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모델 형성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Observation and Analysis of Break Out at the Exit Stage in Oblique Cutting (3차원 절삭에서의 공구이탈시 발생하는 파단현상의 관찰및 해석)

  • ;D.A. Dornfel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2 no.9
    • /
    • pp.115-125
    • /
    • 1995
  • 부품가공에 있어서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버제거를 위한 고도의 기술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CIM 체제에서는 버제거의 자동화를 위하여 가공중에 발생하는 버형성과 파단현상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이미 연구된 2차원절삭에서의 버형성 모델을 실제적인 3차원절삭에 적용하기 위하여 기존의 모델을 수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3차원 절삭모델로는 절삭인선에 수직한 면에서의 칩과 공구의 상대운동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하는 Rubenstein의 가정이 사용되었다. 본연구에서 다루에되는 롤오버(roll-over) 버는 항상 공구진행방향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3차원절삭에서의 버형성을 공구진행방향의 평면내에서의 2차원 절삭의 집합 으로 가정하였다. 공구의 기울림각(inclination angle)이 커질수록 버형성의 크기나 파단면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두종류의 파단이 버형성중에 관찰되었다. 하나는 가공물 끝면에 평행하게 파단면이 발생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이에대하여 기울어진 파단이 일어났다. 가공물 끝면에 평행한 경우는 수정된 모델로부터 등가초기공구위치( equivalent initial tool distance)로부터 예측이 가능하며 기울어진 경우는 이결과와 공구의 기울림각으로부터 파단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 PDF

Model Generation Using Moire Based 3D Shape Extraction (모아레영상기반 3차원 형상정보 추출을 이용한 모델생성)

  • 정연구;최이배;김기호;권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99-104
    • /
    • 1998
  • 3차원 형상정보 추출기술은 3D스캐너에 활용되어 실물의부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주로 사용되는 기술은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만드는 기술과 스테레오기법에 의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모아레기법을 사용하여 영상정보를 프레임단위로 해석함으로써 3차원 형상 정보를 빠른 시간내에 추출하고, 수평 360도 방향에 대해서는 3∼4프레임을 해석하여 형상정보를 통합하였고, 이로부터 3차원 모델을 생성하였다. 모아레기법의 장점은 3차원 정보를 레이저기법보다 정밀하게 추출할 수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모아레영상을 해석하여 3차원 형상정보를 추출하는 방법, 추출된 3차원 형상으로부터 메쉬최적화와 텍스춰매핑(Texture Mapping)을 사용하여 3차원 모델을 형성하는 방법들을 제안한다.

  • PDF

3D Model Construction from Image Scanning without Iteration or SVD (2차원 영상 템플릿으로부터 3차원 모델 템플릿 형성 - SVD가 필요 없는 선형 방법)

  • Han, Youngm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11
    • /
    • pp.165-170
    • /
    • 2013
  • When we build up a 3D model from the given 2D images, linear algorithms are often used to reduce computational cost or for initialization of nonlinear algorithms. However, contemporary linear algorithms have apparently linear structures, but virtually they are implemented using SVD. The SVD is also implemented using numerical analysis algorithms that need initialization. Moreover, solutions using SVD are more difficult to analyze than closed-form solutions. To avoid from such inconvenient numerical analysis algorithms of the contemporary methods and for convenient analysis of solutions, this paper proposes a convenient linear method that produces a closed-form solution.

동지나해의 세격자망 3차원 모델

  • 최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7.07a
    • /
    • pp.261-261
    • /
    • 1987
  • 황해의 조석 역학을 포함한 중규모 순환을 연구하기 위해 수립되었던 황해 조석 모델(최, 1980 ; 최, 1984)을 세격자체계로서 개선하였다. 과거 기본모델의 위도 1/5도, 경도 1/4도의 해상도(약 12 해리)는 본 모델에 의해 위도 1/15도, 경도 1/12도의 세격자체계로서 육붕 전역을 자세히 해상시켰다. 모델은 일차적으로 주태음반일주조에 의한 황해의 평균 조석 상황을 재현시키는데 이용되었으며 산정된 조류의 검증은 86년 동계의 해양관측중 해류관측결과(미국 Florida 주립대 - 성균관대 협력연구)로서 수행하였다. 계산 결과에 의하면 과거 모델보다 높은 해상력에 의해 연안에서의 조석 파급 효과가 개선되게 산정되었으므로 연안 해양학적인 각종 응용에 더 나은 입력 및 해석에 이용될 수 있다. 계산 시간간격은 69.00333초로서 1태음조석 주기당 648 timestep 을 형성하였는데 매 조석주기당 약 80 C.P.U.(분)이었으며 7번째 조석주기의 산정 결과를 분석하는데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기보고된 세계 여타 해역의 육붕모델보다도 자세한 해상도를 갖는 3차원 모델의 결과로서 여겨진다. 아마도 육붕단의 조석 관측이 모델 개선을 위해 필수적인 사항으로 대두되는데 이는 조석 입력(예: 구주 서측 deamphidromic zone)의 중요성이 판별되었기 때문이다. 모델을 이용한 추후의 연구는 극한 상황의 3차원적 해류 분포, 대륙붕 해저 경계층 연구를 포함하는 퇴적 역학 연구 등이 될 것이다.

  • PDF

NUMERICAL STUDY OF MODEL AND WALL INTERFERENCE IN A SUPERSONIC WIND TUNNEL (초음속 풍동내에서의 모델과 벽면 간섭에 관한 수치적 연구)

  • Hong S. K.;Ahn H. K.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5.10a
    • /
    • pp.213-218
    • /
    • 1995
  • 마하수 4일때 초음속 풍동의 벽면과 모델지지부의 간섭에 관해 연구하였다. 특히 모델지지부 주위에서의 충격파 형성과 sting, strut 그리고 second throat에서의 반사 충격파의 상호 작용에 연구의 촛점을 두었다. 수치 기법은 내재적 플럭스 차분 분할기법 (implicit flux-difference splitting technique)을 사용하였다. 2차원과 3차원 유동해석 결과로부터 모델지지부 후류의 유동에 미치는 diffuser 출구 경계조건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 PDF

삼광광산 주변에 분포한 열극대가 지하수 유동체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김계남;김천수;김길정;강일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577-582
    • /
    • 1996
  • 지하수 유동체계 해석 모델인 2차원의 TRAFRAP 모델과 3차원의 MODFLOW모델을 사용하여 삼광광산 주변일대를 모델링하였다. 그 결과 암반내의 평균 지하수 유동속도는 1m/년 총 지하수 유출량은 640㎥/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열극대를 고려하여 유동체계를 해석하면, 열극대 주변에서는 물이 빠르게 유동하므로 수두값이 작아지고 지하수 유동로는 평균 100 m 정도 깊은 곳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 PDF

Numerical Model for Predicting Sand Bar Formation around River Mouth (하구역의 사주 형성 예측을 위한 수치 모델)

  • Kuroiwa, Masamitsu;Matsubara, Yuhei;Suzuki, Yoko;Kuchiishi, Takayuk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6 no.2
    • /
    • pp.96-102
    • /
    • 2014
  • A three-dimensional beach evolution model was presented to predict morphodynamics around a river mouth. The presented model was based on the depth-averaged (2DH) and quasi three-dimensional (Q-3D) nearshore current modules, and the model took into account shoreline changes, the effect of advection diffusion of suspended load and discharged sediments from the river. First, the 3D beach evolution model was applied to the formation of sand spits and terrace at the river mout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Secondly, the model was applied to the river mouth at the Ara River, facing the Sea of Japan. The formation of sand spit at the Ara River in winter season was reproduced. The computed result showed qualitatively agreement with field site observation.

Three-dimensional Effects of an Axi-symmetric Pintle Nozzle (축대칭 핀틀노즐의 3차원 효과 분석)

  • Lee, Gang-Min;Sung, Hong-G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2 no.6
    • /
    • pp.47-55
    • /
    • 2018
  •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ree-dimensional effects exist in a pintle nozzle of axisymmetric shape,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e compressibility correction was implemented with the k-${\omega}$ SST turbulence model to predict the complex flow separation transition in acceptable accuracy. Recirculation zones were observed at both the front end and rear faces of the pintle, and the flow through the pintle nozzle conveyed complex shock wave structures. Three-dimensional effects that resulted from the reasonable flow separation location were noted, and a trace of the transient pressure increase was observed, mismatched by a two-dimensional axi-symmetric analysis.

The Case Study : The Efficiency of Using UAV and 3D-model for Mine Reclamation Work Monitoring (무인항공기와 3차원 지표모델의 광해방지사업 모니터링에 대한 효율성 고찰)

  • Kim, Seyoung;Yu, Jaehyung;Shin, Ji Hye;Lee, Gilljae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0 no.1
    • /
    • pp.1-9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3D modeling on mine reclamation monitoring. The high spatial resolution of 3.8 cm ortho-mosaic image and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re constructed based on UAV air survey. The ortho-mosaic image effectively shows mine reclamation activities and recognize objects and topological changes in the imag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3D models between UAV based DEM and report based DEM reveals that total amount of $268,672m^3$ additional dumping of contaminated soil is equivalent to 710,000 ton. It concludes that a UAV based survey enables high accuracy spatial information extraction for mine reclamation activities with high efficiency. It is expected that UAV survey will be very effectively used for preliminary data acquisition and project monitoring for mine reclamation activities.

Microsoft Kinect-based Indoor Building Information Model Acquisition (Kinect(RGB-Depth Camera)를 활용한 실내 공간 정보 모델(BIM) 획득)

  • Kim, Junhee;Yoo, Sae-Woung;Min, Kyung-Wo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1 no.4
    • /
    • pp.207-213
    • /
    • 2018
  • This paper investigates applicability of Microsoft $Kinect^{(R)}$, RGB-depth camera, to implement a 3D image and spatial information for sensing a targ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of the Kinect camera and the pixel coordinate system is formulated. The calibration of the camera provides the depth and RGB information of the target. The intrinsic parameters are calculated through a checker board experiment and focal length, principal point, and distortion coefficient are obtained. The extrinsic parameter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inect cameras consist of rotational matrix and translational vector. The spatial images of 2D projection space are converted to a 3D images, resulting on spatial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depth and RGB information. The measurement i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length and location of the 2D images of the target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