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Triangulation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6초

3차원 곡면에서 삼각형 유한요소망의 자동생성 (Automatic Generation of Triangular Ginite Element Meshes on Three-Dimensional Surfaces)

  • 채수원;손창현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224-233
    • /
    • 1996
  • An automatic mesh generation scheme with triangular finite elements on three-dimensional surfaces has been developed. The surface triangulation process is performed as follows. To begin, surfaces with key nodes are transformed to two-dimensional planes and the meshes with triangular elements are constructed in these planes. Finally, the constructed meshes are transformed back to the original 3D surfaces. For the mesh generation, an irregular mesh generation scheme is employed in which local mesh densities are assigned by the user along the boundaries of the analysis domain. For this purpose a looping algorithm combined with an advancing front technique using basic operators has been developed, in which the loops are recursively subdivided into subloops with the use of the best split lines and then the basic operators generate elements. Using the split lines, the original boundaries are split recursively until each loop contains a certain number of key nodes, and then using the basic operators such as type-1 and type-2, one or two triangular elements are generated at each operation. After the triangulation process has been completed for each meshing domain, the resulting meshes are finally improved by smoothing process. Sample meshe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versatility of the algorithm.

  • PDF

2D Delaunay Triangulation을 이용한 점군 절단 (Point Cloud Slicing Based on 2D Delaunay Triangulation)

  • 박형태;장민호;박상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127-134
    • /
    • 2007
  • Presented in the paper is an algorithm to generate a section curve by slicing a point cloud including tens of thousands of points. Although, there have been previous research results on the slicing problem, they are quite sensitive on the density variations of the point cloud, as well as on the local noise in the point cloud. To relive the difficulties, three technological requirements are identified; 1) dominant point sampling, 2) avoiding local vibration, and 3) robustness on the density changes.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we propose a new slicing algorithm which is based on a node-sphere diagram. The algorithm has been implemented and tested with various examples.

수정된 EVS를 이용한 Delaunay 삼각형 재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launay Triangulation Reconstruction using the Modified EVS)

  • 김동윤;신동규;김동윤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5-231
    • /
    • 2000
  • 표면에 의한 3차원 재구성 방법 중 Delaunay 삼각형 분할 방법은 기존의 기하학적 연결성 문제를 해결하고 영상의 질도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윤곽선의 위치에 따른 비 입체적 연결성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C환경에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한 Delaunay 삼각형 분할 재구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서 나타나는 '비 입체(non-solid)‘ 사면체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하여 수정된 External Voronoi Skeleton(EVS)을 이용한 제거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이를 적용한 결과. 원 객체 형태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비 입체' 사면체만이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재구성된 영상의 표면이 사면체로 촘촘하게 연결되므로 복잡한 형태를 갖는 입체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었다.

  • PDF

2D 삼각화를 통한 3D 점집합으로부터의 메쉬 생성 (3D Mesh Creation using 2D Triangulation of 3D Point Clouds)

  • 최지훈;윤종현;박종승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B)
    • /
    • pp.202-20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3D 점집합으로부터 3D 메쉬를 생성하는 효율적인 기법을 소개한다. 대표적인 3D 삼각화 방법으로 3D Delaunay 삼각화 기법이 있으나 물체의 표면만을 고려한 메쉬 생성을 위한 방법으로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적은 계산량으로 물체의 표면 메쉬를 생성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물체의 각 영역을 분할하고 각 영역에 대해서 2D Delaunay 삼각화를 적용하여 3D 메쉬 구조를 얻는다. 3차원 점 집합에 대해 OBB를 계산하고 이를 기준으로 점집합을 다양한 각도에서 자르고 각 부분 점집합에 대해서 2D Delaunay 삼각화를 실시한다. 절단하는 각도의 간격이나 폭은 원래의 3D 점집합에서의 가장 가까운 이웃점들까지의 평균 거리를 이용하여 결정하도록 하였다. 후처리 과정으로 삼각 분할과정에서 잘못된 에지의 연결을 제거함으로써 객체의 삼각 분할 결과를 향상시킨다. 제안된 메쉬 생성 기법은 다양한 영상 기반 모델링 응용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PDF

소규모지역에서 3차원 정사사진 구현을 위한 GPS와 EDM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GPS & EDM System for 3D Orthophoto in Small Area)

  • 최현;추태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45-548
    • /
    • 2006
  • GPS 측량은 Multi-path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도심 지역이나 숲이 있는 항공사진에서는 지상기준점을 잡기위해 GPS측량이 어렵다. 본 논문은 소규모 지역에서 3차원 정사사진 구현을 위한 GPS와 EDM의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삼각점에서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기준점을 내린 다음 EDM으로 정밀삼각측량으로 지상기준점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항공사진을 정사투영사진으로 변환하기위해 획득된 지상기준점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지역에 대하여 항공정사사진을 이용한 3차원 모델링을 구현하여 향후 추진될 3차원 GIS 구축을 위한 항공사진의 활용방안에 대해서 연구 하였다. Multi-path 오차로 기인하는 GPS수신이 어려운 지점을 EDM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균등히 분포된 지상기준점의 획득이 가능하였고 3차원 공간정보 자료구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소규모 지역에서 항공사진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인체측정용 3차원 스캐너 제작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Scanner for Anthropometric Measurement)

  • 김민효;남윤자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7-88
    • /
    • 2001
  • A three dimensional body scanner for anthropomentric measurement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the slit laser beam projection method followed by digital image processing was used to provide accurate spatial data with the typical optical triangulation method to overcome the many difficulties in traditional in accurate and time-consuming tactic measurement method using rulers and gauges. Compared with other commercialized scanners. this system can obtain a relatively wide range of data at a much lower cost by the specially designed scanning process such as the simultaneous acquisi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body cross-section profiles.

  • PDF

중형카메라의 항공삼각측량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Aerial Triangulation Using Medium Format CCD Camera RCD105)

  • 강준묵;원재호;소재경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1-252
    • /
    • 2010
  • 최근 항공측량분야에서 항공디지털카메라 및 항공레이저측량시스템은 DEM제작 및 지형분석 등의 지리정보 구축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LS50II에 포함된 중형CCD카메라인 RCD105에 대한 3차원 위치정확도를 고해상도 항공디지털카메라인 DMC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촬영지역을 선정 및 항공사진촬영을 실시하였으며 1/1,000 수치지형도에서 지상기준점을 선점하였다. RCD105와 DMC에 대해 항공삼각측량 후 최소제곱오차(RMSE)를 비교하였다.

  • PDF

불규칙한 3차원 상의 점군들에 대한 삼각곡면 보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riangular Surface Interpolant for Scattered 3D points)

  • 주상윤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5-82
    • /
    • 1993
  • This paper deals with a systematic procedure for constructing a triangular composite surface which is interpolated from given scattered 3-D points. The procedure consists of a triangulation, construction of curve net, and interpolation of triangular patches. An obtained surface is composed of cubic triangular patches, which are $G^1$ continuous to adjacent other patches.

  • PDF

중형카메라 RCD105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Medium Format CCD Camera RCD105)

  • 김태훈;원재호;김충평;소재경;윤희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49-454
    • /
    • 2010
  • 최근 항공측량분야에서 항공디지털카메라 및 항공레이저측량시스템은 수치정사영상지도 및 수치표고모델제작 등의 지리정보 구축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레이저측량시스템인 ALS50-II에 구성된 중형CCD카메라 RCD105의 3차원 위치정확도를 디지털항공사진카메라인 DMC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을 선정하고 항공사진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축적 1:1,000 수치지형도에서 항공삼각측량에 사용할 지상기준점과 수치도화기를 이용해 평면 및 수준정확도 검증에 사용할 검사점을 선점하였다. RCD105와 DMC의 정확도는 항공삼각측량의 결과와 수치도화기를 이용해 검사점과 동일한 지점을 관측한 결과로 평가하였다. 항공삼각측량 결과 RCD105의 X, Y, Z RMSE (Root Mean Square Error)가 DMC보다 각각 2.1배, 2.2배, 1.3배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치도화기를 이용해 검사점을 관측한 결과 RCD105의 평면 및 수직방향 RMSE가 DMC보다 각각 2.5배, 4.3배 크게 나타났다. RCD105의 정확도가 DMC보다는 떨어지지만, RCD105도 수치지형도 및 정사사진 제작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