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측정

Search Result 2,82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3-Dimensional Error Calibration of CMMs Using a Hole-Plate Artefaet (홀-플레이트(Hole-Plate)를 이용한 3차원좌표측정기의 공간오차 측정)

  • ;;M. Burdek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3 no.4
    • /
    • pp.67-74
    • /
    • 1996
  • 3차원좌표측정기(Coordinate Measuring Machine)의 공간오차(Volumetric error)의 측정을 위하여 홀-플레이트(Hole-Plate)를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티타늄 또는 세라믹으로 제작되는 홀-플레이트의 설계 예를 보였다. 홀-플레이트의 측정홀 숫자와 진원도(Roundness)의 영향이 연구되었으며, 또한 홀-플레이트의 설치시 발생하는 오차도 검토되었다. 3차원좌표측정기의 공간오차성분 모두를 별도로 측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홀-플레이트를 이용 2차원 및 3차원 공간의 길이 오차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도 소개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Setting of Breast Measurement Points on 3D Scan Data

  • Sohn, Boo-Hyun;Han, Hyun-Su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5
    • /
    • pp.81-90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setting measurement point in the 3D scan data based on the manual measurement data. The optimal 3D body scan postures and measurement point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breast were set up. The outer breast poin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body shape or standing posture as it is on the line connected from the bisecting point of the lateral waist thickness to front armpit poi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breast-related outer point proposed in this study. And many researches need to reduce the differences between MAM and 3D dimension items associated with the upper breast point. When measuring depth, the difference by pressing in MAM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the differences in flexion depending on breast type can make a difference in the 3D measurement. So the measurement method in 3D scan should be further studied depending on the types of breast and verified by multiple subjects.

3차원 측정기의 현상과 문제점

  • 정석주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2
    • /
    • pp.184-193
    • /
    • 1992
  • 현재의 3차원 측정기 중에서 CNC 3차원 측정기, 3차원 측정기의 데이터 처리장치 및 측정용 센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3차원 측정기는 공작기계와 많은 관계가 있지만 로봇, CAD/CAM 과도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3차원 측정기는 센서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앞으로 더욱 바람직한 것은 3차원 형상의 고속연속측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 접촉점의 위치좌표가 고 정도로 구해지는 것 마찰력을 제거할 수 있는 것, 소형, 경량화 등을 열거할 수 있겠다. 한편, 비접촉 센서로서는 광학적 방법을 이용한 센서가 많이 개발되어지고 있지만 표면거칠기, 표면 반사율, 경사각 등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고정도의 3차원 측정에 있어서 아직 많은 문제가 남아 있다. 앞으로도 이 같은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연구가 계속 진전되기를 바란다

  • PDF

로봇시뮬레이터를 이용한 3차원 스캐너의 측정경로설정 자동화

  • 유희욱;장민호;한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306-306
    • /
    • 2004
  • 최근 광학식 비접촉 3차원 스캐너의 측정 정밀도는 매우 빠르게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측정정밀도의 향상으로 3차원 스캐너를 자동차나 전자제품의 인스펙션(Inspection) 툴로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 3차원스캐너는 측정대상물의 곡면을 신속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CMM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포터블하므로 향후 많은 산업분야에서 활용성이 점차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중략)

  • PDF

비접촉식 3차원 정밀 측정 기술 동향

  • Yun, Yong-Sik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1
    • /
    • pp.61-67
    • /
    • 2006
  • 현대 산업이 고도화, 선진화됨에 따라 1.5 m 이상의 크기를 갖는 중.대형 시설 및 장비에 대한 설치 요구조 건 및 운용상의 정밀도 유지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비접촉식 3차원 정밀 측정 장비인 데오드 라이트 측정시스템, 사진 측정 시스템 및 레이저 측정 시스템 등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글에서는 이들 측정 장비의 측정 원리 및 적용 사례 등을 중심으로 최근의 정밀 측정 기술 동향에 대하여 기 술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the 3D Spatial Distribution of Flow rate and Water Quality Convergence Monitoring Results in Rivers (하천에서의 수리·수질 복합 모니터링 결과의 3차원 공간분포 해석연구)

  • Lee, Chang Hyun;Kim, Kyung Dong;Ryu, Si Wan;Kim, Dong Su;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8-18
    • /
    • 2022
  • 하천 합류부에 있어 수체의 혼합양상을 분석은 고해상도의 자료가 필요하다. 반면에 수질환경 문제와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이 고정된 측정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천 전체의 정보는 저해상도의 결과값은 나타낸다. 또한, 많은 수중 환경 문제가 1차원에서 3차원에 걸쳐 있지만, 대부분의 관측 시스템은 1차원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발전된 관찰 및 계측이 필요하다. 그에 따른 고해상도의 측정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측정자가부담을 많이 가지며, 측정할 수 있는 영역이나 시간적으로 제한적이다. 해상도는 낮추되 광범위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보간법이 선정되어야 한다. 관련 논문을 검토한 결과, 측정 결과에 따른 2차원 횡단면 분포의 내용이 지배적이었고, 3차원 매핑 및 3차원 분석을 통한 수리학적 정보 획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였다. 특히 3차원 하천 수질 농도의 연구가 불충분했다. 그에 따라 저해상도 측정결과에서의 예측과 보간법에 대한 시각화를 통해 하천의 전체적인 수리·수질정보를 표기하였다. 각각의 보간법을 비교함으로써 하천 매핑에 있어 IDW, Natual Neighbor, Kriging 기법을 적용하여 시각화된 자료와 정량적 평가를 통해 하천매핑의 정밀성을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3차원화된 공간보간 자료를 이용한 하천합류부의 혼합양상을 해석하였다.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 기술의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되며, 이러한 데이터는 유해물질 저감 기술 및 평가 예측 기술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 추정, 호수의 고위험 조류군 계층분석 등 다양한 수생건강 진단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 PDF

2중파장 영사식 무아레의 N-Buckets 알고리즘 오차비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유원재;박낙규;강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81-181
    • /
    • 2004
  • 3 차원 형상측정기술(3-D Profile Measurement Method)은 가공품의 치수검사 및 형상측정 등의 공학분야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의류산업 및 의학산업은 물론 오락산업의 가상현실 구현 등 여러 분야로 점차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광학을 바탕으로 한 비접촉 3 차원 형상측정방법(Non-contacting 3-D Profile Measuring Method)은 고속, 고정밀도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광학을 이용한 대표적인 3 차원 비접촉 측정방법의 하나인 영사식 무아레는 그림자식 무아레의 단점인 격자의 크기가 측정물체보다 커야 한다는 점과 측정물체와 격자사이의 거리 제한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위상이동법을 사용함으로서, 무아레 무늬 형태의 영향을 받지 않고 측정이 가능해졌다.(중략)

  • PDF

Analysis of 3D composited monitoring system using unmanned surface vehicle (무인 원격 이동체를 활용한 3차원 복합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연구)

  • Ho Soo Lee;Chang Hyun Lee;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6-86
    • /
    • 2023
  • 최근에 들어 환경보전과 지속가능한 하천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통합물관리에 있어 수리량과 수질을 연계한 통합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수리량과 수질 분야에 대한 모니터링 기술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각 분야의 개별적 연구로 인해 수리량과 수질을 통합하여 모니터링 하는 기술 개발은 미흡한 수준이다. 또한 수질 측정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있는 채수 기준에 따라 채수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채수 지점은 하천의 수심별로 달리하여 정해진다. 수리 측정은 현장계측을 통한 2차원적 계측으로 진행하고 있어 수질 측정 시 채수지점과 수리 측정지점은 일치하지 않는다. 동일 지점에서의 수질과 수리량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지 못한 모니터링은 본류와 지류의 혼합거동이 많은 국내 하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또한 현재의 수질·수리 모니터링은 ADCP나 다항목수질측정기 같은 고가의 장비를 운영하며, 홍수기와 같은 고위험 계측 조건에서 인력을 통해 측정하고 있기에 고비용의 장비운영비와 인명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무인 원격 기술을 적용한 하천 모니터링 기술과 수질과 수리량의 데이터 연계를 통한 3차원 모니터링 기술의 확보는 하천관리에 있어 매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 무인 원격이동체인 ROV와 무인 원격이동체(USV)를 활용한 3차원 수질·수리 모니터링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하천 특성을 고려한 혼합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ROV에 수중 GPS 장비와 수질센서를 부착시켜 수중 내 2차원으로 측정되는 수리량과 동일한 좌표를 가지는 수질자료를 계측하여 하천의 연직 분포와 수평적 분포를 통해 화학적 수리적 거동을 분석하여 하천의 3차원 혼합거동 양상을 판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무인 원격이동체를 통한 3차원 수질·수리 모니터링 기술은 하천의 3차원 분석에서 수질·수리량 보간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하천 전반 및 통합물관리에 있어 크게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3-Dimensional Measurement using Digital Holographic Microscope and Phase Unwrapping (디지털 홀로그래피 현미경과 위상 펼침을 이용한 3차원 측정)

  • Cho, Hyung-Jin;Kim, Doo-Chul;Yu, Young-Hun;Jung, Won-Gi;Shin, Sang-Hoo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7 no.4
    • /
    • pp.329-334
    • /
    • 2006
  • We have reconstructed 3-dimensional images by using the digital holographic microscope and the Mask-cut phase unwrapping algorithm. Off-axis holograms recorded with a magnified image of the microscopic object lens and reference beam are numerically reconstructed in amplitude and phase image by the Fresnel diffraction approximation. We have simultaneously reconstructed 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images of the sub-micrometer objects.

The Implementation of Demo Scenario in 3D Visual Display System (3차원 시청각 환경 제시 시스템에서 데모 시나리오의 구현)

  • 박문호;박경동;고희동;변혜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96-200
    • /
    • 1998
  • 3차원 시청각 환경 제시 시스템은 감성측정평가 시뮬레이터 개발의 일환으로 KIST에서 개발한 시청각 정보 중심의 가상환경 저작 및 실시간 제시 시스템이다. 개발 시스템이 감성측정평가 시뮬레이터 담당하는 기능은 감성측정 대상 제품이나 환경에 대한 3차원 시청각 정보들을 가상환경으로 저작해주고, 또한 저작된 가상환경을 원활한 감성측정평가를 위해 피측정자에게 실시간 대화식으로 제시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기술은 감성측정평가 대상 제품 및 환경의 다양성을 수용하면서 필요한 3차원 시청각 환경을 얼마나 신속하고 용이하게 저작할 수 있느냐 하는 것과 컴퓨터의 성능을 비롯한 현존의 기술적인 한계를 감안하면서 감성측정평가 시뮬레이터에서 필요로 하는 수준의 현실감과 상호작용 등을 갖는 3차원 시청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의 기술적인 개념하에서 가상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한 가상환경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저작 및 제시할 수 있도록 현재 개발 중에 있는 3차원 시청각 환경 제시 시스템의 개발과정에서 구현된 데모 시스템의 전반적인 내용과 개발시스템에 사용된 요소 기술들을 소개한다. 아울러, 향후 수행될 기능적인 보완작업과 시스템 안정화 작업, 그리고 개발 시스템이 갖는 의의 및 기대효과 등에 대해서도 소개하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