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2C4%2C5-trihydroxybenzoic acid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Canavalia gladiata

  • Lee, Hang-Young;Jeong, Heon-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268-274
    • /
    • 2005
  • Novel antimicrobial substance was isolated from seed coat of Canavalia gladiata by extraction with 75% methanol. Isolation and purification were conducted with solvent fractionation and chromatography on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s. Each frac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was tested by paper disc method. Single compound was obtained from the 4th fraction of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using chloroform/methanol (1:4, v/v), and identified as 3,4,5-trihydroxybenzoic acid methyl ester (methyl gallate) based on HPLC, GC/MS, FT-IR, $^1H$ NMR, and $^{13}C$ NMR analyses. This is the first report describing the presence of methyl gallate in C. gladiata.

한국산 옻나무로부터 추출.분리한 생리활성 물질들의 항산화 효과 및 세포독성 (Antioxidative and Cytotoxicity Activiti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Korean Rhus verniciflua S.)

  • 최원식;김동길;이영행;김장억;이성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68-172
    • /
    • 2002
  • 한국산 옻나무의 메탄올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수소공여 억제능, 과산화지질 형성 억제능, xanthine oxidase저해 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으로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이 가장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분획의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rotatory locular counter current chromatography(RLCCC),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y와 HPLC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1,2,3-trihydroxybenzene, methyl 3,4,5-trihydroxybenzoat와 3,4,5-trihydroxybenzoic acid를 분리하였다. 이중 methyl 3,4,5-trihydroxybenzoate는 butylated hydroxyanisole(BHA)이나 butylated hydroxytoluene(BHT)보다도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이들 물질들이 암세포주에 대하여 활성이 높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methyl 3,4,5-trihydroxybenzoate은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지닌 식품첨가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물질 (Antioxidative Compounds in Extracts of Acer ginnala Max.)

  • 한성수;노석초;최용화;김명조;곽상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1-57
    • /
    • 1999
  • 약용식물을 비롯하여 45종 식물체 지상부의 MeOH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free radical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나무(Acer ginnala Max.)의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활성$(RC_{50}\;:\;15{\mu}g)$을 보였으며,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RC_{50}\;:\;28{\mu}g$)와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 $RC_{50}\;:\;33{\mu}g$)에서도 활성이 비교적 높았다. 신나무의 지상부로부터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지표로 2개의 항산화 활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활성물질을 각종 기기분석을 통하여 3, 6-di-O-galloyl-1, 5-anhydro-D-glucitol(acertannin)과methyl-3, 4, 5-trihydroxybenzoate(gallicin)로 동정 하였다. acertannin($RC_{50}\;:\;3.5{\mu}g$)과 gallicin($RC_{50}\;:\;2.8{\mu}g$)은 기지의 항산화 물질인 BHA($RC_{50}\;:\;14{\mu}g$), vitamin E($RC_{50}\;:\;12{\mu}g$)보다 강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