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디스플레이 장비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tudy on Applying 3D Display Device for Effective Update of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Stereovision (입체시 기반 공간정보의 효율적 갱신을 위한 3차원 디스플레이 장비 적용에 관한 연구)

  • Choi, Sun-Ok;Kim, Dong-Wook;Kim, Deok-In;Wie, Gwang-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6
    • /
    • pp.601-611
    • /
    • 2011
  • The paper deals with the selection of 3D display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conveniences and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by applying 3D display devices to Spatial Information Update System (SIUS) which generate edit and update digital thematic maps. After applying different manufacturer's 3D display devices to SIUS, aerial images acquired from the stereo images were displayed through the devices and spatial information was extracted from the displayed 3D images. Assessment of 3D display devices were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n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and user's conveniences. Planar's PL2020 and Redrover's Tru3Di 3D monitor has expressed outstanding display environment in 3D related tasks for the generation of spatial information compared to other 3D display devices. System improvement is expected regarding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work efficiency and user's conveniences.

비접촉 3차원 검사장비의 기술동향 및 시장동향

  • 유인상
    • The Optical Journal
    • /
    • v.14 no.4 s.80
    • /
    • pp.56-58
    • /
    • 2002
  • 최근들어 FPD(평판 디스플레이), MEMS, 반도체, 광부품 등의 분야에서 극미세화의 경향이 보이고 있다. 이들의 가공기술과 더불어 검사장비 역시 2차원 마이크로미터의 수준에서 3차원 나노미터 정밀도를 갖는 장비로 급속도로 교체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고에서는 반도체에 이어 한국의 기술력을 세계 1위로 끌어올린 FPD 분야에서 3차원 검사장비의 활용을 중심적으로 기술 및 시장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공초점 주사 현미경에서 고속, 고품질 3차원 영상복원을 위한 최적조건

  • Kim, Tae-Hun;Kim, Tae-Jung;Gwon, Dae-Ga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6.10a
    • /
    • pp.5-9
    • /
    • 2006
  • 공초점 주사 현미경(Confocal Scanning Microscope, CSM)은 Bio-cell 및 특정 형태를 가지는 object의 고분해능 3차원 영상복원이 가능하여 3차원 측정장비로 주로 사용된다. 특히 LCD 패널 및 반도체 웨이퍼의 불량 검사 장비로의 활용이 가능하여 3차원 영상으로부터 불량 여부와 원인을 알아낼 수 있다. 하지만 생산 공정에서 불량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고속, 고품질의 성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공초점 주사 현미경을 이용하여 고분해능으로 고속, 고품질의 3차원 영상복원을 할 때 어떠한 조건이 요구되는지 알아보고 시뮬레이션 하도록 하겠다.

  • PDF

Representing GIS information by using IR Camera and LCD Display (적외선 카메라와 LCD 모니터를 활용한 GIS 활용 방안)

  • Kim, Woohyeon;Moon, Sujung;Kim, Jonghwa;Kim, Daehyeon;Nam, Wookjin;Kim, Jee-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55-156
    • /
    • 2011
  • 기존의 디스플레이는 2차원적인 평면 이미지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장비를 설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LCD 디스플레이 내부에 3차원 입체적인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때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u-City 환경에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GIS 정보가 LCD 디스플레이 내부에 입체적인 형태로 보다 효과적으로 보여진다.

  • PDF

An Affective 3D Facial Makeup Simulation Using a Multi-sensory Interaction (다중 감각 인터랙션을 이용한 감성적 3차원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 Kim, Jeong-Sik;Kim, Hyeon-Joong;Choi, Soo-M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00-506
    • /
    • 2007
  • 얼굴에 대한 시각적 인지는 오랫동안 인간에게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수 세기 동안 이루어져 왔던 미용 화장과 성형, 치아 교정 등의 다양한 연구는 사람의 얼굴을 감성적 측면에서 어떻게 하면 아름답게 만들 수 있는 가에 초점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휴먼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햅틱 장치와 스테레오 디스플레이를 혼합한 다중 감각 인터랙션 기반의 감성적인 3차원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본 연구는 3차원 스캐너 장비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모델을 추출하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urface elements 표현 기반의 3차원 얼굴 필터링 방법과 얼굴 메이크업을 지원하는 페인팅 방법을 개발한다. 우선 사용자의 얼굴 모델을 3차원 스캐너로 획득한 후, 전처리 얼굴 필터링을 수행하여 조명, 그리고 사용자 얼굴 피부 상태에 기인하는 에러 및 속성들을 보정하고 피부 톤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으로 변경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햅틱 및 스테레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페인팅 표면 모델에 메이크업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surface elements 표현 기반의 그래픽 렌더링은 일반적인 메쉬 기반 페인팅의 문제점인 텍스쳐 왜곡 현상을 완화하고, 3차원 스캐너 장치에 기인하는 표면 에러를 보정한다. 그리고 전처리 얼굴 필터링과 메이크업 페인팅 방법은 사용자 중심의 감성적인 3차원 얼굴을 재구성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러한 기술들이 다중 감각 인터페이스 기반의 메이크업 시뮬레이터의 기본 프레임워크가 되어, 차후 메이크업이나 코디네이션 분야 등의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Display System of Realtime 3D Bathymetry Using Remote Sensing Exploration and Cloud Computing Technologies (원격탐사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3D 해저지형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 Lee, Jong-Hoon;Park, Man-G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7 no.2
    • /
    • pp.152-159
    • /
    • 2014
  • Recently. utilization of remote sensing exploration and cloud computing has been extended to efficient measurement, store, and update of bathymetry map data according to cloud computing technology. In the field of real ocean, water depth measurements and measurement data management, distribution, and display equipment for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have generated a lot of time and cost. To improve these problems, through real-time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at this location, we can determine the importance of measurement activities, and reduce the time and cost of measurement activities. Data measured from marine probe vessels and remote sensing exploration equipments and other various channels can be handled and manag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through the depth measurements from remote sensing exploration. The proposed real-time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the field of measurement of the topographical survey of the land as well as bathymetry of the sea.

디스플레이 공정용 유도 결합형 플라스마 시스템에서의 전자기적 특성 연구

  • O, Seon-Geun;Lee, Yeong-Jun;Kim, Byeong-Jun;Jeon, Jae-Hong;Seo, Jong-Hyeon;Choe, Hu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257.2-257.2
    • /
    • 2014
  • 디스플레이 공정용 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장비의 공정영역별 전자기적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9개의 안테나가 적용된 3차원 구조에서 Ar 플라스마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안테나에 인가된 전류, 공정압력, power등 공정 조건별로 안테나로부터 유도된 전기장과 자기장을 구하고, 이들로부터 poynting's theorem을 적용하여 플라스마의 resistance와 reactance를 계산하였다. 이로부터 공정조건별 플라스마의 전기적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 PDF

3D Pottery Modeling in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기반의 3차원 도자기 모델링 시스템)

  • Han, Gab-Jong;Hwang, Jane;Choi, Seung-Moon;Kim, Joung-Hyun Gerard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83-88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카메라와 간단한 마커(Marker)를 이용하여 디포머블(Deformable)한 3차원의 도자기 모델을 손을 이용하여 자연스러우면서도 직관적으로 변형시키고, 이를 실제 물체들과 같이 디스플레이 해 줌으로써 실재감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값비싸면서도 거추장스러운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카메라와 마커의 상대적인 위치를 통해서 손의 움직임을 알아내게 되고, 알아낸 움직임을 이용하여 물체를 이동시키거나 변형시키는 등의 모델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변형된 모델에 대한 결과를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실제 환경 상에 존재하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해 주는 방법을 통해서 물체의 크기 및 모양을 좀더 실재감 있게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법은 비단 도자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며, 보통 컴퓨터가 있는 집에 화상카메라가 하나 정도는 있다는 점에서 활용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method for the realistic Rendering of 3D Objects (3차원 객체의 사실적인 표현을 위한 측정데이터 기반 렌더링 기법)

  • Seo, Myoung-Kook;Kwon, Hyuk-Jin;Yoon, Bok-Joo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5.10a
    • /
    • pp.1499-1501
    • /
    • 2015
  • 본 연구는 컴퓨터그래픽스 분야에서 3차원 객체를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주요 데이터 측정, 모델링, 렌더링 기술을 소개한다. 객체의 최종 외관은 객체의 형상과 표면 재질, 그리고 주변 광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임의 가상공간(디스플레이)에서 3차원 객체를 사질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주요 영향 인자에 대한 정보가 확보되어야 한다. 최근 컴퓨터그래픽스 분야에서는 객체 형상 및 재질 정보 획득을 위한 다양한 기술 및 장비와 객체 가시화를 위한 다양한 기법을 제시하고 있다. 효과적인 객체 가시화하기 위해서는 각 객체의 구성 재질에 대한 광학 특성에 대한 선행 분석을 토대로, 적절한 측정 및 모델링, 렌더링 기법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측정 데이터 기반의 재질 렌더링 기법에 중심으로 다양한 재질에 적합한 요소 기술과 그 결과를 설명하고, 재질 렌더링 기법을 활용한 건설분야의 향후 연구 계획을 제시한다.

3D Display Method for Moving Viewers (움직이는 관찰자용 3차원 디스플레이 방법)

  • Heo, Gyeong-Mu;Kim, Myeong-Si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37 no.4
    • /
    • pp.37-45
    • /
    • 2000
  •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of detecting the two eyes position of moving viewer by using images obtained through a color CCD camera, and also a method of rendering view-dependent 3D image which consists of depth estimation, image-based 3D object modeling and stereoscopic display process. Through the experiment of applying the suggested methods, we could find the accurate two-eyes position with the success rate of 97.5% within the processing time of 0.39 second using personal computer, and display the view-dependent 3D image using Fl6 flight model. And through the similarity measurement of stereo image rendered at z-buffer by Open Inventor and captured by stereo camera using robot, we could find that view-dependent 3D picture obtained by our proposed method is optimal to view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