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D NoC

검색결과 2,266건 처리시간 0.026초

Studies on the Sedative Alkaloids from Zizyphus spinosus Semen

  • Han, Byung-Hoon;Park, Myung-Hwan;Park, Jeong-Hill
    • 생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3-238
    • /
    • 1985
  • A number of sedative alkaloids were isolated from Sanjoin(酸棗仁), the seeds of Zizyphus vulgaris Lamark var. spinosus Bunge (Rhamnaceae) which is an important Chinese medicinal material used to treat insomnia and sometimes to treat sleepiness. Those compounds were designated as Sanjoinine-A, B, C, D, etc. depending on the order of increasing polarity. Sanjoinine-A, $C_{31}H_{42}N_4O_4$, $mp\;249^{\circ}$, $[{\alpha}]^{27}_D-316$, Sanjoinine-B, $C_{30}H_{40}N_4O_4$, $mp\;212{\sim}4^{\circ}$, Sanjoinene, $C_{29}H_{35}N_3O_4$, $mp\;281{\sim}2^{\circ}$, $[{\alpha}]^{22}_D-272$, Sanjoinine-D, $C_{32}H_{46}N_4O_5$, $mp\;256{\sim}8^{\circ}$, $[{\alpha}]^{22}_D-53.6$, Sanjoinine-F, $C_{31}H_{42}N_4O_5$, $mp\;228{\sim}9^{\circ}$, $[{\alpha}]^{22}_D-215$, and $Sanjoinine-G_1,\;C_{31}H_{44}N_4O_5,\;mp\;236{\sim}8^{\circ},\;[{\alpha}]^{22}_D-68.6$, were found as 14-membered cyclic peptide alkaloids, $Sanjoinine-G_2,\;C_{30}H_{42}N_4O_4,\;mp\;182^{\circ},\;[{\alpha}]^{22}_D-79.2$, as being open chain peptide alkaloid, and Sanjoinine-E, $C_{19}H_{21}NO_2$, $mp\;166^{\circ}$, $[{\alpha}]^{20}_D-146.2$, N-Methylasimilobine, $C_{18}H_{19}NO_2$, $mp\;193{\sim}5^{\circ}$, $[{\alpha}]^{20}_D-204$, Sanjoinine-Ia, $C_{18}H_{19}NO_2$, $mp\;155{\sim}7^{\circ}$, $[{\alpha}]^{20}_D-140$, Sanjoinine-Ib, $C_{19}H_{21}NO_4$, $mp\;184^{\circ}$, Sanjoinine-K, $C_{16}H_{19}NO_3$, $mp\;159{\sim}61^{\circ}$, $[{\alpha}]^{20}_D+35$, Caaverine, $C_{17}H_{17}NO_2$, $mp\;204^{\circ}$, $[{\alpha}]^{20}_D-80$, and Zizyphusine, $C_{20}H_{24}NO_4$, $mp\;214{\sim}6^{\circ}$, $[{\alpha}]^{20}_D+317$ as being aporphine alkaloids. The heat treatment of the cyclic peptide alkaloids produced their isomeric products which showed enhanced sedative activit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isomeric products will be discussed.

  • PDF

3D NoC 구조에서 성능을 고려한 어댑티브 수직 스로틀링 기반 동적 열관리 기법 (Performance-aware Dynamic Thermal Management by Adaptive Vertical Throttling in 3D Network-on-Chip)

  • 황준선;한태희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7호
    • /
    • pp.103-110
    • /
    • 2014
  • 최근 등장한 TSV(Through Silicon Via)기반의 3D 적층 기술은 보다 강력한 발열관리 기법을 필요로 하며 냉각 비용과 폼팩터(form factor)의 제한을 고려했을 때 소프트웨어적인 열관리 기법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유력한 후보 중 하나로 제시되었던 스로틀링을 통한 열관리 기법의 경우, 증가하는 버스 점유율로 인해 전체적인 성능저하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TSV 기반 3D SoC의 커뮤니케이션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3D 네트워크-온-칩 (Network-on-Chip, NoC) 구조에서 어댑티브 스로틀링 기법을 제안하여, 열관리와 더불어 온-칩 네트워크상의 트래픽 감소를 통해 전체적인 성능향상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스로틀링으로 인해 저하된 처리량이 최소경로 라우팅 시 최대 72%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GT-POWERTM를 이용한 Lean NOx Trap 촉매 성능 모델링 (A Performance Modeling of the Lean NOx Trap Catalyst with GT-POWERTM)

  • 김현준;한만배;전지용;김태민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64-71
    • /
    • 2013
  • In this study we designed a lean $NO_x$ trap (LNT) model with $GT-POWER^{TM}$ program and then the LNT model was compared to the bench flow reactor test results. This model consists of 9 kinetic reactions to represent the main steps of NO oxidation, $NO_x$ adsorption, $NO_x$ release and then its reduction. The comparison was performed on the operating conditions at the space velocity of 50,000 1/hr and 80,000 1/hr with the temperature range of $200^{\circ}C{\sim}500^{\circ}C$ with the even spaced temperature step of $50^{\circ}C$.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NO_x$ conversion efficiency was enhanced by the temperature up to $350^{\circ}C$ and then decayed at higher temperatures. The LNT model predicts the similar trend of the $NO_x$ conversion efficiency to the experimental results below $350^{\circ}C$, but overestimates above $350^{\circ}C$. This overestimation comes from the higher reduction efficiency which was obtained by the different reduction gas composition such as $C_3H_6$ in the model to replace $CH_4$, $C_2H_4$ in the bench test.

지층 및 이화학 특성을 고려한 방사형 집수정의 취수량 감소 원인 분석 (Cause of Groundwater Yield Reduction in a Collector Well Considering Sediment's Composition and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 김규범;이치형;오동환
    • 지질공학
    • /
    • 제27권4호
    • /
    • pp.439-449
    • /
    • 2017
  • 경기도 안성천 유역에 설치된 강변여과수 시설의 취수량 감소 원인에 대하여 4개 수평정(1, 4, 6, 7번) 주변의 대수층 매질 특성, 수리전도도의 분포 등을 토대로 검토하였다. 시험 양수 기간 동안 1번 수평정은 $12.4m^3/d/d$, 4번은 $2.3m^3/d/d$, 6번은 $24.4m^3/d/d$, 7번은 $187.3m^3/d/d$의 경향으로 7번 수평정의 취수량 감소가 뚜렷하였다. 7번 수평정 주변은 국지적으로 수리전도도가 매우 낮은 구간이 존재하며, 전체적으로 균등 계수가 크고 수평 깊이별로 균등계수의 차이가 심하여 세립분의 이동에 의한 공극 막힘이 발생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철 이온($Fe^{2+}$) 농도가 높아 양수 및 주입시 철산화물이 형성되면서 clogging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장기 양수 과정에서 대수층의 물리특성 및 수질 특성 변화를 분석한다면 취수량 감소에 대한 정확한 원인 규명이 가능할 것이다.

항균성 물질이 첨가된 도자기가 우육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ttery Containing Antimicrobial Materials on Shelf life of Beef Meat)

  • 최태현;정인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07-513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helf life of beef stored in antimicrobial pottery during 12days storage at 4'C and Five kinds of antimicrobial potteries were prepared with antimicrobial materials such as TiO$_2$, Ag (NO$_3$)$_2$, Cu(NO$_3$)$_2$ and Zn(NO$_3$)$_2$. In changes of color during storage, Hunter's L- and b-value of beef were not changed, but Hunter's a-value was low significantly. The pH of beef meats were low at 6 days, but were added from 6 days. TBA value of beef in "A" pottery containing TiO$_2$ 1% and "C" Pottery containing TiO$_2$ 0.5%, Cu(NO$_3$)$_2$ were lower than "B", "D" and "I" pottery. VBN contents of beef in "A", "B", "C", "D" and "I" Pottery stored during 12 days were 9.8, 12.5, 9.3, 11.9 and 13.7mg%, respectively. In changes of total plate count of beef during storage at 4$^{\circ}C$,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 and "C" pottery were superior.g storage at 4$^{\circ}C$,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 and "C" pottery were superior.ttery were superior.

  • PDF

Infinite 1-D and 3-D Nets with Two Different Zinc and Terbium Coordination Polymers.

  • 민동원;이연경;이순원
    • 한국결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결정학회 2002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연구발표회
    • /
    • pp.31-31
    • /
    • 2002
  • The hydrothermal reaction of Zn(NO₃)₂6H₂O with benzene-1,3-dicarboxylic acid (or isophthalic acid, 1,3-BDCH₂) and pyridine led to the formation of a 1-dimensional coordination polymer with the empirical formula of [Zn₄(1,3-BDC)₃(Py)₂(O/sup 2-/)] (1). On the other hand, the hydrothermal reaction of Tb(NO₃)₃5H₂O with benzene-1,3-dicarboxylic acid (or isophthalic acid, 1,3-BDCH₂) and pyridine gave a 3-D compound [Tb₃(1,3-BDC)₂(H₂O₃] (2). The structures of both compounds have been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1 crystallizes in the monoclinlc space group P2₁/n, a = 10.344(3) Å, b = 18.030(3) Å, c = 18.033(3) Å, = 90.46(2)°, V = 3363.1(13) ,ų, Z = 4. 2 crystallizes in the monoclinic space group C2/n, a = 22.253(5) Å, b = 18.672(4) Å, c = 11.5812 Å, = 101.40(2)°, V = 4717.3(21) ų, Z = 8.

  • PDF

탁주효모(濁酒酵母)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 -탁주료의 발효(醱酵)에 미치는 효모(酵母)의 종류(種類)와 담금 조건(條件)의 영향(影響)- (Studies on Takjoo Yeasts (Part II) -Influences of Kind of Yeast Strains and Brewing Conditions of Fermentation of Takjoo Mash-)

  • 박윤중;이석건;오만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2호
    • /
    • pp.85-93
    • /
    • 1973
  • 탁주료의 발효(醱酵)에 미치는 효모(酵母)의 종류(種類)와 담금조건(條件)의 영향을 검토(檢討)하여 다음의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효모(酵母)의 종류(種類)와 료중의 효모수(酵母數) (1) 일단료를 $20^{\circ}C$에서 $1.5{\sim}2.5$일간(日間) 발효(醱酵)시키거나 $25^{\circ}C$$30^{\circ}C$에서 $1{\sim}2$일간(日間) 발효(醱酵)시킨 경우 효모분포(酵母分布)에 있어서 탁주효모(濁酒酵母)인 strain $D_m-1$과 청주효모(淸酒酵母)인 strain No.7사이에 별(別)로 차(差)가 없었다. (2) 이단료를 고온(高溫)($30^{\circ}C$ 또는 $35^{\circ}C$)에서 발효(醱酵)시킨 경우에는 저온발효(低溫醱酵)의 경우에 비(比)하여 료중의 효모수(酵母數)가 감소(減少)되었으나 탁주효모(濁酒酵母)인 strain $D_m-1$의 료중의 생존효모수(生存酵母數)는 청주효모(淸酒酵母)인 strain. No.7의 것보다 훨씬 많았다. 2. 효모(酵母)의 종류(種類)와 숙성료의 성분(成分) (1) 이단료를 고온(高溫) ($30^{\circ}C$ 또는 $35^{\circ}C$)에서 발효(醱酵)시킨 경우 선정(選定)한 탁주효모(濁酒酵母)(strain $D_m-1$, strain Y-1)을 使用한 숙성료의 주도(酒度)는 타효모(他酵母)(strain No.7, strain No.6, strain No.396, 및 strain No.1)를 사용(使用)한 것보다 상당(相當)히 높았다. (2) 료의 산도(酸度)는 strain $D_m-1$과 strain No.7사이에 약간 차이(差異)가 있었다. (3) 이단료를 고온(高溫) ($30^{\circ}C$ 또는 $35^{\circ}C$)에서 발효(醱酵)시킨 경우 strain $D_m-1$을 사용(使用)한 료의 Formol-N는 strain No.7을 사용(使用)한것보다 상당(相當)히 적었다. 3. 담금조건(條件)과 료의 주도(酒度) (1) 밀기울국(麴)의 첨가량(添加量)은 원료(原料)에 대하여 3%가 적당(適當)하였으며 밀가루국(麴)과 혼용(混用)할때에는 밀가루국(麴) 20%, 밀기울국(麴)은 $1{\sim}2%$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적당(適當)하였다. (2) 일단료의 담금농도(濃度)를 보통(普通)것의 2배(倍)로 희석(稀釋)하여도 효모(酵母)의 증식(增殖)에 이상(異常)이 없었다. (3) 담금용수(用水) 180ml에 대하여 밀가루 $80{\sim}140g$를 사용(使用)한 경우 원료(原料)밀가루량(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료의 주도(酒度)가 대략(大略) 비례적(比例的)으로 올랐다. (4) 현행(現行)의 이단식(二段式)담금법(法)보다 삼단식(三段式)담금법(法)이 유리(有利)하다고 인정(認定)되었다.

  • PDF

연모교발효사요의 제조 및 사양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Yeast-Fermented Animal Feed)

  • 박명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23-134
    • /
    • 1975
  • 야생효모균을 이용한 기효사요의 제조 및 사양시험에서 균체와 각종효소를 이용할 목적으로 자연계로부터 효모구 96균주를 분이한 것 중에서 5균주를 선정하여 액체배양한 것을 탈지강, 대맥양소맥면 및 톱밥 등을 혼합한(A, B, C, D및 E)것을 발효사요를 만들어 사양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효사요 제조에 이용한 난주는 5주로 Strain No. 225 Hansenula anomala var. anomala, No. 400 Candide pelliculosa, No. 416-C Debaryomyces hansenii 및 No. 403-A Irpex lacteus등이다. 2. 선정균주의 액체배양조건은 Strain No. 225, 400, 405, 416-C 및403-A의 생육최적 pH 5.0~5.5이고 최적당도는 Bllg. $10^{\circ}$였다. 또한 A) Strain No. 225, 400, 및 403-A와 C) Strain No. 225, 405 및 403-A생육온도는 35$^{\circ}C$, 3) Strain No. 225, 400, 416-C의 최적온도는 3$0^{\circ}C$였다. Strain No. 225, 400, 405, 416-C는 최고 35$^{\circ}C$ 이상과 No. 403-A는 최고 4$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도 생육이 되었다. 3. Strain No. 225와 403-A는 골세포가 크며, Strain No. 225와 405는 당의 발효능이 강하고 Strain No. 225, 400, 405 및 416-C 는 Cellobiose를 Strain No. 225, 400 및 416-C등은 xylose와 soluble starch등을 동화하였다. 그러나 Strain No. 416-C만은 Inulin Strain No. 223, 400. 405 및 402-A등은 질산염 (KNO$_2$, KNO$_3$등)을 동화하는 균예이다. 4. Strain No. 403-A는 효모수사균으로cellulase를 분필하는 균수로 식물성장기유이기 때문에 다른 효모균의 증식을 도와 원요중에 효소를 생성하였다. 5. 발언사요 제조에 이용한 혼합거의 배합비는 A) 배합사료, B)탈지당 및 대맥당(1:1), C) 탈지당 및 소맥당(1:1) D) 탈지당, 소맥당 및 대맥당(1:1:1), 그리고 E) 탈지당, 소맥당 및 톱밥(1:1:1)등을 사용하였다. 6. 효모균 발효사료는 혼합강류(A,B,C,D및 E등)의 원료배합으로 양호하였으며 황산암모니움을 0.3% 첨가하여 수분양은 60~70% 배양온도는 25~3$0^{\circ}C$에서 유지시켰다. 혼합강류에 균주의 접종은 각각 전배양한 A) Strain No. 225, 400, 403-A, B) Strain No. 225, 400, 416-C, C) Strain No. 400, 405, 403-A 그리고 D)와 E)의 균주들은 A), C)와 같다. 전배양액에 4% glucose 용액을 3배양첨가 희석 부하고 원료중량 5%(w/w)되게 접종하여 공처기간은 2~3일간이 최적조건이었다. 7. 혼합강류로 만든 발효사료 중 단백질 증가율은 A) 배합사료는 4.46%, B) 탈지당 및 소맥당(1:1)을 2.81% C) 탈지당 및 소맥당(1:1)는 6.12% D) 탈지당, 소맥당 및 대맥당(1:1:1)은 2.51% 그러고 E) 탈지당, 소맥당 톱밥(1:1:1)은 2.55%였다. 8. 발효사료로서 배양시험은 담염동물로서 육계전용종(Starcros; male) 180수와 말발효사가는 탈지당 및 소맥당(1:1)로 혼합한 사로와 야생효모균주(C)로 발효시킨 사요간의 가치를 비교하여 첨가수준(20%, 15% 및 10%)에 의한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8주간 실시하였다. 9. 미발효구 A-a구에서 개시할 때 체중 35.67g였든 것이 8주시 종료시는 622.7g로 총증체양 587.03g로 일당 10.47g인데 반하여 발효구인 B-a구에서는 총증용양 845.13g로 일당증체양 15.08g였다. 10. 시험기간 중 섭취량에 있어서도 발효구 미발효구에 비하여 양호하였고 출가수출간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10%구 2.552g>15%구 2.559g>20%구 2.223g 순위였다. 미발효 20% 첨가구인 A-a구가 지구에 비하여 증체풍과 사요섭취량이 떨어진 것은 의 배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같은 수준의 발효사료를 배합한 B-a구가 타구에 비해서 생육성적이 좋은 것은 발효로 인한 기호성의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11. 폐사율은 A-a구에서 4주이상 2전가 폐사하였고 타구에서는 전혀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야생효모근 3균주를 혼합광유에 정종배양하여 제조한 발효사료는 균예성분의 이용으로 균용도 생물과 같이 각종 영양소로 될 것이다. 효모가 생성하는 체소이외의 생성물의 이용 등을 들수있어 소화작용에 대한 보조적인 역할이 될 것이며 다량으로 배양하면 값이 싸고, 영양가치가 높은 발효사료의 체조 및 사양이 가능하다고 본다.

  • PDF

유구치 상아질의 각 부위에 적용된 수종의 복합레진 접착제의 미세인장접착강도에 관한 연구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 OF REGIONAL PRIMARY MOLAR DENTIN)

  • 유정은;최영철;최성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48-357
    • /
    • 2009
  • 본 연구는 유구치 상아질의 각기 다른 부위(표층부, 심층부, 치경부)에서 복합레진 접착제의 접착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서로 다른 4종의 접착방식(3-step total etch: 1군, 2-step total etch: 2군, 2-step self-etch: 3군, all-in-one: 4군)을 적용하고 복합 레진 ($Light-Core^{TM}$ Core Build-Up Composite)을 적층한 후, 미세인장접착강도를 비교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접착방식간의 비교에서 레진의 접착방식에 따른 상아질 각 부위에서의 미세인장접착강도는 제 1군이 표층부에서 뚜렷이 높았으나(p<0.05) 2, 3, 4군은 부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2. 부위별 미세인장접착강도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상아질 표층부에서의 미세인장접착강도는 레진의 접착 방식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심층부에서는 2군, 3군, 4군 및 1군의 순으로 나타났고(p<0.05), 치경부에서는 2군과 3군이 1군과 4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p<0.05).

  • PDF

ON THE DENOMINATOR OF DEDEKIND SUMS

  • Louboutin, Stephane R.
    • 대한수학회보
    • /
    • 제56권4호
    • /
    • pp.815-827
    • /
    • 2019
  • It is well known that the denominator of the Dedekind sum s(c, d) divides 2 gcd(d, 3)d and that no smaller denominator independent of c can be expected. In contrast, here we prove that we usually get a smaller denominator in S(H, d), the sum of the s(c, d)'s over all the c's in a subgroup H of order n > 1 in the multiplicative group $(\mathbb{Z}/d\mathbb{Z})^*$. First, we prove that for p > 3 a prime, the sum 2S(H, p) is a rational integer of the same parity as (p-1)/2. We give an application of this result to upper bounds on relative class numbers of imaginary abelian number fields of prime conductor. Finally, we give a general result on the denominator of S(H, d) for non necessarily prime d's. We show that its denominator is a divisor of some explicit divisor of 2d gcd(d,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