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건물 모델

Search Result 18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ssessment of 3-Dimensional Sunshine Environment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Data arou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부경대학교 주변 지역의 지리정보시스템 자료를 이용한 3차원 일조 환경 평가)

  • Kim, Eun-Ryoung;Park, Soo-Jin;Kim, Jae-Jin;Nam, Kyung-Yeub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3
    • /
    • pp.116-131
    • /
    • 2014
  • In this study, sunshine environment in an urban area is analyzed using a numerical model which considers sunshine-duration blocking by topography and buildings. The numerical model used in this study has an improvement in the algorithm detecting sunshine duration in the model domain. The main improvement in the algorithm is to detect sunshine duration using all the surfaces of any grid cell(the previous model uses the center of any grid cell). The improvement in the algorithm gives more accurate evaluation of sunshine duration at corner surfaces of buildings. Using the improvement model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data, sunshine environment is analysed at an building-congested area in Busan for a week in four seasons. The results show that sunshine duration can be much changed by apartment complexes, high-rise buildings, topography in the model domain.

A Selection of Building Registration Method to Construct the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Cadastral Map (3차원정보지적도 모형 구축을 위한 건물등록 방법 선정)

  • Yang In Tae;Oh Yi Kyun;Yu Young Geol;Chun Gi 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2 no.3
    • /
    • pp.245-251
    • /
    • 2004
  • Recently, in a field of cadastre, a computerization of cadastral map is in progress with great growth of GSIS field. Also, the needs fer the integration of land and building information are widely increasing for integral-management and its application of various land 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revision of cadastral laws to replace the existing 2D-Cadastre with the 3D-Cadastre, a legal basis to register the position of buildings and facilities is prepared in the governmental or civil fields. This paper presented 3D-Cadastre theory that has been studied on Europe and surveyed building position directly with Totalstation at cadastral control point after choosing pilot test area, Also, the most efficient surveying method of registering building in a cadastral map is presented with comparing and analyzing building position after surveying digital orthophoto and digital map. And it is constructed a 3D information cadastral map model that can make the integral management of land, building, connecting land recorders, building management ledgers, building titles, building pictures, and related attribute information.

Analysis of Daylight Availability Rights using 3D City-Model (3차원 도시모델을 이용한 건물 일조권 분석)

  • Yoo, Hwan-Hee;Goo, Sin-Hoi;Cho, Eun-Rae;Kim, Seong-S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5 no.2
    • /
    • pp.165-175
    • /
    • 2007
  • Nowadays, architecture in urban areas is dominated by the goal of spanning wide spaces and creating openings large enough to distribute daylight to building interiors. Daylight availability of building in city strongly depends not only on the building's height but also on spaces between buildings. Recently numbers of disputes over the daylight availability are increasing in high density developed areas because residents' demand for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is getting stronger.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f buildings using LiDAR data connected with digital map and then suggested conclusions by applying it to daylight availability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an approach to judge accurately the violation of a right to enjoy sunshine by using altitude and azimuths of the sun, simulating three-dimensional urban space precisely, and classifying the total duration of sunshine and the continuous duration of sunshine each householder. We expect that local government performs precisely the confirmation and permission business about urban planning and design by advising this approach.

Assessment of actual condition based on GIS for UHF band Propagation Interference caused by Apartment (GIS를 활용한 아파트 지역의 전파 장애 실태 평가)

  • 김진택;엄정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89-397
    • /
    • 2004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아파트 단지의 UHF대역의 전파장애에 대한 예측모델을 제시한다. 전파예측모델은 기지국 및 중계기 위치설계와 전파음영지역 결정 등 무선네트워크 서비스에 결정적으로 활용된다 기존의 전파예측모델은 한국지형요소나 3차원 공간기술이 반영되지 않고 외국지형기반의 2차원적인 접근으로 개발되어 있다. 특히 많은 사람이 거주하는 아파트단지에 대해서는 고려가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마치 아파트 단지가 일반 건물로 취급되어 전파환경 요소로 분류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전파관리자가 기존 전파 예측모델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설계 및 운용등에 있어 정확한 의사결정지원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아파트 단지의 전파에 대한 영향을 3차원 공간밀집, 건물높이, 전파의 전송방향에 대한 건물배치등 3가지 요소로 분류하고 GIS 도구로 그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상관과 회귀분석등 정량적인 방법으로 평가하여 아파트 전파예측모델(GARP)을 개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아파트 단지가 UHF 대역의 전파에 대한 영향은 전파진행방향성이 57%, 공간밀집이 30%, 건물높이가 13%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아파트 모델은 기존 모델에 비해 평균 6.3dBm, 최소 2.15 ~ 최대 12.48dBm의 개선 효과가 있다. 셋째, 급속히 확산되는 도시 개발에 3차원 공간상에서 전파예측모델을 시뮬레이션하여 전파의 영향을 예측할 수 있으며, 대단지 아파트 건설과 전파환경영향평가의 기초정보 수집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GARP모델과 GIS 가시권 분석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지형공간상에서 전파경로 손실치를 도시화함으로써 전파관리자가 무선서비스지역 설계, 전파음영지역 판단, 최적 중계기와 기지국 위치 선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하지 않은 지역과 서로 다른 분광특성을 나타내므로 별도의 Segment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임상도의 경계선으로부터 획득된 Super-Object의 분광반사 값과 그 안에서 형성된 Sub-Object의 분광반사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임상도의 갱신을 위한 변화지역을 탐지하였다.라서 획득한 시추코아에 대해서도 각 연구기관이 전 구간에 대해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스굴호에 대한 시추사업은 후기 신생대 동안 유라시아 대륙 중부에서 일어난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를 이해함과 동시에 이러한 변화가 육상생태계 및 지표지질환경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lieve in safety with Radioactivity wastes control for harmony with Environment.d by the experiments under vari

  • PDF

Building Model Extraction for 3-D City Model Construction (가상도시 구축을 위한 BIM의 건물정보 추출에 관한 연구)

  • Goh, Il-Du;Choi, Joong-Hyun;Kim, E-Doo;Jeong, Yeo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67-172
    • /
    • 2008
  • 본 연구는 다양한 형상과 정보를 가질 뿐만 아니라 신축 및 재건축을 통하여 끊임없이 갱신되는 건물에 대해 3-D GIS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효율적으로 획득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BIM과 GIS의 정보모델의 특징들을 비교해 보고, 가상도시 구축을 위한 CityGML에 대한 개요와 건물의 세밀도(Level of Detail)를 살펴본 다음, BIM으로부터 CityGML에 따른 건물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실행사례를 보인다. 본 연구의 접근방법은 건축설계 및 건축관련 엔지니어링 사무소, 또는 건설회사에서 CAD로 작성한 기존의 건물 및 부지에 관련한 2, 3차원 정보뿐만 아니라 새로운 추세로 자리잡는 BIM 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 국가GIS 구축을 위해 건물 외형과 내부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DF

Reconstruction System of Road Environment using Image-based Modeling (이미지 기반 모델링을 이용한 도로환경 재구성 시스템)

  • Lee, Kye-Young;Lee, Yong-Jae;Shin, Yeong Gil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3 no.1
    • /
    • pp.17-22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a new modeling technique to reconstruct road environments. The reconstruction algorithm for road environments consists of three parts - reconstructing 3D models of architectures in road environments, editing and creating road models, and modeling auxiliary objects. Different modeling technique is applied to each of these three parts according to properties objects to be modeled contain. In this reconstruction system, modified Photogrammetric Modeling techique is used, of which the user interface is more convenient, and in which constraints of road environments are considered. These improvements make this road environment reconstruction system much simpler and easier to use compared with Photogrammetric Modeling technique[1, 2].

  • PDF

Syntax-based Accessibility Analysis Algorithm for Indoor Spaces (실내공간을 위한 기반 Syntax 접근성 분석 알고리즘)

  • Kim, Hye-Yeong;Jeon, Cheo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247-256
    • /
    • 2007
  • Accessibility is a field of study that has primarily been applied to urban or transportation problems two dimensionally. However, in large complex buildings as shopping centers or hospitals, inter-spatial accessibility among compartments has to be taken into account such as in building layouts or evacuation planning. This study expands space syntax theory, one of accessibility-related methodologies used for computing connectivity in urban or architectural spaces, into 3D indoor spaces. Although space syntax is basically a topology-based theory that does not consider general costs such as distance or time, this study suggests modification that incorporates different types of impedances in moving between places including distances, turns and transfers between floors.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a 3D campus building model in computing and displaying the accessibility to exit doors or cohesive accessibility among similar functions.

  • PDF

A Geographic Modeling System Using GIS and Real Images (GIS와 실영상을 이용한 지리 모델링 시스템)

  • 안현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2 no.2
    • /
    • pp.137-149
    • /
    • 2004
  • For 3D modelling artificial objects with computers, we have to draw frames and paint the facet images on each side. In this paper, a geographic modelling system building automatically 3D geographic spaces using GIS data and real images of buildings is proposed. First, the 3D model of terrain is constructed by using TIN and DEM algorithms. The images of buildings are acquired with a camera and its position is estimated using vertical lines of the image and the GIS data. The height of the building is computed with the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camera, which used for making up the frames of buildings. The 3D model of the building is obtained by detecting the facet iamges of the building and texture mapping them on the 3D frame. The proposed geographical modeling system is applied to real area and shows its effectiveness.

  • PDF

A Study on Use of 3D-GIS in the Urban Noise Visualization (도시소음 시각화를 위한 3차원 GIS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Ryu, Keun-Won;Kim, Geun-Han;Jo, Yong-Ju;Jun, Chul-Mi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13-317
    • /
    • 2007
  • 도시 소음이 미치는 경제적, 사회적 영향이 커짐에 따라 최근 도시소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2차원 소음지도를 통해서는 점점 복잡해지고 대규모화 되어 가는 건물의 각 공간에 대한 소음분석 및 시각화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음데이터의 3차원 시각화 및 공간별 소음분석을 위해 토폴로지가 부여된 3차원 GIS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였다. 건물의 각 공간을 볼륨과 벽체들로 구성하고 공간간의 토폴로지를 부여하기 위해 DB에서 관계를 정의해주고 DB의 볼륨테이블과 벽체테이블에 저장된 소음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소음분석 및 시각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Urban Flood Simulation Considering Building and Sewer Lines (건물 및 우수 배제를 고려한 시가지 범람해석)

  • Kang, Sang-Hy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3B
    • /
    • pp.213-219
    • /
    • 2009
  • In densely urban areas, features such as the sewer system, buildings and river banks have an effect on flow dynamics and flood propagation, and will therefore be accounted for in the model set-up. While two-dimensional (2D) flood models of urban areas are at the forefront of current research into flood inundation mechanisms, they are however constrained by inadequate parameters of topography, and insufficient and inaccurate data. In this study, an urban flood model (overland flow, 2D urban flood flow and sewer flow) was combined and applied at Samcheok city which was damaged by inundation in 2002, in order to simulate inundation depth. The influence of buildings and pumping capacity was also analyzed to estimate the inundated depth in the study a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rban inundated depth are affected by pumping capacity directly and it increased about 20-30 cm on most of the modeled area with a building share rate of 0.2-0.6 per unit gr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