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Stereoscopic Images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6초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장면별 입체시차 연구 (A Study on the 3D Stereoscopic Disparity in Four Animation Movies)

  • 서동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4호
    • /
    • pp.105-128
    • /
    • 2014
  • 본 연구는 4개의 성공한 미국 극장용 입체 애니메이션의 입체시차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바타(2009) 이후로, 한국에서는 입체영상이 3D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활발하게 제작되었으나, 아직까지 극장용 애니메이션보다는 전시 영상이나 TV시리즈 제작에 주력하고 있다. 미래에 보다 성공적인 극장용 입체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입체시차를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먼저, 미국에서 2013년에 개봉된 극장용 입체 애니메이션, 수퍼배드2, 에픽, 몬스터 대학교, 터보에서 각각 40개의 컷을 선택하였다. Vineyard의 앵글 샷 분류에 따라 23개의 다른 앵글로 분류하여 40개의 컷을 나누고, 컷에서 측정된 입체시차는 각 애니메이션 별로 4개의 도표로 표시하였다. 각 앵글별로 분석된 입체시차는 3D 입체영상 제작자들에게 수치화된 정보로 제시된다. 성공적인 극장용 입체영상제작은 한국애니메이션산업 발전에 큰 전환점이 될 것이 분명하다. 본 논문은 미국 3D 극장용 입체영상의 입체시차를 수치적으로 보여줌으로서, 보다 나은 극장용 입체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해, 실질적 방법을 제시하는 새로운 방안을 연구하였다.

3D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입체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기법 연구 (Research on the Technique to Produce Stereoscopic Animation Contents using 3D Computer Graphics)

  • 김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2-124
    • /
    • 2012
  •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획기적인 발전과 3D 입체영화의 성공사례로 입체영상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입체영상은 과거처럼 일시적인 붐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입체영상 시장에서는 자본력 부족, 제작 인프라 미흡, 2D to 3D 제작 등의 이유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입체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제작하기가 쉽지 않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는 제작기법에 대한 풍부한 자료 축적에 대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어지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품질의 입체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입체를 고려한 연출과 효과적인 입체 구현을 위해 3D 그래픽을 기반으로 연구한 제작기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분명, 입체 영상은 21세기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 있어서 가장 기대되는 영상 콘텐츠 중 하나이다. 그렇기 때문에 양질의 입체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연구부터 지속적으로 신중히 다가가야 할 것이다.

3D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 교육 방법론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 Methodology for the Production of Stereoscopic 3D Image Contents -Focusing on University Education)

  • 박성대;이준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045-2053
    • /
    • 2016
  • 2009년 3D 입체영화 아바타의 등장 이후 많은 연구기관에서 3D 입체영상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왔다. 또한 대학에서 3D 입체영상 관련 연구 및 교육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대학 교육과정에까지 3D 입체영상 제작 교육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대학에서 고가의 카메라 및 리그 등의 장비를 구입하여 3D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 교육을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대학의 교육과정 중에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3D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 교육과정에 대해 다룬다. 3D 입체영상 콘텐츠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할 이론적인 내용과 이론을 바탕으로 실시한 실습 교육과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3D 입체영상의 제작원리 대하여 이해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D 입체영상을 제작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제작 과정을 통하여 대학에서의 올바른 3D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에 대한 교육방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3D 입체영화의 제작 기법 연구 단편영화 <내 생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echnique of the 3D Stereoscopic Cinema)

  • 김병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994-1004
    • /
    • 2013
  • 3D 입체영상이 영상산업의 새로운 총아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산업의 기대와는 달리 제작 활성화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의 극복을 위해서 저예산으로 3D 입체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3D 입체영상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노하우를 축적시키고자 한다. 3D 입체영상의 원리 중에서 축간격, 컨버전스 포인트, 패럴랙스, 3D 컴포트존과 같은 요소들은 입체값을 조정하는 원리이자 연출의 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제어하고 통제하는 노하우의 축적은 3D 입체영상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3D 입체영상을 제작하는 시스템은 카메라, 리그, 녹화기, 3D 박스로 구성되며,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숙련된 크루들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3D 입체 단편영화 <내 생일>을 제작하면서 얻은 촬영 시스템의 설정과 입체영화의 원리를 이용하는 연출 노하우를 통하여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3D 입체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했다.

표준영상을 이용한 스테레오 PIV와 스테레오 PTV의 성능비교 (Performance Tests on Stereoscopic PIV and Stereoscopic PTV using Standard Images)

  • 도덕희;황태규;조용범;편용범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772-1777
    • /
    • 2004
  • The performances of the newly constructed Stereoscopic PTV and Stereoscopic PIV which had been completed based on a 3D-PTV principle are tested using the Standard Images. Virtual images were produced for the benchmark tests of the constructed two Stereoscopic techniques. The arrangement of the two cameras was based on angular position. The calibration of cameras and the pair-matching of the three-dimensional velocity vectors were based on Genetic Algorithm based 3D-PTV technique. The Standard data of LES are on the impinged jet proposed by VSJ. It is shown that the results obtained by Stereoscopic PTV have better reliability than those by Stereoscopic PTV.

  • PDF

Glasses-free 3D Stereo Adapter Using Commercial DIY Goods

  • Ohara, Takashi;Sakamoto, Kunio;Nomura, Shusaku;Hirotomi, Tetsuya;Shiwaku, Kuninori;Hirakawa, Masahit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345-1349
    • /
    • 2009
  • We developed a glasses-free 3D stereoscopic display using an LCD display panel, a view control film and a grating film for stereoscopic viewing. The observer can watch overlapped stereoscopic images for left and right eyes without special glasses such as polarized glasses.

  • PDF

키 프레임 기반 스테레오스코픽 변환 방법 (Stereoscopic Conversion based on Key Frames)

  • 김만배;박상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19-22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2D 동영상을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영상의 운동정보를 이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생성한다. 그러나 얻어진 운동 정보는 신뢰도가 낮을 수가 있고, 이것은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생성 단계에서 오류 발생의 원인이 된다. 상기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운동 벡터 정보의 신뢰도가 높고 추정된 운동 유형이 정확한 키 프레임(Key Frame)을 활용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변환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각 운동 유형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변환 방법을 소개한다. 제안한 스테레오스코픽 변환 방법의 성능 검증을 위해 다양한 실험 영상에 적용하고 키 프레임의 운동유형의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에서는 평균 90%이상의 키 프레임과 그 운동 유형을 정확히 찾는 성능을 얻었다.

마커 인식을 이용한 싱글카메라 기반의 실시간 3D 입체영상 (Realtime 3D Stereoscopic Image based on Single Camera with Marker Recognition)

  • 현혜정;박준형;고일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2-101
    • /
    • 2011
  • 21세기 기술 혁신으로 3D 디스플레이 기술 및 3D 영상 기술은 새로운 트랜드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3D 입체 영상을 직접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제작비용과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3D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반화 되면서 사용자 고가의 비용 부담 없이 3D 입체 영상을 구현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싱글 카메라를 이용한 마커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3D 입체 영상을 용이하게 구현 할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영상의 해상도를 동적으로 조절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은 3D 입체 영상 구현 분야에 일반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3D 입체 영상을 이용한 UCC(User Created Contents) 분야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실시간 3D 영상 카메라의 영상 동기화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ideo Synchronization Method for Live 3D Stereoscopic Camera)

  • 한병완;임성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3-268
    • /
    • 2013
  • 3D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왼쪽과 오른쪽 두 대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합쳐서 입체 영상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경우 두 대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동기를 맞추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서는 두 대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동기를 맞추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영상 포맷을 쉽게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향후 여러 대의 카메라를 이용한 무안경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Time Series Evaluation of Visual Fatigue and Depth Sensation Using a Stereoscopic Display

  • Kim, Sang-Hyun;Kishi, Shinsuke;Kawai, Takashi;Hatada, Toyohiko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10권4호
    • /
    • pp.188-194
    • /
    • 2009
  • Conventional stereoscopic (3D) displays using binocular parallax generate unnatural conflicts between convergence and accommodation. These conflicts can affect the observer's ability to fuse binocular images and may cause visual fatigue. In this study, time series changes in visual fatigue and depth sensation when viewing stereoscopic images with changing parallax were examined. In particular, the physiological changes, including the subjective symptoms of visual fatigue, when viewing five parallax conditions, were examined. The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D and 3D conditions was performed based on the visual function. To obtain data regarding the visual function, the time series changes in the spontaneous-blinking rate before and during the viewing of 3D images were measured. The time series change results suggest that 2D and 3D images cause significantly different types of visual fatigue over the range of binocular disp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