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seismic survey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1초

메탄 하이드레이트 탐사를 위한 3 차원 탄성파 탐사와 해저면 지구화학탐사의 융합 기술 (Fusion of 3D seismic exploration and seafloor geochemical survey for methane hydrate exploration)

  • 장구보 정웅;소림 임명;등정 철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0권1호
    • /
    • pp.37-43
    • /
    • 2007
  • MH21 연구 컨소시엄에서는 일본 난카이 트러프 동부의 메탄 하이드레이트 탐사를 위해 고분해능 3 차원 탄성파 탐사와 해저면 지구화학탐사를 수행해 왔다. 메탄 하이트레이트가 존재하는 천부지층을 영상화 하기 위해 수행된 고분해능 3 차원 탄성파탐사 결과, 천부 지층에 대한 훌륭한 지질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들은 지질학적, 지구화학적 모델을 구축하는데 유용하며, 특히 메탄가스 또는 메탄을 포함하는 유체의 이동통로, 지구화학적 메탄 하이드레이트 지시자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해저면 지질구조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수중잠수정을 이용해 확인된 메탄 유출 지점과 탄성파 단면의 비교 결과, 해저면 하부의 메탄가스층 및 메탄 하이드레이트 저류층과 해저면 메탄 하이드레이트 지시자 사이의 특정적인 관계가 확인되었다. 해저지형도와 해저면 반사파로부터 영상화된 해저면 반사파진폭 영상 역시 넓은 지역에 대한 이들 관계를 이해하는 유용하며, 이러한 자료에 기반한 새로운 지구화학적 해저면 탐사도 요구된다. 메탄 하이드레이트 저류층과 해저면 메탄 하이드레이트 지시자 사이의 관계는 고분해능 3 차원 탄성파탐사 자료의 해석을 통해 점점 더 분명해지고 있다. MH21 연구 컨소시엄은 향후 고분해능 3 차원 탄성파탐사로부터 구축된 지질학적, 지구화학적 모델에 기반하여 해저면 지구화학탐사를 수행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3 차원 탄성파 탐사와 해저면 지구화학탐사기술의 융합에 의한 일본에서의 메탄 하이트레이트 탐사에 대해 소개한다.

해저 석유탐사 학술정보 분석 (Global Trends of Marine Petroleum Exploration Science Information)

  • 길상철;박관순;조진동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6호
    • /
    • pp.673-681
    • /
    • 2014
  • 세계 여러 나라들이 대체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전통적인 탄화수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크며 접근 용이한 지역의 석유자원이 점차 고갈됨에 따라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한계 유가스전 개발을 위한 탐사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탐사기술인 2차원 탄성파 탐사 및 3차원 탄성파 탐사 기술의 이해는 물론 새로운 기술인 방위각 탄성파 탐사, 해저면 탄성파 탐사, 해양 전자탐사 기술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 글은 해저 석유탐사 기술의 개요와 이에 관련된 국내외 연구, 개발, 학술동향 등을 상세히 분석한 것으로, 국내 관련 산업 및 기술정책 수립과 연구개발에 유용한 정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eb of science의 SCI-Expanded DB에 발표된 해저 석유탐사 관련 논문(2001~2014)을 조사한 결과 616건을 대상으로 학술정보를 분석하였다. 발표문헌은 중국이 전체의 22.56%를 점유하여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고, 미국과 브라질이 추격하는 양상을 보인다. 국가별 논문 수준 지수 분석 결과, 잉글랜드가 가장 높은 값(1.94)을 보여 논문의 피인용 관점에서 질적 수준이 가장 우수하였고, 미국(1.77), 노르웨이(1.46), 캐나다(1.39), 프랑스(1.39), 스코틀랜드(1.38) 등이 뒤를 이었다.

3차원 탄성파 토모그래피의 현장 적용 (II);댐 예정지에서의 3차원 토모그래피 적용 사례 (A Field Application of 3D Seismic Traveltime Tomography (II);Application of 3D Seismic Traveltime Tomography to a dam-planned area)

  • 문윤섭;하희상;고광범;김지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4호
    • /
    • pp.263-271
    • /
    • 2008
  • 3차원 탄성파 토모그래피 알고리즘으로서 Fast Marching Method와 프레넬 볼륨에 기반한 알고리즘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댐 건설 예정부지에 3차원 토모그래피 탐사를 수행하였다. 재구성된 3차원 탄성파 속도 입방체는 실제 지층 구조와 매우 유사한 속도분포를 보였다. 또한 시추 시료의 RMR 자료와 탄성파 속도간 직접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여 얻어진 RMR 입방체는 미 시추 구간 대한 신뢰도 높은 암반분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차원 탄성파 토모그래피의 현장 적용에 대한 충분한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초동 주시 계산 및 역해 알고리즘의 개선으로 보다 경제적으로 향상된 탐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육상 3차원 탄성파 자료의 정보정 (Static Correction of Land 3D Seismic Data)

  • 신동훈;박재우;지준;이두성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5권3호
    • /
    • pp.145-149
    • /
    • 2002
  • 정보정은 풍화층의 두께나 속도가 균질하지 않아 하부의 지층으로부터 전파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굴절파에 근거한 정보정과 반사파에 근거한 잔여 정보정이 있다. 이 중 굴절파에 근거한 정보정은 일반적으로 분석자의 주관적인 해석에 의존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방대한 양의 자료를 처리해야하는 3차원 탄성파 탐사 자료의 정보정에 적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굴절파에 근거한 정보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분석자의 해석을 최소한으로 하여 자동적으로 정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다. 본 연구에서는 굴절파에 근거한 정보정 방법을 육상 3차원 탄성파 탐사 자료에 대해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탐해2호의 240채널 해양탄성파 탐사자료취득 (240 channel Marine Seismic Data Acquisition by Tamhae II)

  • 박근필;이호영;구남형;김경오;강무희;장성형;김영건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권2호
    • /
    • pp.77-85
    • /
    • 1999
  • 국내 대륙붕에서의 석유발견 가능성 제고를 위하여 탐해2호가 건조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국내최초로 240 채널 2차원 해양 탄성파 탐사가 동해에서 이루어졌다. 탐해2호에는 2차원 및 3차원 탄성파 탐사를 위한 음원 및 수신장비, 기록장비 그리고 항측장비 등이 갖추어져 있고, 간단한 선상자료처리 시스템도 포함되어 있다. 음원은 4개의 소배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소배열은 6개의 에어건으로 구성된다. 전체 음원 용량은 4578 $in^3$이다. 수신장비는 2조의 스트리머로 구성되며 각 조는 240 채널로 길이가 3 km이다. 탐사선 도입 후 처음 시도된 현장탐사에서 성공적인 2차원 탄성파 탐사 자료를 취득하였다. 전산처리를 통하여 자료취득 상태를 점검한 결과 양질의 탄성파 자료가 취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질의 자료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탐사설계, 탐사장비 운용, 현장탐사시 탐사선의 항해, 체계적인 품질관리 등의 기술이 고루 갖추어져야 한다.

  • PDF

Enhancement of Seismic Stacking Energy with Crossdip Correction for Crooked Survey Lines

  • Kim, Ji Soo;Lee, Sun Jung;Seo, Yong Seok;Ju, Hyeon Tae
    • 지질공학
    • /
    • 제24권2호
    • /
    • pp.171-178
    • /
    • 2014
  • In seismic reflection data processing, the crossdip correction effectively focuses the stacking energy near the sharp bends of a crooked survey line. Additionally, approximate 3-D information on the reflector (e.g., true crossdip angle and lateral continuity) are locally investigated as a by-product of the crossdip correction procedure. Improvement of the signal-to-noise ratio and estimation of reflector crossdip attitude are tested, in terms of both common midpoint bin direction and processing-line type, using synthetic seismic reflection data. To effectively image the reflection energy near bends in seismic survey lines, straight-line binning is preferred to slalom-line binning.

초고해상 탄성파 탐사를 위한 3차원 역시간 구조보정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3D Reverse Time Migration Software for Ultra-high-resolution Seismic Survey)

  • 김대식;신정균;하지호;강년건;오주원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5권3호
    • /
    • pp.109-119
    • /
    • 2022
  • 초고해상 3차원 탄성파 탐사를 통하여 취득된 자료는 수백 Hz 이상의 높은 주파수 대역에 의하여 수치 모델링에 기반 한 역시간 구조보정의 계산효율성이 확보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해상 탐사자료를 활용하여 고품질의 3차원 지질구조를 효율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역시간 구조보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우리는 전통적인 3차원 역시간 구조보정 프로그램의 메모리 사용량 및 계산시간을 대폭 축소하기 위하여 음원 파동장의 최대 진폭만을 저장하여 영상화를 수행하는 여기진폭 기법과 연산 영역을 음원과 수신기가 위치한 최소한의 영역인 로컬 도메인으로 제한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2019년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획득한 초고해상 3차원 탄성파 탐사 자료에 대하여 수평방향 격자 크기가 1 m인 3차원 구조보정 영상을 성공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지질학적인 해석이 수행되었다.

캐나다 아타바스카 분지 부정합형 우라늄광상 물리탐사 사례 (Geophysical Exploration on Unconformity-type Uranium Deposit in Athabaska Basin, Canada)

  • 유영준;김재철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9년도 특별 심포지엄
    • /
    • pp.73-87
    • /
    • 2009
  • Geophysical survey for unconformity-type uranium deposit applied to this study area in Athabaska Basin, Canada were carried out airborne TEM and magnetic, resistivity-induced polarization (DC-IP), puser seismic reflection and well-logging method. The results of airborne survey interpreted the lithological boundary, geological structures, and conductors. Also, these results decided to main targets for ground DC-IP survey. The Low resistivity and the high chargeability slices of 3D modeling interpreted from DC-IP survey response for conductors related to hydrothermal alteration zones and fault-controlled graphitic zones occurring at the unconformity-type uranium deposit, and they confirmed by diamond drilling. Seismic results interpreted to lake bottom surface, alluvium layer and intra-sandstone faults. We suggest the resonable field data acquisition of DC-IP method on the land or the lake in Athabaska Basin.

  • PDF

동해 가스하이드레이트 탐사에 적용한 지구물리탐사 방법 (Geophysical Methods applied for Gas Hydrate Exploration in the East Sea)

  • 이호영;박근필;유동근;구남형;김원식;김병엽;강동효;김한준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7년도 특별 심포지엄 논문집
    • /
    • pp.53-62
    • /
    • 2007
  • Preliminary gas hydrate surveys were carried out From 2000 to 2004 in the East Sea. Research results showed the geophysical evidence of gas hydrate existence. In 2005, Gas Hydrate R&D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and 10 year gas hydrate development program was initiated. In the $1^{st}$ stage of the program from 2005 to 2007, 6,600 L-km 2-D seismic survey was conducted in the $1^{st}$ year 2005, and $400\;km^2$ 3D survey was conducted in the $2^{nd}$ year 2006. Acquired seismic data were processed and seismic section and 3D cube were produced. By geophysical interpretation and velocity analysis, prospective areas were mapped and candidate drilling sites were recommended. For the precise interpretation, velocity was analyzed using AVO method, and BSR signal was analyzed using deconvolution method. For the prospective area, OBS and high-resolution seismic surveys were conducted. This presentation shows the introduction and examples of the research results of the geophysical methods applied for the gas hydrate exploration in the East Sea.

  • PDF

울릉분지 가스하이드레이트 2/3차원 탄성파 탐사자료 취득 및 품질관리 (2-D/3-D Seismic Data Acquisition and Quality Control for Gas Hydrate Exploration in the Ulleung Basin)

  • 구남형;김원식;김병엽;정순홍;김영준;유동근;이호영;박근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1권2호
    • /
    • pp.127-136
    • /
    • 2008
  • 울릉분지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 부존 유망지역 파악을 위하여 2005년과 2006년에 탐해2호를 사용하여 2차원 및 3차원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였다. 탐사장비는 항측시스템, 기록시스템, 스트리머 케이블, 음원 등으로 구성되었다. 주로 1,000 m 이상의 대수심 환경 및 해저면 하부 500 msec 구간에서의 속도분석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3 km 길이의 스트리머와 1,035 $in^3$ 용량의 동조 에어건 음원을 사용하였다. 현장탐사자료취득과정에서 음원파형분석, 2차원 저급중합, RMS 잡음 분석, 주파수-파수 스펙트럼 분석 등의 일련의 품질관리를 수행하였다. 음원의 품질기준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음원파형을 계산하고, 건제거시험을 통하여 에어건 고장시의 음원파형변화를 확인하였다. 실시간 품질 분석을 통하여 일부 탄성파 자료에서 너울잡음, 패러티 오류, 스파이크 잡음 및 조목잡음 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탐사자료의 품질이 전반적으로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3차원 탐사 시 불가피한 현장상황에 의해 조목잡음의 영향을 받은 탐사자료에 대해 FK 필터링 및 누락 트레이스 복원 기법을 적용한 품질향상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취득자료의 적합 판정 및 현장 탐사 지속이 결정될 수 있었다. 탐사자료가 품질기준을 벗어나는 탐사해역에서도 현장자료처리를 통하여 잡음제거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해양탄성파탐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