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입체 콘텐츠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Integrated editing system for 3D stereoscopic contents production (3차원 입체 콘텐츠 제작을 위한 통합 저작 시스템)

  • Yun, Chang-Ok;Yun, Tae-Soo;Lee, Dong-Ho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3 no.1
    • /
    • pp.11-21
    • /
    • 2008
  • Recently, it has shown an increased interest in 3D stereoscopic content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image media. Therefore, many techniques in 3D stereoscopic image generation hav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te high immersion and natural 3D stereoscopic contents, because the lack of 3D geometric information imposes restrictions in 2D image. In addition, control of the camera interval and rendering of the both eyes must be repetitively accomplished for the stereo effect being high. Therefore, we propose integrated editing system for 3D stereoscopic contents production using a variety of images. Then we generate 3D model from projective geometric information in single 2D image using image-based modeling method. And we offer real-time interactive 3D stereoscopic preview function for determining high immersion 3D stereo view. And then we generate intuitively 3D stereoscopic contents of high-quality through a stereoscopic LCD monitor and a polarizing filter glasses.

  • PDF

3 Dimensional Perspective Image Generation and Application for Geo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of University Campus (대학캠퍼스 지공간정보 관리를 위한 3차원 투시영상의 생성과 적용)

  • 연상호;홍일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137-143
    • /
    • 2004
  • 다양한 지형공간과 시설물이 공존하는 대학캠퍼스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그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2차원 평면적 요소와 결합된 3차원 이상의 공간정보의 생성은 매우 중요한 캠퍼스 관리의 선택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사용가능한 지형도와 시설도 및 영상자료를 정확한 위치정보로 추출 또는 변환하여 지형공간 내에 존재하는 도로, 건물, 기타 시설물을 입체적으로 중첩함으로서 3차원 이상의 입체적 효과는 물론 부분적으로는 이동접근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작업을 적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3-D Geo Spatial Information by Integration of RS and GIS data (원격탐사와 GIS 데이터의 통합에 의한 3차원 지형공간정보시스템 적용 연구)

  • 연상호;홍일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80-383
    • /
    • 2003
  • 지형공간에 대한 3차원 이상의 입체적인 지공간에 대한 시각화와 더불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지형공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에 존재하는 정부의 취득과 표현기법이 신속하고 다양한 정보의 분석과 정리가 필수적인 숙제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렬 연구에서는 농촌 및 산촌지역을 대상으로 수집한 위성영상과 국립지리원에서 제작한 수치지도를 이용해 정밀지형보정을 실시하고 DEM과 정사영상을 이용해 3차원 이상의 다차원적인 공간정보시뮬레이션을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입체적인 조감도의 작성기술은 각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기술로 활용될 수 있어,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기존의 수치지형도와의 결합을 통한 3차원 영상 지도의 제작을 시도하여 다차원적인 분석이 가능한 입체 영상 조감도를 작성하였으며, 비행 시뮬레이션 기법에 의한 가상적인 접근이 가능한 연구결과를 얻어냄으로써 지형공간정보의 고부가 콘텐츠 활용을 유도하도록 하였다.

  • PDF

3D Image Capturing and 3D Content Generation for Realistic Broadcasting (실감방송을 위한 3차원 영상 촬영 및 3차원 콘텐츠 제작 기술)

  • Kang, Y.S.;Ho, Y.S.
    • Smart Media Journal
    • /
    • v.1 no.1
    • /
    • pp.10-16
    • /
    • 2012
  • Stereo and multi-view cameras have been used to capture the three-dimensional (3D) scene for 3D contents generation. Besides, depth sensors are frequently used to obtain 3D information of the captured scene in real time. In order to generate 3D contents from captured images, we need several preprocessing operations to reduce noises and distortions in the images. 3D contents are considered as the basic media for realistic broadcasting that provides photo-realistic and immersive feeling to users. In this paper, we show technical trends of 3D image capturing and contents generation, and explain some core techniques for 3D image processing for realistic 3DTV broadcasting.

  • PDF

Geospatial Data Display Technique for Non-Glasses Stereoscopic Monitor (무안경식 입체 모니터를 이용한 지형공간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기법)

  • Lee, Seun-Geun;Lee, Dong-Ch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6
    • /
    • pp.599-609
    • /
    • 2008
  • Development of computer and electronic technology leads innovative progress in spatial informatics and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cision making in various applications. However, information display media are two-dimensional plane that limits visual perception. Understanding human visual processing mechanism to percept stereo vision makes possible to implement three-dimensional stereo image display. This paper proposes on-the-fly stereo image generation methods that are involved with various exterior and camera parameters including exposure station, viewing direction, image size, overlap and focal length. Collinearity equations and parameters related with stereo viewing conditions were solved to generate realisitc stereo imagery. In addition stereo flying simulation scenery was generated with different viewing locations and directions. The stereo viewing is based on the parallax principle of two veiwing locations. This study implemented anaglyphic stereogram, polarization and lenticular stereo display methods. Existing display technology has limitation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and dynamic nature of the real world because the 3D spatial information is projected into 2D plane. Therefore, stereo display methods developed in this study improves geospatial information and applications of GIS by realistic stereo visualization.

The Implementation Of Field-Sequential Stereoscopic Endoscope System Using LCD shutter (LCD 셔터를 이용한 시분할 입체 복강경 시스템의 구현)

  • Seo, Burm-Suk;Choi, Chul-Ho;Kwon, Byeong-Heo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5 no.1
    • /
    • pp.73-78
    • /
    • 2004
  •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field-sequential stereoscopic endoscope system that can generate stereoscopic images with different perspective depth using LCD shutter. The stereoscopic image is generated form stereoscopic adapter that has LCD shutter. We have compared the stereoscopic depth of a field-sequential stereoscopic endoscope system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endoscope system. And the implemented system is verified by evaluation the field-sequential stereoscopic image on a Monitor. This system will be use to medical instruments in time.

  • PDF

A Development of Depth Budget Control Module for 3D Stereoscopic Image Contents (3차원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을 위한 깊이 제어 카메라 모듈 개발)

  • Seo, Chang-Ho;Youn, Joo-Sang;Seo, Jin-Seok;Kim, Nam-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201-203
    • /
    • 2015
  • 편안한 3차원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을 위해선 시청 환경 조건에 부합하는 최적의 제작 방법을 필요로 한다. 현재의 입체영상 제작 과정은 경험자의 지식이나 시청자 실험에 기반 한 가이드라인들을 활용하고 있으나, 특정 제작 환경에 국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가이드라인 도출을 위해선 다양한 카메라 제어 및 시청 환경 요소를 고려한 실험용 입체영상이 제작되고, 그 실험 영상을 기반으로 다양한 시청자 실험 데이터가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실험용 입체영상 제작은 단기간에 이루어지고, 실험 목적 변경에 따라 변화 요인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실험용 입체영상 제작을 위해, 상업용 3D 게임 엔진 저작 툴(Unity3D)에서 운용되고, 깊이예산(Depth Budget) 제어가 쉽게 가능한 입체 카메라 모듈을 구현하고, 구현된 모듈을 활용한 입체영상의 제작 예를 보여준다.

  • PDF

Study on intuitively 3D Solid Contents Authoring Tool based on Multi-View Camera (다시점(Multi-View) 카메라 기반 직관적인 3D 입체 콘텐츠 저작도구에 대한 연구)

  • Roh, Jin-Lee;Lee, Jeong-Joong;Joo, Sang-Hyun;Baik, S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436-438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혁신적인 영상 기술 발전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환경에 활용 가능한 3차원 기반의 다양한 입체 콘텐츠 제작을 위한 다시점(Multi-View)카메라 기반의 3D콘텐츠 저작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 결과 및 활용사례를 소개한다. 3D입체 콘텐츠 저작기술은 양안시차를 고려한 다시점(Multi-View) 카메라 배치 및 렌더링 기술을 적용한 방식으로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일정품질 이상의 생동감 있는 3D 입체 콘텐츠를 쉽게 제작 및 활용 가능하도록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구현하였다.

A Study on 3D Stereoscopic Correction Methods Based on 3D Computer Graphics (그래픽스 기반의 3차원 입체영상제작 보정에 관한 연구)

  • Lee, Jun-Sang;Lee, Im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53-354
    • /
    • 2012
  • 최근 입체영상구현 기술연구는 현실감 있는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 다양하고 새로운 영상 제작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입체영상 재현의 기술적 문제에 집중되어 있고 3D 그래픽스를 기반으로 한 입체영상 제작 기술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그래픽스 환경에서 입체영상콘텐츠에 대한 입체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기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3차원 입체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그래픽스 환경에서 실재감 있는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입체제작 원리와 제작을 활용한 영상보정 기법을 사용하여 키스톤 왜곡에 대한 현상을 보정하고 구현 가능한 제작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User-Centric 3D Stereoscopic Display Technologies (사용자 중심형 3D 입체 디스플레이 기술)

  • Yang, U.Y.;Ryu, S.W.;Kim, K.H.;Lee, G.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3
    • /
    • pp.51-61
    • /
    • 2012
  • 정보통신과 콘텐츠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는 고품질의 2차원 가시화 형태의 콘텐츠에 만족하지 않고, 보다 사실적인 체험이 가능한 3D 콘텐츠를 요구하고 있다. 2010년대에는 이미 3D 입체 디스플레이 기술이 소비자 가전 시장에서 주요 관심 대상이 되었고, 가상현실 연구의 전통적인 가시화 인터페이스로 활용된 착용형 디스플레이와 몰입형 및 대형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도 3D 영화관 및 전시관 등을 통해서 일반 소비자기 쉽게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3D 입체 디스플레이 기술은 사용자 개인을 중심으로 보다 사실적인 입체감과 공간감을 제시하려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개인 사용자 중심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기술과 고품질의 3D 영상 체험을 제공하는 관련 디스플레이 기술의 동향을 정리하고, 국내 최신 연구 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