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video

검색결과 1,152건 처리시간 0.034초

3차원 동영상 압축 표준의 텍스쳐 비디오 우선 부호화 방식을 위한 변위 벡터 추정 기법 (Disparity Vector Derivation Method for Texture-Video-First-Coding Modes of 3D Video Coding Standards)

  • 강제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0호
    • /
    • pp.2080-208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비디오 압축을 위한 표준으로서 3D-AVC와 3D-HEVC에 채택된 주위 블록의 변위 벡터정보를 이용한 블록 기반의 변위 벡터 추정 기법 (Neighboring block-based disparity vector, NBDV)을 설명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분석한다. NBDV에서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인접한 주위 블록에서 부호화를 완료한 변위 움직임 벡터 (disparity motion vector)를 이용하여 변위 벡터로 변환한다. 변위 벡터는 인접 시점에서 현재 블록에 대응하는 블록을 지시하는 벡터로 시점간 통계적 연관성을 이용함으로써 3차원 동영상의 부호화 효율을 증대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제안 기술은 저 복잡도와 동일 화질에서 약 20%의 부호화 효율 증가, 그리고 네트워크 내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효율적인 동작을 제공하는 텍스쳐 비디오 우선 부호화 방식을 지원하여 3차원 비디오 압축 표준 기술로 최종 채택되었다.

수리 형태론을 이용한 3차원 비디오 분할 (3D Video Segmentation using mathematical Morphology)

  • 김해룡;김남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5년도 학술대회
    • /
    • pp.143-148
    • /
    • 1995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fast 3D video segmentation method using mathematical morphology. The proposed 3D video segmentation algorithm is composed of intra-frame segmentation step and inter-frame segmentation step. In the intra-frame segmentation step, the first frame is segmented using the fast hierarchical segmentation method. Then, in the inter-frame segmentation step, the next frames are segmented using markers that are extracted from the difference of previous segmentation result and simplified present imag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more fast structure and is suitable for video segmentation.

2차원 동영상의 3차원 변환을 위한 깊이 단서의 신뢰성 기반 적응적 깊이 융합 (Adaptive Depth Fusion based on Reliability of Depth Cues for 2D-to-3D Video Conversion)

  • 한찬희;최해철;이시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13
    • /
    • 2012
  • 3차원 동영상은 다양한 응용분야들에서 차세대 콘텐츠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2D-to-3D 변환은 3차원 동영상의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 동안에 3차원 동영상 콘텐츠의 부족현상을 해결하기위한 강력한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2D-to-3D 변환을 위해서는 2차원 동영상 각 장면의 깊이영상을 추정/생성한 후 깊이 영상 기반 랜더링 (DIBR : Depth Image Based Rendering) 기술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동영상을 합성한다. 본 논문은 2차원 동영상 내 존재하는 다양한 변환 단서들을 통합하는 새로운 깊이 융합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알맞은 깊이 융합을 위해 몇몇 단서가 현재 장면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 아닌지 검사된다. 그 후, 신뢰성 검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현재 장면은 4개의 유형 중 하나로 분류된다. 마지막으로 최종 깊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깊이 단서들을 조합하는 장면 적응적 깊이 융합이 수행된다. 실험 결과를 통해 각각의 단서가 장면 유형에 따라 타당하게 활용되었고 최종 깊이 영상이 현재 장면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단서들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다.

Research Activities on Holographic Video in Japan

  • Yoshikawa, Hiroshi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175-1178
    • /
    • 2009
  • Recently, researches on holographic 3D video display are getting very active, though the goal is still challenging. This paper describes recent research activities on the holographic video system in Japan. It includes hologram calculations and acquisitions as well as displays.

  • PDF

3차원 동영상의 시ㆍ공간적 정보 중복성을 이용한 효과적인 3차원 비디오 홀로그램의 생성 (Efficient Generation of 3-D Video Holograms Using Temporal-Spatial Redundancy of 3-D Moving Images)

  • 김동욱;구정식;김승철;김은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0호
    • /
    • pp.859-86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동영상의 시 공간적 정보 중복성 (TSR: temporal-spatial redundancy)과 노블 룩업테이블(N-LUT: novel look-up table)를 이용한 효과적인 3차원 동영상 홀로그램 생성기법인 TSR-N-LUT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먼저, DPCM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3차원 동영상 프레임간의 시간적 중복 데이터를 제거한 다음, 잔여 영상에 대해서도 각 프레임별로 영상라인 간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시 공간적인 중복 데이터가 제거된 물체영상에 N-LUT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3차원 비디오 홀로그램을 합성하게 된다. 실험결과 제안된 TSR-N-LUT 기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평균적으로 홀로그램 계산을 위한 물체 포인트 수가 23.72% 감소함과 동시에 홀로그램 생성속도 역시 19.55% 개선됨을 보임으로써 제안된 기법의 실제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Real-Time 2D-to-3D Conversion for 3DTV using Time-Coherent Depth-Map Generation Method

  • Nam, Seung-Woo;Kim, Hye-Sun;Ban, Yun-Ji;Chien, Sung-I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3호
    • /
    • pp.9-16
    • /
    • 2014
  • Depth-image-based rendering is generally used in real-time 2D-to-3D conversion for 3DTV. However, inaccurate depth maps cause flickering issues between image frames in a video sequence, resulting in eye fatigue while viewing 3DTV. To resolve this flickering issue, we propose a new 2D-to-3D conversion scheme based on fast and robust depth-map generation from a 2D video sequence. The proposed depth-map generation algorithm divides an input video sequence into several cuts using a color histogram. The initial depth of each cut is assigned based on a hypothesized depth-gradient model. The initial depth map of the current frame is refined using color and motion information. Thereafter, the depth map of the next frame is updated using the difference image to reduce depth flicke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proposed scheme performs real-time 2D-to-3D conversions effectively and reduces human eye fatigue.

3D 비디오 콘텐트를 지원하는 DMB-AF 플레이어 개발 (A Development of DMB-AF Player Supporting 3D Video Contents)

  • 김용한;박민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42-551
    • /
    • 2011
  • 최근 지상파 DMB 및 위성 DMB를 위한 국제 표준 파일 포맷인 DMB-AF(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 Format) 표준을 확장하여 2D 비디오와 2D 대화형 서비스 데이터, 즉 MPEG-4 BIFS(Binary Format for Scene) 데이터뿐만 아니라 스테레오스 코픽 비디오와 스테레오스코픽 BIFS 데이터를 함께 담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검증을 위한 구현이 완료되지 않아 산업계에서 활용되기에는 미흡하였다. 이렇게 확장된 DMB-AF는 2D/3D 비디오 및 2D/3D BIFS 프레젠테이션이 시간적으로 혼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1]에서 제안된 방식들을 지원하는 DMB-AF 플레이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그 기능을 시험하기 위해 이렇게 확장된 DMB-AF에 따라 시험 파일들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로서 [1]에서 제안된 방식 중 3D 미디어 트랙 간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방법을 개선하였으며, 이렇게 개선된 형태로 [1]에서 제안된 방식이 기술적으로 정확히 동작함을 검증하였다.

3D 내시경 영상처리를 위한 다중화기 설계와 부호화 성능평가 (Evaluation of Coding Performance and Design of Spatial Multiplexer or 3D Endoscopic Image Processing)

  • 송철규;이상민;이영묵;김원기;황종대;김정훈;이명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7-141
    • /
    • 1997
  •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visualization and enhance the ability of the surgeon to perform delicate endoscopic surgery, three dimensional endoscopic system is designed. These 3D systems have our features of stereoendoscopic image processing: real time image capture and retrieve; presentation of left and right image on a single monitor; separable processing of the left and right eye images; coding of the 3D endoscopic video. For 3D endoscopic video coding, three approaches are presented based on interlaced picture structure, side-field format structure, and simulcast technique. Experimental results and performances comparisons are presented and analyzed or these approaches. Digital video coding techniques are presented or 3D endoscopic video sequences by means of an MPEG-2 video coding.

  • PDF

VideoGIS를 위한 동영상 자료구조화 (Video data Structuring for VideoGIS)

  • 김성삼;김원만;유환희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3년도 창립 1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5-138
    • /
    • 2003
  • 최근 국내외에서 3D GIS 및 VideoGIS분야의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동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VideoGIS는 기존의 2D 및 2.5D GIS보다 더 현실감있고 생동감있는 정보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동영상의 경우, 그 양이 방대할 뿐 아니라, 본질적으로 순차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자료 사용(브라우징 및 검색)에 있어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검색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동영상 자료의 접근성 개선 및 VideoGIS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자료구조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3D 비디오의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을 위한 전송규격 설계 (Design of 3D Video Delivery Format for HTTP Adaptive Streaming Service)

  • 이장원;김규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84-595
    • /
    • 2012
  • 최근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련 업계 및 시장에서는 콘텐츠로서의 3D 입체영상과, 전송기술로서의 HTTP 적응적 스트리밍 기법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주목받고 있는 두 기술을 통해 유망하고 시장성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현재의 표준기술에서는 두 기술의 유기적인 결합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3D 콘텐츠 서비스는 대역폭이 보장되거나 구애받지 않는 방송 및 저장 서비스 위주로 편중되어 있고,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는 특정 코덱에 의존적이며, 단순한 영상구성 정보만을 제공하는 기초적 형태의 3D 서비스 제공 방법만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안정적이고 끊김 없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다양한 형태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통해 호환성 있는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3D 비디오의 적응적 스트리밍 전송규격을 제안하고자한다. 제안하는 기술은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저장에 대한 서비스 지향적 표준기술인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어플리케이션 포맷을 기반으로, 적응적 스트리밍에 대한 대표적 표준기술인 DASH를 통해 직접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논문의 제안 기술은 MPEG에서 작업표준안으로 채택되어 표준기술로 고려되고 있어, 향후 관련 분야에서의 실용적인 산업화를 위한 기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