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D GC-M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9초

물 시료 중 휘발성 및 반휘발성 유기물질들의 빠른 분석법 및 정수처리 단계별 모니터링 (Rapid Analytical Method of Volatile- and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Water and their Monitoring in Water Treatment Plants)

  • 신호상;안혜실
    • 분석과학
    • /
    • 제17권3호
    • /
    • pp.240-250
    • /
    • 2004
  •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를 사용한 물 시료 중 15종류의 휘발성 및 반휘발성 유기물질들의 고감도 및 빠른 분석법이 확립되었다. 물 시료는 200 mL를 분액깔대기에 넣고 pH 6.5에서 n-pentane 1 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Fluorobenzene과 1,2-dichlorobenzene-d4을 내부표준물질들로 사용하였고 혼합용액은 진탕기에서 5분간 추출하여 더 이상의 농축이나 정제과정 없이 GC-MS (selected ion monitoring)로 정량분석 하였다. 피크모양은 매우 좋았고, 작은 편차로서 75% 이상의 양호한 회수율을 보였고 검출한계는 0.5-10 ng/L의 분포를 보였다. 개발된 분석법으로 GC-MS 1대당 1일 40개의 시료 분석이 가능하고 매우 간단하여 숙련되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각 정수장 등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개발된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의 한 호수와 3개 정수장의 원수 및 처리수에서 휘발성 및 반 휘발성 유기물질들을 모니터링 하였다. 한국의 한 호수와 3개의 정수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정량 분석한 결과 benzene, toluene, xylene, isopropylbenzene, 1,3,5-trimethylbenzene, 1,2,4-trimethylbenzene, naphthalene과 2,4,6-trichlorophenol은 각각 0.4, 1.9, 1.3, 0.2, 1.8, 13.0, 1.7 그리고 $1.1{\mu}g/L$까지 검출되었으나 chlorobenzene, tri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ethylbenzene, n-butylbenzene과 dibromochloropropane의 농도는 같은 기간 동안에 검출한계 이내의 값을 보였다. 이 화합물들의 정수처리과정에서의 제거효율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은 정수처리과정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 생장 촉진 진균에 의한 담배의 생장 촉진과 뿌리 발달 (Growth promotion and root development of Nicotiana tabacum L. by plant growth promoting fungi (PGPF))

  • 홍은혜;이진옥;김수정;;김영남;김지성;김선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337-344
    • /
    • 2020
  • 식물생장촉진 미생물은 식물 뿌리에 영양을 원활하게 공급하거나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를 이용하여 식물의 내재 인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생장을 촉진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생장 촉진 진균 UOS의 담배에서의 생장 촉진 효과를 평가하고,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또한, UOS의 식물 생장 촉진 인자를 탐색하고자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분석을 통해 UOS의 VOCs를 확인하였다. UOS를 처리한 담배는 무처리구에 비해서 3.8배의 생중량이 증가하였고, I-plate를 이용한 분리된 공간에서는 UOS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생중량이 4.2배 증가하였다. 또한, UOS 처리구의 식물은 주근의 길이가 약2배 짧아지고 측근의 수가 약2배 증가하였다. UOS은 포자 및 균사 형태와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하여 Phoma sp.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GC-MS분석을 통해 UOS는 hexamethylcyclotrisiloxane (D3)라는 VOC를 갖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Phoma sp.의 진균 UOS가 VOC물질인 D3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식물 생장 촉진 및 뿌리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UOS와 그의 VOC인 D3의 활용은 농업에서 생장량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GC/MS-SIM for the Determination of Alkylphenols, Chlorophenols and Bisphenol A in Paper Materials

  • Kim, Hyub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5-145
    • /
    • 2003
  •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lkylphenols, chlorophenols and bisphenol A in paper materials using GC/MS-SIM has been developed. Eleven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of phenols in paper samples were extracted with acetonitrile. Also, solid-phase extraction (SPE) with XAD-4 and subsequent conversion to isobutoxycarbonyl derivatives or tert.-butyldimethylsilyl derivatives for sensitive analysis with the selected ion-monitoring (SIM) mode. The recoveries were 82.4∼108.8 % by area ratio of pheranthrene-d$\sub$10/ vs bisphenol A d$\sub$l6/. (isoBOC derivatization and TBDMS derivatization) The SIM responses were linear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varying 0.9717∼0.9995 (isoBOC derivatization), and 0.9842∼0.9980 (TBDMS derivatization). The range of concentrations was respectively, 0.95∼l.44 ng/g in 2,4-dichlorophenol, 1.01∼1.17 ng/g in t-butylphenol, 2.17∼5.84 ng/g in pentachlorophenol, 12.68∼14.88 ng/g in nonylphenol and 30.84∼153.72 ng/g in bisphenol A.

  • PDF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 (Aroma Characterization of Roasted Bulgogi Reaction Flavor Manufactured by a High-temperature Reaction Apparatus)

  • 서원호;김영권;장성호;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6-183
    • /
    • 2015
  •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휘발성 성분 및 향 활성 화합물을 동정하고 반응온도에 따른 향 활성 화합물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증기증류 및 용매 동시추출법(SDE)을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고,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GC-MS-O)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에서는 105종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 furfura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5-methyl furfural, phenylacetaldehyde 및 nonanal 등이 구운 불고기 반응향에 중요한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GC-MS-O를 통해 향 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33종이 동정되었으며, 2,3-butanedione과 furfural 이 중요한 향 활성 화합물로 밝혀졌다. Hexanal, octanal, nonanal, undecanal, phenylacetaldehyde, 5-methyl furfural, 2,6-dimethyl pyrazine 및 dimethyl trisulfide도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향 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반응온도에 따른 향 활성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향 활성 성분도 증가하였으나, sulfide 화합물은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LC/ESI/MS와 GC/TOF-MS를 이용한 인체뇨시료에서의 Prostanozol 대사체 검출 (Determination of metabolites of prostanozol in human urine by LC/ESI/MS and GC/TOF-MS)

  • 염태우;팽기정;김연제
    • 분석과학
    • /
    • 제24권3호
    • /
    • pp.173-182
    • /
    • 2011
  • 약물(Prostanozol)을 복용한 여성을 대상으로 한 뇨시료 중에 함유된 Prostanozol 및 그 대사체들을 검출하기 위해 LC/ESI/MS와 GC/TOF-MS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분리 및 검출하였고, LC/ESI/MS의 질량스펙트럼으로부터는 각각의 분자량을 추정하였으며 GC/TOF-MS로는 이들을 확인하였다. M1은 Prostanozol의 17번 탄소가 케톤기로 치환된 17-keto-Prostanozol, M2는 M1에서 pyrazole nucleus 와 Aring에 한 개의 히드록시기가 치환된 hydroxy-17-keto-Prostanozol, M3는 B-ring 또는 C-ring에 한 개의 히드록시기가 치환된 hydroxy-17-keto-Prostanozol, M4는 한 개의 히드록시기가 D-ring에 치환된 hydroxy-17-keto-Prostsnozol로 확인되었으며 M5는 17번 탄소 위치에 히드록시기를 갖고 B-ring 또는 C-ring에서 하나의 히드록시기가 치환된 hydroxy-17-hydroxy-Prostanozol로 추정되며 M6은 17번 탄소 위치에 케톤기를 갖고 pyrazole nucleus 혹은 A-ring에 하나의 히드록시기를 또한 B-ring 또는 C-ring에 또 하나의 히드록시기가 치환된 dihydroxy-17-keto-Prostanozol, M7은 M6와 같이 17번 탄소에 케톤기를 갖으며 pyrazole nucleus 혹은 A-ring에 하나의 히드록시기를, 또한 D-ring에 또 하나의 히드록시기를 가진 dihydroxy-17-keto-Prostanozol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M8은 pyrazole nucleus 혹은 A-ring에 하나의 히드록시기를 갖고 그 외의 ring에 또 다른 히드록시기가 치환된 dihydroxy-17-hydroxy-Prostanozol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 M5, M7, 그리고 M8은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새로운 대사체였다. 체내에서의 포합반응 여부를 확인한 결과 Prostanozol과 8종의 모든 대사체가 글루쿠론산 포합체를 형성하였고, 8종의 대사체 중 일부는 포합체를 형성하지 않고도 배출되며 특히 M6과 M7은 황산 포합체로도 배설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국과 감국의 정유성분 조성비교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Chrysanthemum boreale and Chrysanthemum indicum)

  • 홍철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2호
    • /
    • pp.108-113
    • /
    • 2002
  • 산국과 감국의 정유성분 조성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증기 증류에 의해 정유를 분리한 다음 GC-MS, GC를 이용한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 비교 또는 문헌상의 각 성분의 RI값과 비교에 의해 성분을 동정하였다. 산국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94개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그 중 GC peak area를 기준으로 했을 때 주요 구성성분은 camphor (15.40%), cis-chrysanthenol (14.11%), ${\alpha}-thujone$ (13.27%), 1,8-cineole (4.16%), ${\alpha}-pinene$ (3.80%), ${\beta}-caryophyllene$ (3.58%), germacrene D (2.69%), camphene (2.40%), umbellulone (2.24%) 및 ${\beta}-pinene$ (2.00%) 등이었다. 감국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80개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주요 구성성분은 germacrene D (16.50%), camphor (10.04%) 이외에도 ${\alpha}-thujone$ (6.40%), ${\alpha}-pinene$ (4.50%), ${\alpha}-cadinol$ (3.97%), cam-phene (3.82%), ${\beta}-pinene$ (3.67%), zingiberene (3.64%), cis-chrysanthenol (3.45%), piperitone (3.09%), 1,8-cineole (2.61%) 및 chrysanthenone (2.42%) 등이었다. 산국과 감국의 정유성분 조성상의 차이점으로 산국의 정유에서는 감국에 비해 camphor, cis-chrysanthenol, ${\alpha}-thujone$, 1,8-cineole 및 umbellulone의 함유비율이 높은 반면 감국의 정유에서는 germacrene D, ${\beta}-caryophyllene$, ${\alpha}-cadinol$, zingiberene, cis-chrysanthenol 및 piperi-tone의 함유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Helminthosporium sativum이 생성하는 D-toxin의 생물학적 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diethyl ether soluble toxin produced by Helminthosporium sativum)

  • 이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8-135
    • /
    • 1991
  • H. sativum에서 분리되고 명명된 D-toxin은 UV, GC-MS, 및 화학분석결과helminthosporal와 비슷한 결과를 얻었으나, helminthosporal와 같지는 않았다. 이 식물독물질은 barley endosperm실험에서 gibbe-rellic acid와 같은 결과를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보리뿌리 및 줄기반응에서 gibberellic acid와 같지가 않았다. 또한, 이 물질은 통계처리결과 은 반응결과를 Host specific disease로 알려진, Foliar spot and Root rot diseases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판 목초액의 성분조성 (Compostion of Constituents of Commercial Wood Vinegar Liquor in Korea)

  • 김삼곤;김근수;이윤환;김영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262-268
    • /
    • 2001
  • 국내에서 농업용으로 시판되고 있는 목초액을 dichloromethane으로 추출한 다음 추출물의 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L. fil.) D. Don]와 참나무류(Quercus)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목초액의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5.8%와 1.8%이었다. 각각의 추출물은 산 및 알칼리 처리에 의해 산성 분획, 페놀성 분획, 중성 분획 및 염기성 분획으로 구분한 다음 GC 및 GC-MS를 사용하여 각 분획의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산성 분획 에서는 26종의 성분을 동정하였고, 2종의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acetic acid, propionic acid 및 n-butyric acid가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페놀성 분획에서는 32종의 페놀화합물을 동정하였고, 2종의 시료에서 공통적인 주요 구성 성분은 guaiacol, 4-methylguaiacol, phenol, p-cresol, m-cresol 등이었다. 또한 참나무로 제조한 목초액의 페놀성분획에서는 syringol과 4-methylsyringol의 함유비율이 각각 8.89%, 1.72%이었으나 삼나무로 제조한 목초액에서는 두 성분의 함유비율이 각각 1.12%, 0.07%이었고, 삼나무로 제조한 목초액의 페놀성 분획에서는 vanillin(3.31%), acetovanillone(3.11) 및 GC-MS에 의해 잠정적으로 확인된 ethylvanillyl ether(7.75%)의 함유 비율이 높은 편이었으나 참나무 목초액에서 이 성분들의 함유비율은 0.1% 이하이었다. 중성 분획에서 동정된 45종의 성분 중에서 2-furfural, 5-methyl-2-furfural, 3-methyl-2-cyclopenten-1-one, 2-methyl-1-cyclopenten-1-one 등이 주요 구성성분이었고, 이외에도 furan, furfural 및 cyclopentenone 유도체들이 많이 검출되었다.

  • PDF

D체와 R체 이성질체 판별과 GC-MS를 이용한 유전성 대사이상질환의 진단법 개발 (Diagnostic Method for Inborn Metabolic Disorders using differentiation between D- and R- Isomers on GC-MS)

  • 윤혜란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5-71
    • /
    • 2015
  • Since the secretion of specific chiral isomers in urine (or plasma) is very crucial to diagnose some inborn metabolic disorders, clinical application of dual column achiral differential method has been performed for the absolute configuration of chiral compounds. Extracted from the acidified urine with diethyl ether, carboxylic functional group of organic acid (stereoisomers of the volatile) was derivatized with (-)-menthylation or (S)-(+)-3-methyl-2-butylation and followed by O-trifluoroacylation. Each of the enantiomers was accurately separated from the library matched double column (achiral) with a retention index (I). In various inborn metabolic disease urines, absolute chirality was identified correctly in the urine (10 patients) with inborn metabolic disease (including secretion of D, L- lactic acid, D, L-3-hydroxybutyric acid, and D, L-2-hydroxyglutaric aci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nd isolated the volatile diastereomer as a useful diagnostic marker, this successful application to urine specimens may be useful for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inherited metabolic disorders.

GC/MS를 이용한 뇨중 몇가지 농약의 분석 (Analysis of some pesticides in urine by GC/MS)

  • 박성수;박송자;표희수;조정희;김혜수;박택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0
    • /
    • 2000
  • 이 연구는 뇨시료 중에서 검출될 수 있는 9종의 농약에 대하여 HP-1 capillary column(25 m ${\times}$ 0.2 mm I.D., $0.33{\mu}m$ film thickness)을 사용하여 GC/MS/SIM방법으로 동시에 분리 정량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9종의 농약에 대한 뇨시료로 부터의 추출은 pH 7.0에서 diethyl ether를 사용한 LLE 방법으로 대체로 높은 회수율과 10%이하의 상대표준편차를 나타내었다. SIM 방법으로 얻은 농약의 표준검정곡선은 농도범위 $4.0{\sim}1,000$ ppb에서 직선성이 양호하였고 정량한계는 $0.4{\sim}2.0$ ppb를 나타내었다. 실제로 농약을 살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설된 뇨시료 중에서 각 농약 물질에 대한 parent form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으며, phenthoate를 포함하는 농약을 살포한 후 채취된 뇨시료에서 대사체로 예상되는 ${\alpha}$-hydroxybenzeneacetic acid를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