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Virtual Space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38초

다중 참여자를 지원하는 3차원 가상환경에서 공동작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 시스템 설계 (Design of Application Sharing System for Collaborative Works in 3D Virtual Environment supporting Multi-Participants)

  • 탁진현;이세훈;왕창종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55-364
    • /
    • 2000
  • 공동작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는 분산되어 있는 개발도구와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다수의 참여자가 환경적으로 제약받지 않고 공동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CVE(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에 기존의 어플리케이션 공유방식을 적용하기에는 기존 방식의 3차원이라는 공간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자유스런 상호작용을 방해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CVE(에서 효과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기 위한 3차원 가상환경에서 공동작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공유 관리기와 그룹 관리자와 통신 관리자로 구성하였다. 시스템은 참여자 사이트로 이동하는 에이전트에 의해 가상 환경에서 참여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상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고 스케줄링에 의해 참여자간의 충돌을 해결할 수 있다. 다라서 설계한 가상환경 공동작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 시스템은 가상환경을 위한 ,CSCW응용 개발 시, 기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3차원 가상환경에서 쉽게 공동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공동 작업을 지원하고 기존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원전 산업과 가상현실기술 접목을 위한 3D 모델 원전 적용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3D Model Application for Combining Nuclear Power Industry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 임병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24-225
    • /
    • 2019
  •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be defined as human-computer interface that makes virtual place of specific environments or situation is an interactive computer-generated experience taking place within a simulated environment. In order to combine virtual reality technology of domestic nuclear power industry, the R&D Project has been developing a virtual/augment reality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from April 2018 to March 2021. To effectively apply virtual reality technology of domestic nuclear industry, it is necessary to build virtual space similar to re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s analysed 3d model status for nuclear power plant during the life-cycle, and suggested a method to build 3D cad model close to real environment.

  • PDF

3D 아바타 커뮤니티 표현을 위한 인터렉티브 가상현실 (A Interactive Virtual Reality for 3D Avatar Community Representation)

  • 원용태;이말례;곽훈성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9-104
    • /
    • 2007
  • 온라인 아바타 커뮤니티서비스를 위해서는 의사소통, 감정표현, 유행하는 춤 등을 자연스럽게 표현해야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 또한 공간이 동적이며 아바타의 움직임과 공간과의 상호 작용이 필요하며, 3D 아바타의 개발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아바타가 자연스러운 동작과 재미있고 다양한 동작과 가상공간의 인터렉티브가 함께 구현되어야 한다. 3D 아바타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3차원쇼핑몰, 사이버 모델하우스, 3차원 시뮬레이션, 3차원 가상현실 게임 등의 폭넓은 영역에서 응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온라인 3D 아바타 커뮤니티서비스를 위해서 3D 아바타 애니메이션과 함께 인터렉티브 가상공간을 제작하고 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3D 가상의상 기술을 활용한 패션 브랜드 사례 분석 - 그린디자인 관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ashion Brand Cases Using 3D Virtual Clothing Technology - Focusing on Green Design Perspective -)

  • 김시은;김민지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5-127
    • /
    • 2024
  • This study was initiated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3D virtual clothing utilized by fashion brands aiming for sustain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s that utilize 3D virtual imagery to mitigat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fashion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 design. The research methodology draws on green design literature and analyzes three hypothetical cases. These include experiential immersive design, design that rewards engagement, and design that delivers economic benefits that were utilized by fashion brands from 2019 to 2023.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 First, the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virtual clothing, offline stores are reproduced in the digital world to provide an immersive shopping experience, similar to reality. These promote fashion products in a virtual space without the constraints of space and time, and creates profits and sustainable value. Second, virtual clothing promotes playfulness. Games and events utilize branded virtual worlds and characters to attract users. Rewards are given for achieving goals, and it is a practice of green marketing that uses virtual items to express products and minimize resource waste. Third, virtual clothing is affordable and can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n consumers by digitally reproducing expensive products as physical brand collections at an acceptable price point. This reduces environmental pollution, saves physical resources, and increases the utilization of virtual clothing by providing a convenient way to purchase.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hat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s' use of 3D virtual imagery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 design based on literature and case analysis, and follow-up studies are expected on empirical virtual imagery activation measures through interviews or surveys with users for each case.

비대면 상황에서 신입생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캠퍼스 투어시스템 개발연구 - 시야초점의 움직임을 활용한 캠퍼스주변 환경의 자유로운 이동과 대학정보안내화면 GUI설계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3D Virtual Reality Campus Tour System for the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to Freshmen in Non-face-to-face Situation - Autonomous Operation of Campus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niversity Information Guide Screen Design Using Visual Focus Movement -)

  • 임장훈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3호
    • /
    • pp.59-75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autonomous driving on campus and communication of abundant university information in the HCI environment in a VR environment where college freshmen can freely travel around campus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hree-dimensional VR-style campus tour system to establish a media environment to provide abundant university information guidance services to freshme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This study designed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campus tour system to solve the problem of discontinuity in which VR360 filming space does not lead to space like reality, and to solve many problems of expertise in VR technology by constructing an integrated production environment of tour system. We aim to solve the problem of inefficiency, which requires a large amount of momentum in virtual space, by constructing a GUI that utilizes the motion of the field of view focus. The campus environment was designed as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using a three-dimensional graphic desig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college freshmen freely transformed the HMD VR device, smartphone, FPS operation mode of the gyroscope sensor. The design elements of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campus tour system were classified as ①Visualization of factual experiences, ②Continuity of space movement, ③Operation, automatic operation mode, ④Natural landscape animation, ⑤Animation according to wind direction, ⑥Actual space movement mode, ⑦Informatization of spatial understanding, ⑧GUI by experience environment, ⑨Text GUI by building, ⑩VR360, 3D360 Studio Environment, ⑪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coupling block module, ⑫3D360-3D Virtual Space Transmedia Zone, ⑬Transformable GUI(VR Device Dual Viewer-Gyro Sensor Full Viewer-FPS Operation Viewer) and an integrated production environment was established with each element. It is launched online (http://vautu.com/u1) by constructing a GUI for free driving mode and college information screens to adapt to college life for freshmen, and designing an environment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by current media such as PCs, Android, and iPads. Therefore, it conducted user research, held a development presentation, a forum on excellence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s, and applied it as a system on the website of a particular university. College freshmen will be able to experience university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web and app to the virtual reality campus environment.

3D 건축공간을 활용한 가상 전시의 발전 방향 탐색 (Exploration of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Virtual Exhibition Using 3D Architectural Space)

  • 김종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79-98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3D 건축공간을 활용한 가상 전시를 관람자의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상 건축공간을 분석하기 위한 항목을 관람자의 시각으로 탐색하여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실존하는 건축공간의 재현 여부, 초현실적 요소의 도입, 동선과 움직임의 자유도, 공간 표현의 포토리얼리즘 수준, 전시물의 재현 수준과 정보 제공 방법, 다른 참여자와의 상호작용 6가지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이 분석 항목을 저명한 건축가가 설계를 담당한 6개의 가상전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여기에 적용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3가지 방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첫째는 자유도가 높은 가상의 전시공간을 설계하는 경우에도 익숙한 건축환경을 제시하는 경향이 많다는 것이다. 둘째는 현재 가상 건축공간을 제작하는 방법은 360도 렌더링 이미지를 이용하는 방법과 게임엔진을 이용하는 방법이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공존한다는 것이며, 셋째는 가상전시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은 게임엔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만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최근 사실적인 렌더링을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기술을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전에 따라 게임엔진을 활용한 가상공간의 제작환경이 보다 유리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3D 가상착의 시스템에 의한 비만 중년여성의 토르소 원형설계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the Torso Pattern for Obese Middle-aged Women from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 임지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6-9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orso pattern of Middle-aged obese women by using the virtual twin and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y using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new torso pattern considered obese women was development. The basic numerical formula were as follows ; bust girth B/2+5, armhole depth B/6+5, front waist girth W/4+2+0.5, back waist girth W/4+1-0.5, front hip girth H/4+1+0.5, back hip girth H/4+2-0.5, chest width B/6+2.5, back width B/6+2.5 and back neck width B/20+2.5.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new torso pattern's appearance evaluation, it estimated more highly than existing pattern in silhouette and ease amount, confirming that new torso pattern is appropriate for the obese women. Also, new torso pattern was evaluated to allow proper space length of bust, waist, abdomen and hip. Virtual models production through 3D body scan data, pattern draft and virtual garment digital program were applied to prototypic design method so as to enhance the fitness of ready-made gar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one of important basic data for ensuing studies that may utilize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with 2D patterns, and also for future 3D Pattern Production Program development.

가상공간 이동플랫폼을 위한 교차 공분산 3D 좌표 추정 방법 (Cross-covariance 3D Coordinate Estimation Method for Virtual Space Movement Platform)

  • 정하형;박진하;김민경;장민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41-48
    • /
    • 2020
  • 최근 가상/증강/혼합현실 분야의 이동 플랫폼 시장 수요 커지면서 가상환경을 이용한 다중 체험이 가능한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제 현장과 같은 느낌을 부여하는 체험형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훈련생의 모션 캡쳐를 위한 가상공간 이동플랫폼에서 사용자 위치 추정을 위한 트래커의 추적하는 방법으로, 2차원 영상 평면에 투영된 마커의 좌표를 통한 3차원 교차 공분산의 3D 좌표 추정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강체 추적실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낮은 해상도의 카메라를 통해서도 3D 좌표 추정이 가능함을 보인다.

가상환경에서 방향전환보행 데이터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RDW Data in Virtual Environment)

  • 임양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629-637
    • /
    • 2022
  • 본 연구는 HMD를 착용하고 사용자가 이동하였을 때, 현실세계에서의 제한된 물리적 공간과 확장된 가상공간에서의 사용자 움직임 차이를 거의 느끼지 않도록 도와주는 방향전환보행(RDW) 기술 활용에 대한 실험이다. Unity3D와 같은 3D 공간 구현 소프트웨어들에 탑재되어 있는 RDW 기능은 사용자의 시각에 따라 가상공간을 조금씩 왜곡시켜 사용자의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RDW 왜곡률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부조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사용자의 사이버멀미를 유발하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사용자가 장시간 HMD를 착용하고도 피로감 및 사이버멀미를 느끼지 않도록 가상환경에서의 RDW 데이터 값을 획득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방향전환보행이 안전하게 이행되는가를 실험하여 아이템 및 장애물 배치 데이터를 본 실험을 통해 획득하였다. 실험 결과로 얻은 RDW 데이터들은 가상공간에 아이템 배치 및 장애물 배치에 활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