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D Stereoscopic Images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42초

정규상호상관도를 이용한 입체 입자영상유속계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Stereoscopic PIV using Normalized Cross-correlation)

  • 오정근;김유철;류민철;고원규;서정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4권6호
    • /
    • pp.579-589
    • /
    • 2007
  •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single-point measuring devices such as LDV, pitot-tube, hot-wire, etc., it would be possible to measure instantaneously 3-D flow fields with a stereoscopic PIV system.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nalysis algorithm for a stereoscopic PIV system using the normalized cross-correlation (NCC) and a 3-D calibration based reconstruction method. The evaluation method based on NCC is one of the most accurate correlation-based methods. We validated the developed algorithm through a benchmarking comparison with 3-D artificial SPIV images and calibration target images.

공간표시 디스플레이 연구 및 개발 동향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in Three-dimensional (3D) Displays)

  • 조성목;황치선;최지훈;김용해;전상훈;최경희;김주연;양종헌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5권4호
    • /
    • pp.65-80
    • /
    • 2020
  • In this article, we review the study trends of three-dimensional (3D) displays that can display stereoscopic images from the perspective of a display device. 3D display technology can be divided into light field, holographic, and volume displays. Light field display is a display that can reproduce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light or 'ray' in each pixel. It can display stereoscopic images with less information than a holographic display and does not require coherence of the light sourc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commercialized before the holographic display. Meanwhile, the holographic display creates a stereoscopic image by completely reproducing the wavefront of an image using diffraction in terms of wave characteristics of light. This technology is considered to be able to obtain the most complete stereoscopic image, and the digital holographic display using a spatial light modulator (SLM) is expected to be the ultimate stereoscopic display. However, the digital holographic display still experiences the problem of a narrow viewing angle due to the finite pixel pitch of the SLM. Therefor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at solving this problem. Volumetric display is a technology that directly creates a stereoscopic image by forming a spatial pixel, which is known as a volumetric pixel, in a physical space, and has a significant advantage in that it can easily solve the problem of the viewing angle. This technology has already been tested for commercial purposes by several leading companies.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recent research trends regarding these 3D displays and near-eye display that is emerging as a significant application field of these technologies.

Synthesizing Intermediate Images Using Stereoscopic Images

  • Kwak, Ji-Hyun;Komar, V.S.V.;Kim, Kyung-Tae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6권4호
    • /
    • pp.143-149
    • /
    • 2002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lgorithm for synthesizing intermediate views from a stereoscopic pair of images. Syntheses of intermediate images allows one to realize a more comfortable the 3D display system.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block matching, which is not ordinarily used. The contour information is used for a block decision. In order to find an equivalent (or corresponding) block, there are two steps: "matching of contour-to-original image" and "matching of contour-to-contour image" methods. "Matching of contour-to-contour image" uses both left and right contour images. This block matching method allows us to find the corresponding block in spite of different block sizes. Experimental results illu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chnique and we obtained a high quality image of more than 31 dB PSNR.image of more than 31 dB PSNR.

단안 카메라를 이용한 입체영상 생성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from a Monoscopic Camera)

  • 이동우;이관욱;김만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7-2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단안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여러 장의 영상으로부터 입체영상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수평으로 이동하며 촬영한 N 장의 프레임 영상중에서 최적의 좌우 입체영상을 먼저 선택한다. 이를 위해 영상의 에지를 추출한 후 에지의 방향을 이용하여 두 영상의 에지각의 차이인 회전각을 구한다. 또한 영상 투영을 통해 두 영상의 상관관계를 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이동벡터를 얻는다. 다음으로 최적의 입체영상 두 장을 선택한 후, 회전각 및 이동벡터를 이용하여 선택된 좌우영상을 보정한다. 총 32장의 실험영상데이터에 제안방법을 적용하였고, 입체영상의 품질을 검증하기 위해서 주관적 시각적 피로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피로도 측면에서는 84 %의 안정적인 입체감을 전달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모션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3-D Stereoscopic Video Techniques Using Motion Typography)

  • 이준상;박성대;김치용;한수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070-1081
    • /
    • 2011
  • 뉴미디어를 통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방법에서 타이포그래피의 역할은 모션그래픽의 발전과 함께 핵심적인 정보전달의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입체영상구현 기술연구는 실재감 있는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 다양하고 새로운 영상 제작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모션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한 입체영상 제작방법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션타이포그래피에 텍스트의 움직임을 이용한 방법, 카메라이동에 의한 방법, 편집 및 합성을 이용한 방법 등 세가지 실험을 적용하여 입체적인 모션타이포그래피 영상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식으로 구현된 입체모션 타이포그래피에서는 다양한 시각적 입체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더욱 실재감 있는 시각적 정보전달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진화기반 영역분할을 이용한 3D입체영상의 밝기보정 (Intensity Correction of 3D Stereoscopic Images Using Binarization-Based Region Segmentation)

  • 김상현;김정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5호
    • /
    • pp.265-27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이진화기반 영역분할을 이용한 3D입체영상의 밝기 보정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입력된 좌우 3D입체영상 중 우 영상을 이진화를 통한 영역분할을 하고 크기가 작은 영역들은 제거한다. 다음 우 영상의 각 영역들에 대해 대응되는 좌 영상내의 영역을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한 정합을 통해 추출한다. 영역단위의 매칭을 할 때 영역들 간의 겹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폴로지 필터로 영역경계에 인접한 일정부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좌우 영상의 영역 간 히스토그램 명세화를 수행함으로써 우 영상의 밝기 보정을 한다. 실험에서 좌 영상으로부터 블록단위 움직임보상으로 우 영상을 생성했을 때 제안한 방법이 블록평균 정합오차가 가장 작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레이어를 이용한 3D 입체 애니메이션 편집 기법 (The Method of 3D Stereoscopic Animation Editing Using Layers)

  • 박성대;손국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1-29
    • /
    • 2013
  • 현재 3D 애니메이션 제작 편집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객체를 레이어로 분리하여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3D 입체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 좌 우 영상을 각각의 레이어별로 출력 편집하는 제작 방법을 제안한다. 레이어를 이용함으로써 편집 과정에서 좌 우 이미지에 다양한 이펙트 적용이 가능하고, 양안시차 간격 또한 조절할 수 있어 폭넓은 영상 변화 및 입체감 변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객체의 삭제 및 삽입이 자유로우며 삽입된 객체의 크기와 위치, 양안 시차간격을 쉽게 조절함으로써 새로운 입체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의 좌 우 영상을 레이어로 분리하지 않고 출력해서 제작한 3D 입체 애니메이션보다 다양한 이펙트를 적용할 수 있고 시각적 피로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깊이감 향상을 위한 질감, 색온도, 대비비 관련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texture, colour temperature and contrast ratio to improve the depth of stereoscopic images)

  • 홍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7-42
    • /
    • 2018
  • 디지털 영상 제작 기술의 발전으로 입체 영상 기술의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입체 영상을 탑재하기 위한 첨단 디스플레이의 연구 및 개발도 동일하게 진행되고 있다. 3D 영상 시청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는데 시청자는 인위적 방식으로 제공되는 영상의 깊이감을 지각하면서 시각피로를 경험하기에 시각피로와 같은 부정적 휴먼 팩터가 가장 대두되는 이슈 중 하나이며, 3D 영상의 지속적 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2D 영상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영상 중 깊이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한 영상 처리 방법을 개발하여 시각 피로감 없는 입체 영상을 재현할 수 있다는 가정 아래 깊이감 관련 실험을 진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깊이감 관련 요인 중 질감, 색온도, 대비비를 차등적으로 그래픽 영상에 적용하여 깊이감에 가장 큰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아노바 분산분석을 통해 교호작용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깊이감과 관련 있는 요인의 유의미 여부를 정의하고 깊이감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3D Display System and Application with Optical Correction

  • Kawai, Takashi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5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vol.I
    • /
    • pp.111-116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work by the authors aimed at reducing the mismatch between accommodation and convergence when viewing stereoscopic 3D images. Two methodologies, one a simple system with a mono-focal lens and the other a dynamic system using a moving LCD, were introduced as experimental 3D displays with optical correction. The results of usage evaluations suggest improvements in health and amenity can be achieved with stereoscopic representation with accommodation.

  • PDF

View Point Tracking for Parallax Barrier Display Using a Low Cost 3D Imager

  • 위성민;김동욱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05-114
    • /
    • 2008
  • We present an eye tracking system using a low cost 3D CMOS imager for 3D displays that ensures a correct auto stereoscopic view of position- dependent stereoscopic 3D images. The tracker is capable of segmenting the foreground objects (viewer) from background objects using their relative distance from the camera. The tracker is a novel 3D CMOS Image Sensor based on Time of Flight (TOF) principle using innovating photon gating techniques. The basic feature incorporates real time depth imaging by capturing the shape of a light-pulse front as it is reflected from a three dimensional object. The basic architecture and main building blocks of a real time depth CMOS pixel are described. For this application, we use a stereoscopic type of display using parallax barrier elements that is described as we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