, 이를 조작할 수 있는 분석용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제작툴인 IDL(IDL 5.4, Research systems, USA)을 이용해 작성하였다. 이를 환자자세 검증도구(patients setup verification tool for RT, PSVTS)라 명명하였다. 기계중심점과 종양중심점의 일치여부 확인은 전산화단층촬영영상으로부터 재구성한 DRR 영상과 모의치료영상을 이용하여 위치변위를 분석함으로써 치료조준오차를 구하였다. 환자자세의 재현성 확인은 첫 치료 시에 얻은 포탈 영상과 매 치료 시마다 얻는 포탈영상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과 디지털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방사선치료 시 요구되는 기계 중심점과 종양중심점의 일치여부 및 환자자세의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편의방식의 소프트웨어와 환자자세검증도구를 개발하였다. 종양중심점과 기계중심점의 일치여부 확인 결과 치료조준오차는 두경부에서 전후, 좌우 각각 0.8$\pm$0.2 mm, 1.0$\pm$0.3 mm이었고, 골반부에서 1.1$\pm$0.5 mm, 1.0$\pm$0.6mm이었다. 환자자세 재현성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환자 자세 위치 변화를 시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실용성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환자자세의 재현성 및 종양중심점과 기계중심점의 일치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환자자세검증도구를 개발하였고, DRR 영상의 질 증진, 사용자편의방식의 소프트웨어를 보완한다면 임상응용에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시 방광 부피가 비뇨기계 부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Bladder Volume on Acute Urinary Toxicity during Radiation Therapy for Prostate Cancer)

  • 이지혜;서현숙;이경자;이레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37-246
    • /
    • 2008
  • 목 적: 국소적 전립선암에 대한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시 3차원 입체조형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또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를 시행하면 직장의 부작용이 현저히 감소하지만 비뇨기계 부작용의 발생률은 감소하지 않는다. 방사선 치료로 인한 급성 비뇨기계 부작용은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만성 비뇨기계 부작용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비뇨기계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방광을 채운 상태에서 방사선치료를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 경우 방사선 조사야에 포함되는 방광의 면적이 줄어들어 부작용이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시 방광의 부피가 급성 비뇨기계 부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전립선암으로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과 실험군이 각각 21명씩 포함되었다. 대조군은 본 연구가 계획되기 전에 방광 조절을 하지 않고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무작위로 추출하였고, 실험군은 치료 1시간 전 450 ml의 물을 마셔 방광을 채운 상태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이었다. 모의치료시 설계용 CT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방광의 부피를 측정하였고, 실험군에서는 방사선 치료 기간 동안 초음파로 매주 방광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결 과: 모의치료시 초음파로 측정한 방광의 부피와 CT로 측정한 방광의 부피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r=0.679) 방광 부피를 측정하는 데 있어 초음파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군에서 같은 양의 물을 마셔도 방광의 부피는 환자에 따라 차이가 컸고(범위 $22{\sim}352\;ml$), 방사선치료 기간 동안 방광의 부피는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모의치료시 방광의 부피가 컸던 환자는 치료기간 중에도 방광의 부피가 큰 경향을 보였다. 실험군의 방광 부피는 평균 $299{\pm}155\;mL$이었고 대조군은 평균 $187{\pm}155\;ml$로, 일정량의 물을 마시면 방광 조절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방광 부피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9), 실험군에서 급성 비뇨기계 부작용이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또한 방광의 부피가 클수록 부작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의치료시 CT로 측정한 방광의 부피가 150 ml 이상이면 1등급과 2등급의 비뇨기계 부작용이 현저히 감소하였다(p=0.023). 치료 기간 중의 방광 부피에 따른 부작용 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방광의 부피가 클수록 1등급 부작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100 ml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등급의 부작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방광을 채우고 방사선치료를 할 때 치료 기간 중 방광의 부피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방광 조절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비뇨기계 급성 부작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의치료시 방광 부피가 150 mL 이상인 경우 부작용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전립선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를 할 때 방광을 채우는 것이 급성 비뇨기계 부작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직장암의 방사선 치료 시 3D-CRT, IMRT, Tomotheray를 이용한 치료계획 및 주변 정상장기 선량 비교 (Dosimetric Comparision for Rectal Cancer using 3D-CRT, IMRT, Tomotherapy)

  • 이승철;김영재;장성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93-39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치료방식인 3차원입체조형치료법과 선형가속기 기반의 IMRT, 그리고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IMRT의 치료계획을 각각 수립하여 직장암 환자에 대한 최적의 치료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치료법 비교 결과 종양조직에서는 처방선량의 95% 이상의 흡수선량을 만족시키고 있었으며 정상조직인 방광, 소장, 넙다리머리뼈의 정상조직의 합병증 발생율의 기준(V40, V30, V20, V10)을 만족하였다. 다만, 3가지의 치료법에서 선량분포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치료법은 Tomotherapy기반의 IMRT였으며 가장 낮은 효율을 보인 치료법은 3DCRT였다. 직장암의 방사선 치료시 환자의 자세재현성, 개인적인 신체환경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치료방식을 적용한다면 환자의 예후와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Estimated Risk of Radiation Induced Contra Lateral Breast Cancer Following Chest Wall Irradiation by Conformal Wedge Field and Forward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Technique for Post-Mastectomy Breast Cancer Patients

  • Athiyaman, Hemalatha;M, Athiyaman;Chougule, Arun;Kumar, H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2호
    • /
    • pp.5107-5111
    • /
    • 2016
  • Background: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indicated an increasing incidence of radiation induced secondary cancer (SC) in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radiotherapy (RT), most commonly in the contra-lateral breast (CLB).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SC risk in the CLB following 3D conformal radiotherapy techniques (3DCRT) including wedge field and forward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fIMRT) based on the organ equivalent dose (OED). Material and Methods: RT plans treating the chest wall with conformal wedge field and fIMRT plans were created for 30 breast cancer patients. The risks of radiation induced cancer were estimated for the CLB using dose-response models: a linear model, a linear-plateau model and a bell-shaped model with full dose response accounting for fractionated RT on the basis of OED. Results: The plans were found to be ranked quit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oice of model; calculations based on a linear dose response model fIMRT predict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risk compared to the enhanced dynamic wedge (EDW) technique (p-0.0089) and a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MRT and physical wedge (PW) techniques (p-0.054). The widely used plateau dose response model based estimati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 risk associated with fIMRT technique compared to both wedge field techniques (fIMRT vs EDW p-0.013, fIMRT vs PW p-0.04). The full dose response model showed a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three techniques in the view of second CLB cancer. Finally the bell shaped model predicted interestingly that PW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risk compared to both fIMRT and EDW techniques (fIMRT vs PW p-0.0003, EDW vs PW p-0.0032).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SC risk estimations of the CLB revealed that there is a clear relation between risk associated with wedge field and fIMRT technique depending on the choice of model selected for risk compari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