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sound

검색결과 769건 처리시간 0.029초

Acoustooptical Approach for Moving Scene Holography

  • Petrov, Vladimir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4권3호
    • /
    • pp.29-34
    • /
    • 2003
  • At the paper the method of 3D holographic moving image reconstruction is discused. The main idea of this method is based on the substitution of optically created static hologram by equal diffraction array created by acoustical (AO) field which formed by bulk sound waves. Such sound field can be considered as dynamic optical hologram, which is electrically controlled. At the certain moment of time when the whole hologram already formed, the reference optical beam illuminates it, and due to acoustooptical interaction the original optical image is reconstructed. As the acoustically created dynamic optical hologram is electronically controlled, it can be used for moving 3-dimentional scene reconstruction in real time. The architecture of holographic display for moving scene reconstruction is presented at this paper. The calculated variant of such display laboratory model is given and discussed. The mathematical simulation of step by step images recording and reconstruction is given. The pictures of calculated reconstructed images are presented. The prospects, application areas, shortcomings and main problems are discussed.

청각 보호 장구의 실내 충격소음 차음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door-Impulse Noise Attenuation Effect for the Hearing Protection Devices)

  • 정성학;송기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7-4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170 dB 수준의 충격 소음원에서 주파수별 귀마개의 차음성능을 확인하고, 주파수 특성과 패턴 형상을 분석하는데 있다. 충격 소음에서의 Combat Arm Earplug와 3M Form types 1100 Earplug의 주파수별 귀마개 차음성능을 산출하였다. 차음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B&K Head and Torso Simulator와 Ear Simulator를 제작하여 충격 소음원의 주파수별로 차음성능을 비교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충격 소음원이라 할지라도 대부분 140 dB 수준의 고충격 소음원이였으나, 본 연구는 그보다 더 높은 수준의 충격 소음원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 주파수별 충격소음의 차음효과는 평균 28.58 dB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향 인텐시티를 이용한 관 외부 방사 소음의 능동 제어 (Active Control of External Noise Radiated From Duct Using Sound Intensity)

  • 강성우;김양한
    • 소음진동
    • /
    • 제7권3호
    • /
    • pp.427-437
    • /
    • 1997
  • Mean active intensity based active control for the cancellation of radiated noise out of the duct exit is studied. The active intensity control strategy is drerived based on the relation of the exterior sound field out of the duct termination and interior sound field of the duc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control strategy is that the control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sensor loc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local pressure control methods at either interior downstream or exterior field position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digital filtering for the active intensity control can be achieved by time-domain filtered-x LMP (Lest-Mean-Product) adaptive algorithm. Experiments for an open-ended duct are performed to compare the active intensity control performance with conventional pressure control one. Active control experiment of local sound pressure is conducted by widely used filtered-x LMS adaptive Algorithm and active intensity control implementaion uses the derived filter d-x LMP algorithm. It is shown that the exterior sound fileds was much better observable by sensing of the active intensity than by just sound pressure.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the global control performance of external field by acoustic intensity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sound pressure control performance.

  • PDF

저주파음에 의한 자리돔의 청각 능력 2. 청각 임계비 및 청각능력지수 (The Hearing Ability of Coralfish Chromis notatus to Low Frequency Sound 2. The Auditory Critical Ratio and Hearing Index)

  • 이창헌;서두옥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4호
    • /
    • pp.314-321
    • /
    • 2000
  • 제주 연안역에 있어서 수중 가청 저주파수음을 이용한 자원관리형 어업, 또한 어장에서 음향을 이용해서 어류를 유집할 수 있는 음향 어법 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자리돔을 대상으로 측정 주파수 80∼800Hz의 수중음과 7V의 직류 전원의 전기 자극을 이용하여 육상 수조에서 조건 학습을 시킨 후 측정 주파수와 음압을 임의로 변화시켜 가면서 실험어 심전도를 도출하여 심박 간격의 변화로부터 청각 문턱치 곡선과 함께 백색 잡음에 의한 청각 임계비 및 청각 능력 지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리돔의 청각 임계비는 측정 주파수 80Hz, 100Hz, 200Hz, 300Hz, 500Hz, 800Hz에서 음압이 각각 31dB, 35dB, 33dB, 23dB, 34dB, 41dB이고, 음압 73dB, 78dB, 83dB의 3단계 백색 잡음을 방성하였을 때 청각 문턱치는 백색 잡음이 없을 때보다 높게 나타나며 마스킹 효과가 측정 주파수 100Hz, 200Hz, 300Hz에서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마스킹 현상은 약 음압 60∼65dB의 백색 잡음 레벨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나, 측정주파수 200Hz에서는 음압 57dB 이상에서, 측정주파수 800Hz에서는 73dB 이상의 백색 잡음 레벨에서 나타났으며 주파수 측정 주파수 300Hz에서 신호음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대략 음압 88dB 이상과 함께 백색 잡음 레벨보다 음압 23dB 이상 높은 신호음이 요구되었으며 배경 잡음시 자리돔의 청각능력지수는 81로 나타났다.

  • PDF

모바일 기반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3D전래동화 콘텐츠 연구 (3D Graphic Nursery Contents Developed by Mobile AR Technology)

  • 박영숙;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125-213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증강현실기술 기반을 활용한 3D전래동화 콘텐츠에 관한 연구이다. 지식기반사회의 핵심콘텐츠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시공간을 연결하는 SW기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하여 흥미로운 전래동화를 한국어, 중국어, 영어로 자막언어선택으로 외국어학습에 적용한다. 이를 위해 상호작용 AR게임(놀이)으로 재구성하였다. 전래동화는 3D 콘텐츠 제작을 위해 6~8개의 scene으로 분량을 구성하고, 각색하여 번역하였다. 더빙은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 성우를 통해 표준발음을 사용하여 더빙하였고, 효과음은 장면에 어울리도록 별도 제작하여 편집하였다.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3D 모델구성, 인터렉션 구성, 사운드 이펙트를 구성하고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작성한 후, Unity 3D 게임엔진을 실행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스크립터로 기술한다. 재미있고 유익한 전래동화를 ICT기술을 접목한 융복한 콘텐츠로 경험하면서, 첨단기술기반 교육을 수용하며, 생활주변에서 소프트웨어를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한다.

3차원 인텐시티 프로브의 근거리 음장 측정에서의 오차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for nearfield measurement error in a three-dimensional intensity probe.)

  • 김석재;지석근;;김천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1-50
    • /
    • 1994
  • 이 연구에서는 3차원 음향 인텐시티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프로브를 이용하여 음향 인텐시티를 측정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차를 컴퓨터의 수치계산으로 검토하였다. 이 3차원 음향 인텐시티 프로브는 Suzuki등에 의해 제안된 4개의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된 것이고, 수치계산에서는 이상적인 점음원과 유한 크기를 가지는 면음원에 대해서 프로브의 각 축방향 및 임의의 방향에 대한 측정오차를 근거리 음장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점음원의 경우 측정거리가 프로브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 사이의 간격보다 약 2.5배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 오차 1dB 이하의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었고, 유한 크기의 면음원의 경우, 면음원의 한 변의 길이가 0.02m이상일 때 근거리 음장의 측정오차가 크게 감소하기 시작하여, 한 변의 길이가 0.2m일 때 측정거리가 마이크로폰 사이의 간격보다 0.67배로 근접하여 측정하여도 1dB 이하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어 이 프로브의 근거리 음장 측정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 PDF

주거 공간에서 고령자 청력손실을 고려한 소음 및 잔향에 따른 음성 전송 성능의 주관적 평가 (Effect of noise and reverberation on subjective measure of speech transmission performance for elderly person with hearing loss in residential space)

  • 오양기;류종관;송한솔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69-377
    • /
    • 2018
  • 본 논문은 주거공간에서 고령자 청력손실을 고려한 소음 및 잔향에 따른 음성 전송 성능을 청취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주거환경 소음으로 바닥충격음, 교통소음, 공기전달음과 배수소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공동주택의 잔향환경을 모사하기 위해 실내음향 컴퓨터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충격응답를 추출하였다. 청취실험 음원은 고령자 청력손실(65세 남성)을 반영하기 위해 소음 및 단어 음원의 고주파대역의 음압레벨을 저감시킨 음원(고령자 음원)과 정상청력을 반영한 원음(청년 음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청취실험은 각각 3개의 소음레벨($L_{Aeq}$ 30, 40, 50 dB)과 잔향시간(0.5, 1.0, 1.5 s)을 갖는 음환경 조건에서 제시된 단어($L_{Aeq}$ 55 dB)의 음성요해도(speech intelligibility)와 듣기 어려운 정도(listening difficulty)를 평가하는 것으로 하였다. 청취실험 결과, 음성레벨이 55 dB($L_{Aeq}$)일 때 잔향시간 1.0 s 이하 조건에서 충격소음(점핑음) 50 dB($L_{i,Fmax,AW}$)와 정상소음(도로, 음악, 배수 소음) 40 dB($L_{Aeq}$) 이하의 소음레벨에서는 고령자 및 청년 음원 모두 90 % 이상의 음성요해도와 30 % 이하의 듣기 어려운 정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령자 청력손실을 반영한 고령자 음원의 경우 청년 음원 보다 음성요해도는 0 % ~ 5 % 낮았고 듣기 어려운 정도는 2 % ~ 10 %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내부 공간의 잔향시간 특성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verberation Time Characteristics of Inside Space of Apartment Buildings)

  • 정정호;이병권;전진용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91-298
    • /
    • 2015
  • In this study, the reverberation time of apartment living room was measured and distribution of the reverberation time was analyzed. In addition, sound field characteristics of mock-up test room similar with living room and timber structured bedroom was investigated with addition of furniture and sound absorption material. Average reverberation time of unfurnished apartment unit was 1.11 s, and reverberation time in 630 Hz~2000 Hz bands were longer than 1.2 s. It was found that from the field measurement results, reverberation time characteristic of furnished apartment living room was uniform in most of frequency bands. Averaged reverberation time of furnished living room was 0.48 s and the reverberation time of bedroom was 0.44 s. Standardized sound pressure level correction values were calculated from the average reverberation time of furnished and unfurnished apartment units. The correction value of unfurnished living room was −3.4 dB and that of furnished living room was 0.2 dB. Measured reverberation time of furnished and unfurnished apartment units indicated that reference reverberation time; 0.5 s, in KS and ISO standards is reasonable also in Korean residential environment.

사운드스케이프 조성을 위한 능동형 음장조성시스템의 현장적용 평가 (Evaluation of the Field Application of "Spontaneous Acoustic Field Reproduction System(SAFRS)" to Propose Soundscape)

  • 국찬;장길수;전지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289-297
    • /
    • 2007
  • SAFRS is the system designed to reproduce the harmonic sound into the spac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Here the harmonic sound means the sound which judged by the subjective tests, and the methods were suggested in the former studies. In this research, SAFRS was applied into the Square of D University to evaluate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nd a few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as follows; 1) sound perception, frequency, volume and harmony with the space, 2) images of the square and acoustic environment and 3) acoustic environment with existing sounds, fountain sound, produced sound by SAFRS, and both of them respectivel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n acoustic environment, no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the cognition of sounds produced by SAFRS and the frequency or volume, but inverse proportion was shown between the volume and special harmony. 2) As the result of image evalu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sound image was shown proportional only except the evaluation on main road at night time, it means that the sound proposal with the visual contents matching with the sounds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the proposal of sound only. 3) Results of evaluation on acoustic environment showed that the cognition effect at night time was shown higher than that of day time when only the acoustic element was given and the effect was increased when the visual elements matches with the acoustic elements if both of them were given. It confirmed the harmony between visual and acoustic elements was very important.

알루미늄합금(合金) 주물(鑄物)의 급탕(給湯)거리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eeding Distance of Aluminium Alloy Casting)

  • 정운재;김동옥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21
    • /
    • 1983
  • In order to determine the feeding distance of aluminiun alloys (Alsi7Mg and AlCu4Ti) bar castings in the sand mold, the distance of the sound castings has been observed by radiograph for various risers, melt treatment, and casting design. Variation of porosity and hardness with the distance from the riser were also measu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asting soundness. The results obained were as follows; 1) The modulus of riser should be 1.4 times of the casting`s 2) The maximum distance which can be made sound is greatly dependent on chemical composition and ingate location, and follows the rules given by the formula; a) When the melt flows into the casting first, and the riser afterward, D = 37.7 ${\sqrt{T}}$ for AlSi7Mg D = 31.2 ${\sqrt{T}}$ for pure aluminium D ${\ge}$ 54.8 ${\sqrt{T}}$ for AlCu4Ti Where T = casting thickness in mm Of this maximum distance, $aa{\sqrt{T}}$ for AlSi7Mg and 7.5 ${\sqrt{T}}$ for pure aluminium is made sound by the chilling effect of the casting edge. b) When the melt flows into the casting passing through the riser, $30{\times}30{\times}600mm$ bars can be made sound in all cases 3) Percentage of porosity is higer in AlCu4Ti than AlSi7Mg. And it is increased gradually by moving closer to the riser in case of $30{\times}30{\times}600mm$ bars, but for the $30{\times}30{\times}600mm$ bars it is increased gradually by moving closer to the center of bars. 4) Hardness variation is similar to the tendency of porosity. And it decreased gradually with approaching to the center in case of $30{\times}30{\times}600mm$ ba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