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년제

Search Result 45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cience Curricula from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System(1895) to 1910 and People in Charge of Science Education at Public Schools (학제제정(1895)부터 1910년까지의 과학교육과정과 관.공립학교에 있어서의 과학교육담당자)

  • Song, M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8 no.4
    • /
    • pp.493-502
    • /
    • 1998
  • Science curricula of public and government institution schools from 1895 to 1910 in Korea were studied And through tracing people in charge of science education actual status was research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physics, chemistry, nature' in the regular course for normal schools and 'department of science' in the short course were used for in the curriculum. Subject of nature were educated by SaitoKinji. 'Science' was educated by MatsumotoSoji in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t Foreign Language School and 'science of nature' by Hase in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Nature' and 'physics and chemistry' were taught by ShideharaTahira at Hansung Middle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in 1899. MoriTamejo was in charge of subject of nature at Hansung High School which was a new name since 1906. It was also revealed that'physics and chemistry'were taught at Industrial Professional Institute. In short during the era of Taihan (Korea) Empire science education at public and government institution schools were entirely performed by Japanese. Furthermore the first time when professionals majored in natural science began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science education was during late part of Taihan Empire and before that time tradition of science education was maintained by'non-professionals'like ShideharaTahira.

  • PDF

Soviet Union's School Health Program (소련(蘇聯)의 학교보건사업(學校保健事業) 비교(比較))

  • Nam, Eun Woo;Kwon, Hyuck 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 /
    • v.4 no.2
    • /
    • pp.136-145
    • /
    • 1991
  • In the Soviet Union School health services are provided as an integral part of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which is under the Ministry of Health. This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 Soviet Union's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he model for the delivery of school health service, the role and training of school personnel involved in school health services and implications the Soviet model may have for the countries. 1. School health services are a part overall Soviet health system under the Ministry of Health. 2. Municipal and rural health departments implement programs at the local level. Diagnosis and treatment are conducted through "polyclinics" that are outreach divisions of a district hospital. 3.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manpower, including medical schools and nursing schools, are under the Ministry of Health, as are medical and scientific search institutes.

  • PDF

Employment Gap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Korea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일자리 격차)

  • Jun Ho Jeo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3
    • /
    • pp.155-173
    • /
    • 2024
  • Using Regional Employment Survey, this article analyzes the widening employment gap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rough describ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mployment by industry and occupation, calculating the regional downward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graduates, and estimat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employment growth in terms of wage distribution, and then statist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the declining manufacturing employment in the Non-Capital region since the mid-2010s on total employment change. The results from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mid-2000s, the share of producer services and white-collar jobs has increased in the Capital region. Second, the Non-Capital region has a higher share of non-regular workers relative to wage workers than the Capital region. Third, while the downward employment rate has increased in the Non-Capital region since the mid-2010s, it has risen very modestly or stagnated in the Capital region. Fourth, in terms of wage distribution, the pattern of employment growth since the mid-2010s has been U-shaped, a typical polarized pattern of simultaneous growth in low- and high-wage jobs and decline in middle-wage jobs in the Non-Capital region, while in the Capital region it has been L-shaped with the sides reversed, driven by growth in high-wage jobs. Fifth, this employment polarization in the Non-Capital region since the mid-2010s is associated with employment changes in manufacturing, which accounts for a large share of middle wage jobs. Fin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regional manufacturing employment changes on total employment changes since the mid-2010s, declines in manufacturing employment reduce the region's regular employment rate and have a larger negative employment effect in the Non-Capital region.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policy issues are discussed including the branch plant economy regime based on spatial separation of conception and execution, the mix of geographic and skill mobility, the need to improve employability and jobs through human capital accumulation, and short- and long-term responses to employment fluctuations.

Job importance,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dietitians at geriatric hospitals or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in Jeju (제주지역 요양 (병)원 영양사의 직무중요도, 직무수행도 및 직무만족도 분석)

  • Kang, Hye-Sook;Lee, Yunkyoung;Chae, In-Sook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9 no.3
    • /
    • pp.189-200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job importance,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38 dietitians working at geriatric hospitals and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in Jeju surveyed from September 15-24, 2014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eals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elderly patients. Method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hi}^2$-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program (version 12.0). Results: Regarding job importance, the average score was 4.29 (out of 5), indicating that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scored the highest at 4.77 (out of 5), and nutrition management scored the lowest at3.86. In terms of job performance of subjects, the average score was 2.87 (out of 5), indicating that cooking operation management scored the highest at 4.42 (out of 5). Regard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job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and cooking operation management scored high for importance and performance (B quadrant) menu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nutrition management scored low for importance and performance (C quadrant) and purchasing management and financial management were included inD quadrant and A quadrant, respectively. Fo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subjects, the average score was 3.37 (out of 5), indicating that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scored the highest at 3.72, and improving professionalism scored the lowest at 2.95. Additionally, job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ubjec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job satisfaction (r = 0.395, r = 0.386, both p < 0.05). Conclusion: In conclusion, scores for job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of nutrition management were low, and job satisfaction of improving professionalism scored low. Therefore, continuous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of nutrition management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dietitians at geriatric hospitals and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and Life Factors Affecting Constipation by Diagnosis of Rom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일부 한국여대생의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조사 및 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요인)

  • Jung, Su-Jin;Chae, Soo-Wan;Sohn, Hee-Sook;Kim, Sook-Bae;Rho, Jeong-Ok;Baik, Sang-Ho;Kang, Myung-Hee;Kim, Gun-Hee;Kim, Mi-Hyun;Kim, Hyun-Sook;Park, Eun-Ju;Heo, Young-Ran;Cha, Youn-Soo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4 no.5
    • /
    • pp.428-442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In total, 978 femal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constipation and life style, clothing patterns, housing patterns, dietary habits, and dietary intake in a constipation symptom group and a normal group. The actual constipation rate based on the Rome II criteria was 27.0% (n = 264). Body weight (p < 0.05) and body mass index (p < 0.05) in the constip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incidence of functional bowel disease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in the constip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discomfort of wearing underwea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stipation group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 The constipation group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irregular dietary habits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dietary diversity score of the normal group was 4.22 (p < 0.05),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stipation group (4.12).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tyle factors was observed.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female students to correct their dietary habits, maintain food intake of three times per day, and select diverse food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female students to wear comfortable clothing to lessen symptoms and improve constipation rates.

The work performance and the factor contributing to the work performance of nutrition teacher & school dieticians (영양교사 (정규직)와 학교영양사 (비정규직)의 직무수행도 및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Han, Jang-Il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8 no.6
    • /
    • pp.558-570
    • /
    • 2015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rk performances an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work performance of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cian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in Daejeon and Chungcheongnamdo.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415 school dieticians from select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area. This survey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working and foodservice environment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was measured using the ${\chi}^2$-test while analysis of differences in work performance of 57 variables grouped according to 12 categories by mean ${\pm}$ SD was performed using student t-test. In addi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working and foodservice) environment on work performances. Results: All 14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between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cians. In 12 of 57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When compared using average work performance, 5 domai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5 domains were other works (T = 6.050), dietary habit guide (T = 4.789), menu (nutrition) management (T = 3.524), foodservice administration and evaluation (T = 2.757), and production and service management (T = 2.588). Overall, the work performances of nutrition teachers were comparably higher than those of school dietitians.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ccupational (working or foodservice) environments and work performances of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 work performances of nutrition teachers wer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employees, number of students, meal frequency a day, annual salary, age, foodservice years of school, and school type. Conclusion: Meanwhile, the work performances of school dieticians wer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students, number of employees, meal frequency a day, work hour, education level, age, school type, and service years as a dietitian.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