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도시

Search Result 58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3D GIS의 기술 동향

  • Lee, J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85-185
    • /
    • 2010
  • 문명 발전에 의해 생활공간이 더욱더 복잡해짐에 따라 현실 세계의 3차원 공간으로서의 이해가 필요해졌고, 3차원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GIS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현재까지의 3차원 GIS는 1990년대에 들어서 3차원 가상도시의 등장으로 도시 모델의 3차원 가시화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3차원 가상도시는 도시 관리 차원에서 도시공간의 표현, 분석, 모델링, 시뮬레이션 등을 통하여 도시정보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3D GIS 기술의 활용 사례로는 3차원 도시 경관 분석 및 도시 계획, 3차원 시뮬레이션, 3차원 위치기반 서비스, 도시 행정 관리 등이 있다. 3차원 도시 경관 분석 및 도시 계획 활용 분야에서는 3차원 GIS를 활용하여 새롭게 건설되는 건물들이나 토지 이용 변경에 따른 경관 분석을 가상공간에서 시뮬레이션 분석함으로써 경관 변화 예측 및 적합한 경관 설계에 대한 분석을 한다. 3차원 시뮬레이션의 경우 환경오염도 분석, 최적의 입지선정, 개발 전후의 경관 차이, 각종 재난에 따른 위험도 분석, 경관과 일조량 분석 등을 미리 가상도시에 시뮬레이션 함으로서 불필요한 업무를 줄일 수 있고 발생할 수 있는 결과 값을 예상할 수 있다. 3차원 위치기반 서비스의 경우 자신의 위치를 비교적 정확히 측정함으로서 생소한 도시를 방문하거나 위치를 찾아갈 경우 최단 경로 및 최적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앞으로의 3차원 GIS 기술 동향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시공간분석(Temporal GIS)과 3차원 실내공간인지 기술 개발 등으로 볼수있다. 시공간분석은 시공간 질의를 통한 공간정보의 시간에 다른 변화 계산 또는 예측된 결과를 분석할 수 있고, 시공간 분석에 사용되는 공간적, 시간적 정보의 조합은 적어도 3차원 이상의 정보를 나타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산출 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시공간분석은 GIS의 분석 범위를 넓혀 주며 실시간 GIS 응용시스템 개발을 위한 주요 과업이다. 3차원 실내공간정보 표현기법과 공간분석 및 공간인지 기법을 이용한 통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3차원 실내공간인지 기술 개발을 통해 최근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위치기반서비스내 u-서비스 즉, 인간 행태의 분석, 관리 및 응용을 지원하도록 한다 이는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의 주변상황에 대한 인지능력을 향상시켜주고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U-City의 성공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개발이 수행되어야 할것이다. 첫째로, 공간인지 기술을 위한 3차원 실내공간표현 방법 개발, 둘째로, 3차원 실내공간정보를 이용한 공간분석 및 공간인지 기법 개발, 마지막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3차원 실내공간인지를 위한 미들웨어 개발을 통해서 공간정보의 활용을 macro-scale 공간에서 micro-scale로 확산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세미나를 통해서, 3차원 GIS의 활용의 보편화와 대중화를 위해서는 3차원 데이터 획득 및 처리 방법, 3차원 공간데이타베이스, 공간 분석 및 가시화에 대한 기술적 이슈들을 논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Manufactured Urban 3D Model by Using Numerical Map (수치지도를 이용한 3차원 도시공간모델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 Li, Guang-Zhe;Li, Song-Jun;Fang, Chun-Ri;Lee,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279-28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정을 거친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3차원 도시공간모델을 생성하는 자동제작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도시공간모탤 제작방식에 대해 분석하여 3차원 도시공간모델 제작에 필요한 소요정보 및 공간제작함수(기능, Method} 등을 추출한다. 수치지도에서 3차원 도시공간모델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런 정보들을 가공하여 모텔제작에 사용가능한 정보로 바꾸어 준다. 또한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제작할 때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부가정보들을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수치지도에서 얻는 정보에 공간제작함수를 적용해서 3차원 모텔을 제작한다. 수치지도가 2차원지도로만 활용되고 있는 현실이며 수치지도의 다양한 3차원 정보를 이용한 3차원 도시 공간모델 자동제작을 제안함으로써 재래식 모델제작에 필요했던 대량의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것이고 또한 제작된 도시공간모텔은 건축이나 도시설계분야에서 보다 경제적이고 보다 쉽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 PDF

An Alternative Proposal of the 3D Spatial Data Construction & Utilization for Cityscape Planning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3D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제안 -GIS DB 및 위성영상의 이용을 중심으로-)

  • Choi, Bong-Moon;Lim, Young-Taek;Han, In-Gu;Cho, B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11a
    • /
    • pp.421-425
    • /
    • 2006
  • 본 연구는 도시계획 및 설계에 범용되는 그래픽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3차원 공간정보의 구축 방법과 신규 도시개발이나 도시경관계획에서 3D 공간정보를 이용한 컴퓨터시뮬레이션 활용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은 기 구축된 GIS DB(수치지형도, 건축물 대장 등)와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도시경관계획에 필요한 3D 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그렇게 구축된 공간정보의 활용 방안으로 도시경관 측면에서 계획 및 개발 시나리오에 대한 컴퓨터 3D시뮬레이션을 통한 좀더 사실적이고 직접적인 경관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특히 3D 공간정보의 구축과 활용에 있어서 공간적 위계에 따라 광역적 차원, 도시적 차원, 지구차원에서 경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연구를 통해서 도시경관계획 등 다양한 공간계획 및 개발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위한 효율적이고 간편한 3D 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a 3D Visualizati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지하시설물의 3D 시각화에 관한 연구)

  • Kim, Kwang-Ho;Cho, Hong-Beom;Kang, Byung-Jun;Kim, Min-Suck;Kim, 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32-237
    • /
    • 2008
  • 지하시설물은 상수, 전력, 가스를 공급하고, 하수를 처리하는 동시에 정보통신망을 구축하는 중요한 도시기반시설이기 때문에 지하시설물에 관한 정보가 상당히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도시시설물들은 지상에 설치되어 왔으나 도시의 집중화에 따른 건설안전, 도시 미관,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위하여 시설물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향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지하시설물의 효과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 중 상 하수도 정보의 3차원 영상 가시화 기능을 개발하여 도시 지하시설물의 체계적인 관리 기술 및 안전성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한 3차원 영상 가시화 항목은 현행 도시 관리 체계에서 다루고 있는 지리적 범위내의 지하시설물 중 상 하수도 시설물이다. 도시 지하시설물의 3차원 시각화를 위하여 지하시설물의 항목 별 분류를 수행하였으며 지하시설물의 3차원 시각화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지하시설물 항목별 데이터 관리 방안을 수립하여 3차원 관리 대상 데이터를 제시하였으며 가시화 테스트를 통하여 3차원 영상 가시화 기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하시설물의 3차원 시각화 기능은 도시 지하시설물 관리 기술의 혁신을 선도한 것으로 기대한다.

  • PDF

The 3-dimensional modeling of buildings in urban areas using digital maps and LiDAR data (수치지도와 LiDAR 자료를 이용한 도시지역 건물 3차원 모델링)

  • 이원희;유기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394-399
    • /
    • 2003
  • 도시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건물에 대한 3차원 정보는 도로, 교통 등의 시설물관리시스템 구축, 도로계획, 택지개발, 도시계획 등 여러 분야에 필요하다. 현재 항공사진, 고해상도 위성영상, LiDAR 자료, 수치사진측량 시스템 등의 보급과 분석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인하여 도시지역 건물 3차원 모델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정밀한 DSM 취득이 가능한 LiDAR 자료가 도시지역 건물 3차원 모델링에 가장 유망한 자료이다. 그러나 LiDAR 자료만을 이용할 경우에는 선형화 과정 등의 수작업이 많이 들어가고, 주관적인 재구성과정이 들어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도를 LiDAR 자료와 같이 이용하여 건물 3차원 모델링시 작업자의 수동적인 과정을 단축하였다. 항공사진과 해석도화기를 이용한 정확도 평가 결과 1:5,000 수치지도 정확도 규정을 만족하는 도시지역 건물 3차원 모델링이 가능하였고, 비교적 자동화된 공정을 이루었다.

  • PDF

A Study on Perspective Display Using 3D Elevation Data with 2D Information Overlay (2차원 지형정보와 격자형 고도자료의 중첩도시 기법 연구)

  • 이병길;이상지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 no.1
    • /
    • pp.36-44
    • /
    • 1997
  • We propose 3D perspective display using elevation matrix data with 2D information overlay. This algorithm is based on ID scan-line method and we used color index of the newly developed raster map, VRRG(Vector Restored Raster Graphics). The proposed method allows the fast generation of perspective view of 3D data with 2D overlay and the fast selective display of the features of 2D overlay.

  • PDF

Spatial Analysis of the Urban Heat Island Using a 3-D City Model (3차원 도시모형을 이용한 도시열섬의 공간분석)

  • Chun, Bum-Seok;Guldmann, Jean-Miche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4
    • /
    • pp.1-16
    • /
    • 2012
  • There is no doubt that the urban heat island (UHI) is a mounting problem in built-up environments, due to energy retention by the surface materials of dense buildings, leading to increased temperatures, air pollution, and energy consumption. To investigate the UHI, three-dimensional (3-D) information is necessary to analyze complex sites, including dense building clusters. In this research, 3-D building geometry information is combined with two-dimensional (2-D) urban surface informat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characteristics and temperature. In addition, this research introduces spatial regression models to account for the spatial spillover effects of urban temperatures, and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a) estimating urban temperatures, (b) developing a 3-D city model, (c) generating urban parameters, and (d) conducting statistical analyses using both Ordinary Least-Squares (OLS) and Spatial Regression Model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3-D urban characteristics greatly affect temperatures and that neighborhood effects are critical in explaining temperature variation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providing guidelines for policies to reduce the UHI.

Web-based Virtual City Development using 3D GIS (3차원 GIS를 이용한 웹 기반의 가상 도시 구현)

  • Song, Sang-Hun;Jung, Young-K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694-699
    • /
    • 2007
  • 2D에서 3D로 이동하고 있는 현재의 GIS는 자료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고 이로 인해 처리속도가 느려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실시간 렌더링(Rendering) 욕구는 커지고 있다. 대용량의 공간자료에 대한 처리속도, 3차원 처리기술, 가상현실 처리기술 등의 제약조건과 함께 3차원 GIS를 가시화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성 및 항공으로부터 획득된 DEM 데이터를 이용하여 VRML로 가시화하여 3차원의 지형 정보를 생성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지형 데이터에 LOD(Level of Detail) 기법을 통한 단순화 과정을 거쳐 3차원의 지형정보를 획득하고, 수치지도를 기반으로 한 모델링 및 텍스처 맵핑 과정을 통해 3차원의 도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렇게 획득된 도시 정보에 3차원 공간적인 조건 및 검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쉽게 건물 및 도로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네비게이션 및 시뮬레이션 기능을 추가한 웹 기반의 3차원 가상 도시를 구현하였다.

  • PDF

Objected Based 3D Terrain Sinulation and Building Modeling (Object기반의 3차원 지형시뮬레이션과 건물모델링)

  • Han, Seung-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32-35
    • /
    • 2010
  • 바람직한 도시의 건설계획을 위해 2차원 적인 도면의 활용은 한계가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계획심의와 민원의 처리에도 3차원 도시모델을 활용하는 추세에 있다. 현장에 가지 않고 사무실에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3차원 지형모델이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건물의 3차원모델링도 신속하고 편리한 방법을 이용해야만 실무에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고해상 고정밀 3차원 지형모델링은 물론 스케치업을 이용한 효율적인 건물모델링방법 강구하여 실무에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Generation of 3-D City Model using Aerial Imagery (항공사진을 이용한 3차원 도시 모형 생성)

  • Yeu Bock Mo;Jin Kyeong Hyeok;Yoo Hwan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3 no.3
    • /
    • pp.233-238
    • /
    • 2005
  • 3-D virtual city model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a number of GIS applications. For reconstruction of 3D building in urban area aerial images, satellite images, LIDAR data have been used mainly and most of researches related to 3-D reconstruction focus on development of method for extraction of building height and reconstruction of building. In case of automatically extracting and reconstructing of building height using only aerial images or satellite images, there are a lot of problems, such as mismatching that result from a geometric distortion of optical images. Therefore, researches of integrating optical images and existing digital map (1/1,000) has been in progress. In this paper, we focused on extracting of building height by means of interest points and vertical line locus method for reducing matching points. Also we used digital plotter in order to validate for the results in this study using aerial images (1/5,000) and existing digital map (1/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