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BS

검색결과 593건 처리시간 0.029초

Genomic Characterization and Safety Assessment of Bifidobacterium breve BS2-PB3 as Functional Food

  • Kristin Talia Marbun;Marcelia Sugata;Jonathan Suciono Purnomo;Dikson;Samuel Owen Mudana;Tan Tjie Jan;Juandy J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871-879
    • /
    • 2024
  • Our group had isolated Bifidobacterium breve strain BS2-PB3 from human breast milk. In this study, we sequenced the whole genome of B. breve BS2-PB3, and with a focus on its safety profile, various probiotic characteristics (presence of antibiotic resistance genes, virulence factors, and mobile elements) were then determined through bioinformatic analyses. The antibiotic resistance profile of B. breve BS2-PB3 was also evaluated. The whole genome of B. breve BS2-PB3 consisted of 2,268,931 base pairs with a G-C content of 58.89% and 2,108 coding regions. The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d whole-genome phylogenetic analyses supported the classification of B. breve BS2-PB3. According to our in silico assessment, B. breve BS2-PB3 possesses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ion properties in addition to various genes related to the probiotic properties of heat, cold, and acid stress, bile tolerance, and adhesion. Antibiotic susceptibility was evaluated using the Kirby-Bauer disk-diffusion test, in which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for selected antibiotics were subsequently tested using the Epsilometer test. B. breve BS2-PB3 only exhibited selected resistance phenotypes, i.e., to mupirocin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1,024 ㎍/ml), sulfamethoxazole (MIC>1,024 ㎍/ml), and oxacillin (MIC >3 ㎍/ml). The resistance genes against those antibiotics, i.e., ileS, mupB, sul4, mecC and ramA, were detected within its genome as well. While no virulence factor was detected, four insertion sequences were identified within the genome but were located away from the identified antibiotic resistance genes. In conclusion, B. breve BS2-PB3 demonstrated a sufficient safety profile, making it a promising candidate for further development as a potential functional food.

식물병원진균의 생물적 방제 및 생물비료 활성을 갖는 다기능 세균의 탐색 (Screening of Multifunctional Bacteria with Biocontrol and Biofertilizing Effects)

  • 김영숙;이명석;염지희;송자경;이인경;윤봉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6-130
    • /
    • 2011
  • 작물의 생육촉진 및 식물 진균병의 생물방제능을 동시에 나타내는 다기능성 미생물제제를 개발하고자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여 보관중인 세균 120종의 활성을 검토하였다. 그 중 siderophore를 생성하고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BS11-1, BS11-2, BS11-3를 선발하였다. 이들 균주는 cellulase, protease 같은 lytic enzyme을 생산하였으며 식물성장 촉진 호르몬중의 하나인 IAA를 생성하였다. 이들 선발균들에 의한 식물 생장 촉진을 조사한 결과, BS11-1, BS11-2, BS11-3 균 배양액 관주 시 고추 유묘의 생육을 132%, 122%, 120% 증가 시켰으며, BS11-1, BS11-2 균주의 경우 뿌리의 신장 및 생육이 촉진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Microstructure of the antennal sensory organs in female millipede Oxidus gracilis (Polydesmida: Paradoxomatidae)

  • Chung, Kyung-Hwun;Moon, Myung-Ji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5권1호
    • /
    • pp.53-61
    • /
    • 2011
  • The fin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l sensory organs of a female millipede Oxidus gracilis (Polydesmida: Paradoxomatidae) were observed with both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We could identify four apical cones and three basic types of antennal sensillae in a. gracilis as follows: chaetiform sensilla (CS), trichoid sensilla (TS) and basiconic sensilla (BS). Of these, both types of CS and TS can be observed throughout all antennal segments except the terminal 8th article, whereas the BS are observed within the cuticular depressed regions of the articles from the 5th to the 7th segment. According to their relative microstructure and location, the BS arc divided further into three subtypes: large ($BS_1$) small ($BS_2$) and spiniform ($BS_3$). The $BS_1$ can be seen on the 5th article only, while $BS_2$ can be seen on the 5th and 6th articles. The $BS_3$ is characteristically seen within the depressive region of the 7th article. Both the CS and TS of O. gracilis are similar in structure, and they are related to the function of mechanical reception; however, four large apical cones (AP) and three subtypes of BS are likely to function in gustatory and olfactory reception.

리튬 p-[메톡시 올리고(에틸렌옥시)]벤젠설폰산염으로 제조된 젤형 고분자 전해질의 리튬 이온 운반 특성 (Lithium ion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Gel-Type Polymer Electrolytes Containing Lithium p-[Methoxyoligo(ethyleneoxy)] benzenesulfonates)

  • 허윤정;강영구;한규승;이창진
    • 폴리머
    • /
    • 제27권4호
    • /
    • pp.385-39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복 단위 길이 (n=3, 7.3, 11.8, 그리고 16.3)가 다른 리튬 p-[메톡시 올리고(에틸렌옥시)]벤젠설폰산염 (LiEOnBS)을 합성하였다. 이 전해질 염을 이용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으며,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복 단위 길이 및 농도에 따른 이온 전도도 그리고 리튬 이온의 운반율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는 3$0^{\circ}C$에서 4.89$\times$$10^{-4}$ S/cm (LiEO7.3BS, 0.5 M)로 최고 이온 전도도를 보였다. Dc분극과 ac 임피던스를 혼합하여 측정한 고분자 전해질의 리튬 이온의 운반율은 0.75~0.92 이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리튬 이온 운반율은 감소하였다. LiEO7.3BS의 전해질 염을 0.1 M로 사용한 고분자 전해질인 경우 0.92로 최고의 리튬 이온 운반율을 보였다. 이로부터 벤젠설포네이트에 치환된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복 단위가 3이상만 되어도 높은 리튬 이온 운반율을 가지는 단일 이온 전해질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자동차용 AGM 납축전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M Lead Acid Battery for Automotive Vehicles)

  • 정순욱;구본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1-187
    • /
    • 2015
  • 납축전지 활물질 제작 공정 중 숙성공정에서 온도 제어를 통해 활물질 결정 크기를 제어할 수 있고, 생성된 활물질에 따라 초기 성능 향상, 내구성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숙성반응 후 생성된 활물 중 3BS는 초기성능에는 유리 하였고, 4BS의 경우 초기 성능은 불리하였으나 내구 성능이 3BS활물질에 비해 48% 향상 되었다. 자동차용 납축전지를 ISG시스템이 적용된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해 평가하는 DOD17.5% 수명시험 평가 결과, 일반 자동차 시동용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Flooded 납축전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 되었고, AGM 납축전지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3BS 활물질을 적용한 AGM 납축전지에 비해 4BS 활물질을 적용한 AGM 납축전지가 내구력이 우수하여 ISG 시스템에 적용된 자동차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확장 13-Element EPSAR 안테나를 사용한 7×7 MIMO 시스템 (7×7 MIMO System Using Extended 13-Element ESPAR Antenna)

  • 복준영;이승환;유흥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2호
    • /
    • pp.69-76
    • /
    • 2014
  • MIMO 시스템은 통신 시스템의 채널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RF 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안테나 소형화에 문제가 있다. 게다가 다수의 RF 단으로 인하여 아날로그 회로에서의 전력 소모가 증가하고, RF 단의 간섭으로 인하여 통신 효율이 심각하게 저하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단일 RF 단을 가지면서도 MIMO 통신이 가능한 BS-MIMO 통신 방식이 제안되었다. BS-MIMO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ESPAR 안테나를 사용한다. 기존의 ESPAR 안테나는 5-element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3{\times}3$ MIMO 전송 까지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MIMO 차원을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ESPAR 안테나의 구조 확장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원 형태의 ESPAR 안테나의 구조 확장을 통해서 BS-MIMO 의 차원을 기존 MIMO 기술처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설계의 예로써, 13-ESPAR 안테나를 사용하면 $7{\times}7$ BS-MIMO 전송이 가능함을 보였다. 또한 기생 배열안테나의 수가 2개씩 증가할수록 전송 가능한 MIMO 차원이 일씩 증가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산지 및 치환율 변화가 순환잔골재 사용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Replacement Ratio and Sources of Blast Furnace Slag Powder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Recycled Fine Aggregates Based Mortar)

  • 한천구;자오양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7-26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BS)의 품질특성과 BS의 치환율 변화가 순환골재 사용 시멘트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BS 품질 특성치와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치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BS 품질특성은 9개 항목 중 4개 항목에서 불만족하는 공장이 존재하였는데, 이중에서도 분말도의 개선이 제일 중요하게 요구되었다. 또한, BS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순환골재사용 시멘트모르타르의 유동성은 증가하였으나 응결지연, 초기강도가 저하하는 문제는 존재하였으나, 단 잠재수경성반응으로 후기재령에서는 증가하였다. BS의 품질특성치와 시멘트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치간의 관계에서 이수석고와 관련하는 $SO_3$ 및 L.O.I는 응결시간, 3 및 91일 압축강도와 미약하지만 어느 정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죽염 제조공정에 따른 이산화황, 미네랄 함량 및 이화학적 특성 (Sulfur Dioxide, Mineral Cont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Generated during Manufacture of Bamboo Salt)

  • 김학렬;이성재;이정희;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248-1256
    • /
    • 2014
  • 자죽염(purple bamboo salt; PBS)을 제조하는 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원염(갯벌천일염, MSS; 죽염, BS)의 종류, 대나무 첨가에 따른 BS의 이화학적 특성, 황 화합물, 미네랄 함량 및 환원력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PBS에 함유된 $SO_2$와 산화환원전위(ORP)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BS를 고온에서 용융시켜 제조한 PBS에서 630 ppm의 $SO_2$가 검출되었다. PBS의 원료 염과 RB에서는 $SO_2$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염화물, 황산염류, 탄산염류와 대나무(RB)를 함께 탄화시켜 $SO_2$ 검출 원인을 확인한 결과 황산칼륨에 의해 782 ppm이 발생하였다. BS의 $SO_2$는 BSRB1(13.88)~BSRB4(109.13 ppm)에서만 발생하였고 $SO{_3}{^{2-}}$는 MSSRB4와 BSRB2~BSRB4에서만 발생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O_4{^{2-}}$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O_2$$SO_3{^{2-}}$가 많을수록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ORP는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BS에서 더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BSRB4(-211.40 mV)에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일반적 특성 중 불용분은 BS에서 더 높았으며 RB가 탄화되어 남은 물질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Ca, K, Mg의 경우 굽는 시간 경과에 따라 MSS는 감소, BS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BSRB4의 Ca는 1.4배, Mg는 1.5배 증가하였고 K 함량은 1.8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량 미네랄은 굽는 시간 경과에 따라 MSS에서 Li, Al, Mn, Fe, Sr이 증가되었고, BS에서 Al, Fe, Ni가 증가하였다. 음이온(Cl, $NO_3$, Br)과 중금속(Pb, Cd, Hg, As)은 각 요인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BS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환원력은 $SO_2$$SO_3{^{2-}}$와 같은 저분자 황화합물에 의한 것이며, 이는 한 번 굽는 과정을 거친 BS를 사용하고 이에 RB를 첨가하여 고온에서 용융하는 시간이 길수록 이들 황화물질이 많아져 환원력이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A Study on the Mixing method and Mixing Temperature of Positive Paste to Improve the Capacity of the Lead-Acid Batteries

  • Jeong, Soon-Wook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68-574
    • /
    • 2016
  • In this study, the mixing method of positive paste and mixing temperature to improve the capacity of the lead-acid batteries has been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initial current capacity of lead acid battery depend on the mixing temperature and mixing method of positive paste. In the results of the capacity cycle repetition tests for estimating the life cycle, the 3BS showed the PCL. but the fine 4BS represented certain improved cycles compared to that of the coarse 4BS. It was considered that the fine 4BS showed higher bond strength between active materials than the coarse 4BS and represented large contact areas and that lead to prevent possible sulfation due to the suppression of insulating layers.

Biosurfactant 생산균주 Pseudomonas aeruginosa F722의 배양특성

  • 오경택;고명진;박혜영;안길원;김환범;이지헌;강창민;정선용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393-397
    • /
    • 2003
  • P. aeruginosa F722는 탄화수소를 분해하는 과정에 biosurfactant (BS)를 생산한다. 탄화수소 분해에 사용되는 C-배지에서 BS 생산량은 0.78 $g/{\ell}$ 이였나, 질소원과 탄소원을 각각 0.05% (w/v) $NH_4Cl\;+\;0.1%$ (w/v) yeast extract과 3.0% (w/v) glucose로 조정한 경우는 BS 생산량이 1.66 $g/{\ell}$로 증가하였다. 최적의 BS 생산조건으로 배양하는 동안 air 1.0 LPM를 공급해 주었을 때는 공기를 공급하지 않을 때의 1.66 $g/{\ell}$보다 약 20% 증가한 1.94 $g/{\ell}$이였다. 뿐만 아니라, glucose 분해속도는 대수증식기와 정지기에서 air를 공급하지 않은 경우0.25, 0.18 $h^{-1}$였으나, 1.0 LPM를 공급한 경우 0.33, 0.29 $h^{-1}$로 조사되었다. 또한, air를 공급하면서 BS 생산 실험을 수행하였을 때, BS 활성이 더 안정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