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4-dihydroxybenzoic acid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1초

치자 열매에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3,4-Dihydroxybenzoic Acid의 분리 (Isolation of 3,4-Dihydroxybenzoic Acid, Which Exhibits Antimicrobial Activity, from Fruits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 임철근;문제학;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86-1391
    • /
    • 1999
  •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열매의 methanol추출물은 Gram양성 세균, Gram음성 세균, 효모 등의 미생물에 대하여 항미생물 활성을 보여,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ODS column chromatography, HPLC등에 의해 얻어진 활성 물질을 MS, GC-MS, $^{1}H-NMR,\;^{13}C-NMR$ 그리고 2D-NMR 등의 기기 분석에 의해 3,4-dihydroxybenzoic acid는 동정하였다. 치자 열매에서 3,4-dihydroxybenzoic acid가 항미생물 활성물질로 분리 동정된 것은 처음으로 생각된다. 3,4-dihydroxybenzoic acid는 건조 치자열매에 g당 $32.7\;{\mu}g$ 정도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두릅수피에서 항미생물활성을 갖는 3,4- dihydroxybenzoic acid의 분리 (Isolation of 3,4-Dihydroxy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Bark of Aralia elata)

  • 마승진;고병섭;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07-812
    • /
    • 1995
  • 두릅나무(Aralia elata $S_{EEMANN}$) 껍질의 MeOH 추출물이 세균과 효모, 곰팡이에 대해 항미생물 활성을 보여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l partition chromatography, HPLC, TLC 등의 기법으로 주활성본체를 분리하였다. MS, GC-MS, IR, 1^H-NMR, 13^C-NMR 등의 기기분석을 통해 항미생물 활성의 본체구명을 시도한 결과 3,4-dihydroxybenzoic acid로 동정되었다. 3,4-dihydroxybenzoic acid가 항미생물 활성본체로서 분리된 것도 처음으로 생각되며 두릅에서 이 물질이 분리, 동정된 것도 처음으로 생각된다. 건조 두릅껍질 g당 3,4-dihydroxybenzoic acid의 함량은 0.869mg 정도이었다.

  • PDF

도파민으로 수식된 3,4-dihydroxybenzoic acid 고분자 피막전극을 이용한 Ti(IV)이온의 정량 (Poly-3,4-dihydroxybenzoic Acid Film Electrodes Modified with Dopamine for Determination of Ti(IV) Ions)

  • 차성극
    • 전기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0-133
    • /
    • 2003
  • 3,4-dihydroxybenzoic acid(3,4-DHBA)를 전기화학법으로 유리탄소 전극 위에 중합하여 GC/p-3,4-DHBA형의 전극을 제작한 후 이 전극을 도파민으로 재 수식한 전극을 제작하였다. 이 때 고분자 피막 상에 카르복시기와 도파민의 아민 기간에 짝 짓기 반응은 1-(3-dimethylaminopropyl)-3-ethyl carbodiimide hydrochloride(EDC)의 존재하에서 진행되었다. 이 반응과정에서 반응한 도파민의 양은 수정판 분석기(quartz crystal analyzer:QCA)에 의하여 결정하였으며 그때 전극형태는 QCA(Au)/p-3,4-DHBA-dopamine이었다. 이 전극의 표면은 o-퀴논부분을 갖고 있어서 티탄이온에 선택성이 큰 특성을 갖고 있다. 이 전극의 산화환원과정은 $hydroquinone = quinone +2H^+2e^-$으로 두 개의 강한 파와 두개의 약한 파가 CV과정에서 관찰되었다. 이 수식전극으로 Ti(IV)이온을 $4.13\times10^{-5} gcm^{-2}$만큼 포집할 수가 있었다. 이 수식 전극으로 $5.25\times10^{-4}M$에서 $5.25\times10^{-8}M$농도범위까지 정량 할 수 있는 상관계수가 0.997인 검정선을 얻었다.

복분자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의 동정 및 활성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Rubus coreanum Fruit)

  • 윤인;조정용;국주희;위지향;장미영;안태회;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98-904
    • /
    • 2002
  • 복분자를 착즙하여 착즙액과 잔사로 나누고, 각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각 획분을 대상으로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측정하였더니, 각 추출물의 EtOAc 가용산성획분에서 비교적 강한 활성이 나타났다. 이들 획분에 함유된 활성물질을 규명하고자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한 다음 활성획분을 G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분자 착즙액의 EtOAc 가용 산성획분에 함유된 물질로 4-hydroxybenzoic acid,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3,4,5-trihydroxybenzoic acid, and 3,4-dihydroxycinnamic acid 등이 동정되었고, 잔사 MeOH 추출물의 EtOAc 가용 산성획분에 함유된 물질로 succin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citric acid, 3,4,5-tri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cinnamic acid가 동정되었다.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과 hydroxyl radical에 의한 malonaldehyde 생성억제 효과활성 등의 방법으로 동정된 물질의 항산화 활성이 평가되었다.

Antioxidative activity of compounds from cultivated Phellinus linteus

  • Jung, Eun-Joo;Yang, Ki-Soo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78.2-378.2
    • /
    • 2002
  • Phellinus linteus has been used as anti-tumor and immuno stimulating agents in folk remedies. From precipitate of MeOH ex. by activited guided fractionation. 5.8-epidioxy ergosta-6.22-dien-3ol. palmitic acid. linoleic acid, and methyl linolate. 3.4-dihydroxybenzoic acid methylester and 4-(3'4'-Dihydroxyphenyl)-3-butene-2one were isolated. DPPH method was used to examine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isolated compounds. As the result, 3.4-dihydroxybenzoic acid methylester, and phenolic compound. 4-(3'4'-Dihydroxyphenyl) -3-butene-2one were found to be a scavenger of 1,1-diphenyl-2-picrylhydrzyl radical. (omitted)

  • PDF

흑양파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인 3,4-Dihydroxybenzoic acid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3,4-Dihydroxybenzoic acid from Black Onion)

  • 양아여;조정용;박양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9-234
    • /
    • 2012
  • 양파의 매운 맛과 냄새를 감소시켜 섭취가 용이하도록 제조된 흑양파가 항산화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어있어서 흑양파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흑양파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들 중 EtOAc층이 높은 DPPH와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다. 그래서 EtOAc층을 silica gel과 Sephadex LH-20 등의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2종의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단리한 이들 화합물을 대상으로 ESI-MS 및 NMR 분석을 통하여 3,4-dihydroxybenzoic acid (1)와 quercetin (2)로 각각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ABTS^+$ 및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으며, 화합물 2는 화합물 1에 비해 더 높은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다.

페놀 화합물로부터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 물질 탐색 (Screening of Phenolic Compounds with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HMG-CoA Reductase)

  • 손건호;이주연;이정순;강삼식;손호용;권정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5-333
    • /
    • 2017
  • 심혈관계 질환은 질환별 사망률 순위에 있어서 세계에서는 1위이며, 우리나라에서는 2위인 질병이다. 심혈관계 질환 발생의 주 위험 요인인 콜레스테롤은 HMG-CoA reductase에 의해 간에서 신생합성이 조절된다. 현재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에 statin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광범위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어서 이를 대체하거나 보조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기능성 물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혈장 콜레스테롤 감소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발굴하고자 71종의 페놀 및 그와 관련된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10ug/ml 농도에서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1,4-naphthoquinone의 HMG-CoA reductase 저해율이 99.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lumbagin 91.4%, pentagalloyl ${\beta}-D-glucose$ 46.6%, 2,4-dihydroxybenzoic acid 40.9%, shikonin 37.7%, 1,2-naphthoquinone 36.6%, trans-cinnamic acid 32.0%, acetonylgeraniin 30.2%, benzoic acid 28.5%, geraniin 28.3%, gentisic acid 22.3%의 순이었다. $IC_{50}$값을 계산한 결과, 1,4-naphthoquinone가 $2.1{\mu}g/ml$로 가장 낮았으며, plumbagin과 pentagalloyl ${\beta}-D-glucose$은 각각 $5.8{\mu}g/ml$$13.1{\mu}g/ml$으로 나타났다. 1,4-naphthoquinone과 plumbagin의 경우, $5{\mu}g/ml$에서도 각각 90.3%와 43.3%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Poly-3,4-dihydroxybenzaldehyde Modified with 3,4-dihydroxybenzoic acid for Improvement of Electrochemical Activities

  • Cha Seong-Keuck
    • 전기화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67-172
    • /
    • 2004
  • 3,4-dihydroxybenzaldehyde(3,4-DHB) was oxidatively el electropolymerized on glassy carbon (GC) electrodes to prepare CC/p-3,4-DHB type electrodes, which were subsequently modified with 3,4-dihydroxybenzoic acid(3,4-DHBA) using 0.05M HCI as a catalyst. The esterification reactions were performed between -OH sites on the polymeric film surface of the p-3,4-DHB and the -COOH sites within the 3,4-DHBA molecules in solution. These reactions had a rate constant value of $1.1\times10^{-1}\;s^{-1}$ for the esterification step as obtained from the first-order rate constant in the solution. The electrochemical responses of the GC/p-3,4-DHB-3,4-DHBA electrodes exert an influence upon the buffer solution, its pH and applied potential ranges. The redox process of the electrode was more easily controlled by charge transfer kinetics than that of the CC/p-3,4-DHB. The modified electrodes had redox active sites that were 10 times more active than those present before modification. The electrical admittance of the modified electrodes was also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unmodified electrodes. After being annealed in ethanol for 20 hrs the electrodes brought about a 3.3 times greater change of water molecules in the redox reaction. The modified electrodes are stable in the potential range of 0.4 to 0.55V.

유용식물로부터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LDL)에 대한 항산화제의 탐색 (Screening of Antioxidative Compounds towar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from Useful Plants)

  • 임복규;류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8-146
    • /
    • 2004
  • 본 연구는 유용식물로부터 DPPH free radical scavenger및 사람의 low density lipoprotein(LDL)의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25종의 식물로부터 메탄올로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각종 유용식물 중 항산화 활성은 우수한 달맞이꽃이 가장 높았으며 다시 메타놀로 추출하여 조사한 결과 $\alpha$-tocopherol과 항산화능이 거의 비슷하였다. 메타놀 추출물을 ethylacetate로 추출한 획분이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ethylacetate 층 중 acidic soluble 획분을 다시 분리한 후 Sep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추출한 결과 Fraction F-2가 전자공유능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높은Fraction, F-2의 구조를 동정한 결과 3,4-dihydroxybenzoic acid와 3-hyoxycinnamic acid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