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CAD

검색결과 1,178건 처리시간 0.036초

3D/4D CAD를 통한 시설물 생애주기 관리 유용분야 도출 (3D/4D CAD Applicability for Life Cycle Facility Management)

  • 박정준;김창윤;김형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91-296
    • /
    • 2008
  • 지난 20년간 3D/4D CAD에 관한 연구는 시설물 생애주기의 설계, 시공단계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시설물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서 3D/4D CAD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 시공단계에 국한하지 않고 시설물 생애주기 동안의 3D/4D CAD 사용에 따른 유용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재 상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3D/4D CAD 모델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모델과 기존의 시설물 생애주기 관리 방법을 기반으로 전문가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155명의 시설물 생애주기 관련 업무 수행자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3D/4D CAD를 통한 시설물 생애주기 관리 유용성을 도출하였다.

  • PDF

3D CAD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 철근 요소 생성 알고리즘 (An Efficient Algorithm for Rebar Element Generation Using 3D CAD Data)

  • 조경진;이지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475-48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3차원 디지털기술 기반 설계에 필요한 CAD/CAE 데이터 연동을 위하여 3D CAD 데이터로부터 철근 요소를 생성하는 2단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1단계 과정은 STEP 표준형식의 3D CAD 데이터를 분석하여 여러 형태의 철근 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이며, 2단계 과정은 추출된 객체 형식의 철근 정보로부터 유한요소해석에 필요한 1차원 철근요소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이다. 개발된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실제 3D CAD 소프트웨어로부터 생성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데이터를 유한요소해석 데이터로 성공적으로 변환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이 유효함을 보였다.

건설 분야 도면정보 교환 표준을 위한 3차원 와이어프레임 기반의 확장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n Extension Model based on Three Dimensional Wireframe Model for KOSDIC Format in the Construction Field)

  • 김인한;서종철;원지선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79-187
    • /
    • 2005
  • The usage of mixed 2D and 3D CAD data of commercial CAD systems is required in the construction practice. Sometimes 3D wireframe model is required by end-users when 2D CAD data is delivered. However, current KOSDIC can not represent 3D CAD data, because it has been developed as a 2D drawing delivery standard.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vide exchange and sharing of mixed 2D and 3D CAD data that add 3D wireframe model in the KOSDIC.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uthors have investigated the 3D CAD entities of commercial CAD systems, and have analyzed STEP standards providing 3D wireframe model. The result, the authors have extracted 3D CAD common entities based wireframe model which shall be added in the KOSDIC. This study can be beneficial by using the developed data model for heterogeneous CAD systems, and by providing the representation of mixed 2D and 3D CAD data in construction practice such as GIS, piping system, and so forth.

플랫폼에 독립적인 3D 신발 캐드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Platform Independent 3D Shoe CAD System)

  • 이윤정;이영숙;김영봉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010-1019
    • /
    • 2006
  • 캐드(CAD) 시스템은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산업 제품을 제작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기술로 알려져 있다. 캐드 기술은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상업용 3차원 캐드 시스템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특히, 신발제조와 같은 특수한 영역의 캐드 시스템들도 3차원 캐드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캐드 소프트웨어의 개발의 어려움으로 인해 소수의 메이저급 캐드 소프트웨어 회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3차원 개념을 제공하는 AutoCAD에 종속적인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실제의 작업 현장에서 일하는 많은 신발 캐드 디자이너들은 직접 신발 디자인을 종이에 그리는 교육을 받아 3차원 캐 보다는 2차원 캐드에 더 익숙하고, 작업 효율도 훨씬 뛰어남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 실무자들의 작업 방식과 3차원 캐드 소프트웨어가 주는 장점을 결합한 3차원 신발 캐드 시스템을 설계 할 것이다. 본 시스템은 다른 신발 캐드 시스템들과 달리 OpenGL을 기반으로 하여 어느 플랫폼에서 잘 작동하도록 설계할 것이다. 또한 3차원 신발 설계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3차원 캐드데이터와 2차원 캐드 데이터의 호환 방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크기의 신발 제작에 필수적인 여러 할출(grading) 기법을 제시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DC Suite and CLO3D

  • Jang, Heekyung;Chen, Jianhui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6호
    • /
    • pp.87-105
    • /
    • 2017
  • In the fashion industry, 2D apparel CAD technology has already matured and various 3D apparel CADs have been introduced and are available for user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3D apparel technology will be highlighted, and the research of 3D apparel CAD will be much more emphasized upon. Currently, various 3D apparel CAD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However, in reality, the analysis and discussions about its problems and the improvements for clothing from a user's perspective have not been carried out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reference information about 3D apparel CAD for users by studying an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3D apparel CAD. The 3D apparel CAD, DC Suite and CLO3D were selected for technical comparative study. The 3D apparel CAD mainly includes 3D body system, garment pattern system and garment simulation system and so on.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problem was presented, and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were put forth.

레서피(Recipe) 기반의 견적 방법을 이용한 5D CAD 시스템 (Recipe-based estimation system for 5D(3D + Cost + Schedule) CAD system)

  • 최철호;박영진;한성훈;진상윤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4-160
    • /
    • 2006
  • 건설산업분야에 CAD시스템이 도입된 이래 CAD로 작성된 도면으로부터의 물량산출에 관한 연구가 지난 20여 년간 많은 관심 속에 국내외 적으로 지속되어 왔으나, 성과는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특히 3D CAD 시스템을 활용한 설계 및 물량산출은 제조업에서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설 산업에서는 3D CAD 시스템에 의한 물량산출시스템의 개발 및 운영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3D CAD 시스템에서는 3D 라이브러리(3D Object)의 구축 및 활용이 매우 중요하며 건설 산업의 특성상 설계과정에서 발생하는 신규 부재(3D object)에 대한 신속한 지원이 없이는 설계 및 물량산출에 3D CAD 시스템의 활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3D CAD 모델로 부터의 물량산출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개념설계(schematic design)단계에서도 개략견적이 가능하여야 하며, 상세설계(detailed design) 단계 및 시공도면작성(construction design)단계에 이르는 각 단계마다 물량산출 및 비용 산출이 가능하여야 한다. 다음으로는 설계과정 및 의사결정단계를 거치면서 계속 진화하는 설계변경(revision)에 따라 유연하게 물량 및 비용 산출이 가능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3D 모델을 기반으로 한 상용화된 5D(3D+cost+schedule) CAD 시스템인 컨스트럭터(Constructor)의 기본개념을 살펴보고 특히 레서피(Recipe)기반의 물량산출 모듈에 대한 설명 및 시범 프로젝트 적용결과에 대해 검토하고 앞으로의 기대효과 및 건설 산업에서의 3D CAD 기반 응용시스템 연구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3D CAD와 DLP 3D 프린팅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3D CAD and DLP 3D printing educational course)

  • 김영훈;석정원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30
    • /
    • 2023
  • 현재 주얼리 산업에서 신제품 개발은 대부분 3D 캐드와 3D 프린팅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전문대, 내일 배움 카드(국비), 과정평가형 자격 교육의 주얼리 3D CAD/3D 프린팅 관련 교과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3D CAD 모델링과 3D 프린팅 능력단위에서 제시하는 훈련장비, 훈련시간, 훈련시설, 실습재료 기준에 기반하여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한 귀금속 가공과 보석디자인 세 분류의 3D CAD 모델링과 3D프린팅 관련 능력단위 훈련기준이나 수행내용을 분석하여 이에 기반한 3D CAD/3D 프린팅 교육과정과 제반환경 등 교육과정 시스템 개발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3D CAD/3D 프린팅 교육과정과 시스템을 활용한 교육은 주얼리 산업뿐만 아니라 4차 산업의 한 축으로 불리는 3D CAD/3D 프린팅 제조 산업 분야 전반에 지속적으로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 인재를 공급할 수 있게 할 것이며 관련 교육을 받는 교육생들의 취업의 질적 향상과 취업 후 장기근속율 또한 높이는 긍정적 교육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적은 최근 신입생 모집이 어려운 주얼리 관련 학과나 3D프린터를 활용하는 제조 관련 일부 학과의 신입생 모집률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veva Marine과 SmartMarine 3D 간의 해양 플랜트 3D 배관 CAD 모델 유사도 평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imilarity Evaluation System for Offshore Plants' 3D Piping CAD Models Created Using Aveva Marine and SmartMarine 3D)

  • 이재선;김병철;김형기;천상욱;조민철;이광;김진현;문두환;한순흥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4호
    • /
    • pp.397-406
    • /
    • 2016
  • 해양 플랜트의 설계 건조 운전 과정에 참여하는 다수의 이해관계자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플랜트 3D CAD 시스템을 사용한다. 그리고 플랜트 설계 및 건조 업체는 플랜트 주문주에게 설계 결과물로 계약서에 명시된 형식의 플랜트 3D CAD 모델을 납품해야 한다. 그러나 플랜트 3D CAD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교환 기능의 제약으로 인해서 플랜트 설계 및 건조 업체는 많은 경우 계약서에 명시된 형식에 맞게 해양 플랜트 3D 모델을 수작업으로 다시 모델링을 하여 납품한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리모델링된 3D CAD 모델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원본 플랜트 3D CAD 모델과 재모델링된 플랜트 3D CAD 모델간의 비교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해양 3D CAD 모델의 유사도를 정략적으로 평가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구조 및 세부 기능을 설명한다. 그리고 비교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MEMS 설계용 2차원 데이터의 중복요소 제거를 통한 3차원 CAD 모델로의 변환 (Data Translation from 2D MEMS Design Data by the Removal of Superposed Entity to the 3D CAD Model)

  • 김용식;김준환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447-454
    • /
    • 2006
  • Although there are many needs to use 3D models in MEMS field, it is not easy to generate 3D models based on MEMS CAD. This is because MEMS CAD is based on 2D and their popular format-GDSII file format- has its own limits and problems. The differences between GDSII file format and 3D CAD system, such as (1) superposed modeling, (2) duplicated entity, (3) restricted of entity type, give rise to several problems in data exchange. These limits and problems in GDSII file format have prevented 3D CAD system from generating 3D models from the MEMS CAD. To remove these limits and solve problems, it is important to extract the silhouette of data in the MEMS CAD. The proposed method has two main processes to extract silhouette; one is to extract the pseudo-silhouette from the original 2D MEMS data and the other is to remove useless objects to complete the silhouette. The paper reports on the experience gained in data exchange between 2D MEMS data and 3D models by the proposed method and a case study is presented, which employs the proposed method using MEMS CAD IntelliMask and Solidworks.

3D 디지털 디자인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3-Dimensional Digital Design Tool (3$D^3$T))

  • 김원섭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241-252
    • /
    • 2004
  • CAD는 이미 디자인 분야에서도 중요하게 사용되는 도구로 동시 공학적 프로세스 상에서 전통적인 디자인 방법은 점점 사라져 가고 있다. 하지만, 리버스 엔지니어링(Reverse Engineering) 방식의 CAD 도구는 디자이너들의 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로는 아직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특히 디자인 프로세스 초기 단계의 직관적인 작업의 특성으로 인해 디자이너들이 기존의 CAD 도구들을 이 단계에서 적용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최근 이러한 정성적인 문제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접근하려는 연구들이 소프트웨어 뿐 아니라 하드웨어적 측면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디자인 프로세스 상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3D CAD 도구의 문제점들과 최근 연구되고 있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접근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디자이너들을 위한 CAD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