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month cycl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9초

Observation of long-term disappearance and reappearance of the outer radiation belt

  • 이대영;신대규;김경찬;김진희;조정희;박미영;;황정아;이용희;김경호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15.2-115.2
    • /
    • 2012
  • In this study we have used the data of various instruments onboard the THEMIS spacecraft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er radiation belt during the ascending phase of solar cycle 24. The most astonishing result is that we discovered four long-term (a month or so) periods during which the belt has nearly disappeared. The first disappearance started late 2008, followed by reappearance in ~a month, and three more similar events repeated until early 2010 when the belt has reappeared. This is well revealed at 719 keV electrons, which is the currently available uppermost energy channel from the THEMIS SST observation, but also seen at even lower energies. Overall consistent features were confirmed using the NOAA-POES observations. The vanished belt periods are associated with extremely weak solar wind conditions, low geomagnetic disturbances (in terms of Kp and AE/AL), greatly suppressed wave (ULF and chorus) activities, greatly reduced storm and substorm activities (little source particle supply), and expanded plasmapause locations. The direct observations of such events shed light on the fundamental question of the origin of the radiation belt, which is the main focus of our presentation.

  • PDF

이중구조 가연성 독봉의 핵설계 특성 평가 (An Evaluation of Nuclear Design Characteristics of Duplex Burnable Absorber Rods)

  • 이대진;김명현;송근우;정연호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1-79
    • /
    • 2002
  • 이중구조 가연성독봉(Duplex BP)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표준형발전소 24개월 주기를 기준으로 16개 Gadolinia 독봉이 장전된 핵연료집합체에 대해 핵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16개 Gd 독봉이 장전된 핵연료집합체와 동일한 반응도 억제가를 갖는 Duplex 독봉집합체를 설계하기 위해 내심에 Natural U-12wt%Gd$_2$O$_3$, 외심에는 4.95wt%$UO_2$-2w/oEr$_2$O$_3$을 넣어 이중 성형한 24개의 이중구조 가연성독봉이 장전된 핵연료집합체를 설계하였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140개의 Erbia 독봉이 장전된 등가핵연료집합체를 설계하였다. 핵설계 특성평가를 위해 연소도에 따른 무한증배계수, 반응도억제가, 첨두봉출력 그리고 냉각재 온도재수에 대한 변화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Duplex 독봉은 Gadolinia 독봉에 비해 k-inf의 2차 첨두현상을 완화시켜 반응도 제어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량의 Erbia 독봉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장전한 핵연료집합체보다는 Duplex BP를 장전한 핵연료집합체가 노심내 반응도 제어면에서 유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몇가지 환경요인이 돼지풀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ermination of Seeds in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 김종홍;김원희;차승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93-100
    • /
    • 2002
  •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D/sub ESCOURTILS/)종자의 발아를 유발시키는 몇가지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자의 휴면은 온도와 토양함수량이 적절하면 채종직후에도 일부분 타파되었고, 주야의 변온(30/20℃)이 휴면타파에 효과적이었다. 온도에 따른 발아율은 12℃∼32℃의 온도처리구에서 모두 발아가 이루어졌고, 발아에 필요한 최적온도는 24℃였다. (P<0.01). 토양함수량의 영향은 30% 처리구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60% 처리구에서 최대치를 나타내고 (P<0.05) 80% 처리구에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토양함수량 7% 처리구에서는 전혀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온도에 대한 광의 영향은 24℃의 온도 처리구에서 광처리시와 암처리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고, 광의 존재유무에 따른 발아율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P>0.05). 채종시기간에는 9개월 저장기간의 어떤 시기에도 종자의 발아에 특별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P>0.05). 온도상승구(IT)에서 돼지풀종자는 16℃에서 발아하기 시작하였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발아율이 점차 증가하여 최종발아율은 99.34%에 이르렀다. 반면에 온도하강구(DT)에서는 20℃에서 처음발아가 시작되었으며(1.34℃)에서 5.34%의 최종발아율을 나타내었고,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2차 휴면이 유도되었다. 저온에 의한 종자의 휴면타파가 고온에 의한 휴면타파보다 더 많이 유도되어, 돼지풀 종자는 늦가을에도 발아가 이루어지나 그 다음해 봄에 대부분의 종자발아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와 같은 돼지풀종자들 내의 발아습성의 변이가 다양한 환경변화에 대해 자신의 생존과 자손의 번식을 위한 생리적·생태적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An Analysis of Macro Aspects Caused by Protectionism in Korea

  • Kim, Yuri;Kim, Kyunghun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1호
    • /
    • pp.1-17
    • /
    • 2021
  • Purpose - The global trend of protectionism has expanded since the onset of US President Donald Trump's administration in 2017. This global phenomenon has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world trade volume and a negative impact on economic development in some countries where the external sector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of GDP. Although Korea is a country vulnerable to this deteriorating trade environment,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onism and its business cycles based on Korean data. Thu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protectionism on Korea's business cycle. Design/methodology - To identify future implications, we conduct a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VAR) analysis using monthly Korean data from 1994 to 2015. Macroeconomic variables in the model include the industrial production index, inflation rates, exports (or net exports), interest rates, and exchange rates.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shock reflecting the expansion of protectionism, we use an antidumping investigation (ADI) data. Since ADIs are followed generally by the imposition of antidumping tariffs, they have no contemporaneous impact on tariffs and are also contemporaneously exogenous to other endogenous variables in the VAR model. We examine two kinds of ADI shocks i) shocks on Korean exports imposed by Korea's trading partners (ADI-imposed shocks) and ii) shocks on imports imposed by the Korean government (ADI-imposing shocks). Findings - We find that Korea's exports decline sharply due to ADI-imposed shocks; the lowest point at the third month after the initial shock; and do not recover until 24 months later. Simultaneously, the inflation rate decreases. Therefore, the ADI-imposed shock can be regarded as a negative shock on the demand curve where both production and price decrease. In contrast, the ADI-imposing shock generates a different response. The net exports decline, but the inflation rate increases. These can be seen as standard responses with respect to the negative shock on the supply curve. Originality/value - We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onism and Korea's economic fluctuations, which is rarely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We also consider the effects of both protective policy measures on imports to Korea impos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on policy measures imposed by Korea's trading partner countries on its exports.

난소 낭종 제거술후 난소 용적 및 호르몬의 변화 (Assessment of Ovarian Volume and Hormonal Changes after Ovarian Cystectomy in the Different Ovarian Tumor)

  • 박준철;배진곤;김종인;이정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2호
    • /
    • pp.155-162
    • /
    • 2008
  • 목 적: 난소 용적 측정 및 기저 FSH, $E_2$, CCCT 검사를 통하여 가임기 여성에서 난소 낭종 제거술후 난소 배란능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난소 낭종으로 내원한 환자 중 35세 이하의 여성으로서 비교적 규칙적인 생리주기를 가지며 한쪽 난소에만 낭종을 가진 22명을 대상으로 자궁내막종군과 비자궁내막종군으로 구분하여 전향적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질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술 1개월 전과 수술 3개월 후 생리주기 3일에 난소의 용적을 측정하였다. 또한 수술 전과, 수술 후 두 번의 정상 생리가 있은 뒤 기저 FSH, $E_2$, CCCT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 22명 중 3명은 술후 검사를 계획한 3개월 전에 임신이 됨으로써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수술 후 난소 용적은 자궁내막종군에서 $4.79{\pm}2.57\;cm^3$, 비자궁내막종군 중 직경 ${\geq}10\;cm$인 경우에서 $5.21{\pm}1.33\;cm^3$로서 건측과 비교하여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나, 비자궁내막종군 중 직경 <10 cm인 경우는 $6.18{\pm}2.85\;cm^3$로서 유의한 용적 감소가 없었다. 수술후 자궁내막종군의 기저 FSH는 $4.25{\pm}0.20\;mIU/ml$, CCCT 10일째 FSH는 $3.79{\pm}0.80\;mIU/ml$였고, 비자궁내막종군은 각각 $4.24{\pm}0.85\;mIU/ml$, $4.28{\pm}0.92\;mIU/ml$로서 수술 전후의 기저 FSH, CCCT 결과 비교에서 각 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군간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자궁내막종 절제술 및 10 cm 이상의 난소 낭종 절제술 후 난소 용적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10 cm 미만의 난소 낭종 제거술에서는 난소 용적의 유의한 감소가 없었다. 난소 배란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측정한 기저 FSH, CCCT 검사 결과는 낭종 제거술 후에도 각 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임기 여성에서는 난소절제술 보다는 낭종 제거술이 우선 고려되어야 하며,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면 난소 배란능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항 내에 서식하는 신복족류 Thais clavigera의 연중 생식주기 및 임포섹스 현상에 관한연구 (Report on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and Imposex Phenomenon of the Rock-Shell, Thais clavigera in Jeju Port)

  • 양현성;김봉규;박흥식;최광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7-105
    • /
    • 2010
  • 제주 항 내에 서식하는 대수리 Thais clavigera를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1998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 그리고 imposex 현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직학적 관찰 결과, 배우자형성은 암,수 모두 10월에 처음 시작 되었고, 성숙한 알들은 주로 5월에서부터 7월 사이에 관찰되었다. 생식소단면적 지수 역시 알이 성숙하는 5월과 7월 사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8월에 급격히 낮아져, 7월과 8월 사이에 집중적인 산란이 있었던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기주석화합물에 의한 imposex 현상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RPSI는 월 평균 59.5-173.4%로 다른 지역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제주 항 내의 유기주석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일부 도시지역에 있어서 중, 고교생의 월경에 관한 조사연구 (Survey on Menstruation of Middle & High School Girls in an Urban Area)

  • 김명엽;강현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3-72
    • /
    • 1971
  • The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detailed survey of 1,285 students experiencing menstruation, who were chosen among 1,717 students in middle & high school girls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uly 20-July 24, 1971. 1. Age of Menarche An average age of menarche was 13.3$\pm$1.07. The earliest age of menarche was 9 and the latest age 18. Ages of menarche were between 12 and 14 in 84.3 percent of the students surveyed. a. By present age distribution, the aged students were lower, than younger students in the average age of menarche. b. By father′s educational levels,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graduated from high schools, college & ever the earliest average age of menarche was found with 13.2, and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graduated from primary schools that wag latest with 13.6. c. By father′s occupations,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om engaged in "workers not classifiable"the earliest age of menarche was found with 12.5$\pm$0.27,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in "service business"the second was 12.9$\pm$1.07, and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in "miners, quarrymen and related workers"that was latest with 13.8$\pm$1.14. d. By economic status, among the students of "wealthy"families the age of menarche was 13.1$\pm$0.25, the among the students of "ordinary"families the lags of menarche 13.3$\pm$1.06. and the among the students of "poor" families that was 13.8$\pm$0.31. e. By home discipline, among the students being treated "rigid" the age of menarche was 13.5$\pm$1.13, among the students being treated "moderate"the age of menarche was 13.3$\pm$0.22, and those being treated "indifferent" that was 13.0$\pm$0.26. f. By students physical condition, among the students of "good" condition the average of menarche was 13.3$\pm$0.16, and among the students "poor" that was 13.5$\pm$0.31. 2. Menstruation a. For the six months after the average of menarche 39.0 percent of the students had normal menstruations, and 61.3 percent of them had abnormal ones. Of the students with abnormal menstruation 21.7 percent had abnormal menstruation from time to time, 25.4 percent had no menstruation for one month to three months, 7.2 percent had menstruation for four to six months and 6.7 per cent had no menstruation for more than sin months. Most students became to have normal menstruations a few months later the age of menarche. b. At the time interviewed, the percentile of cycle of menstruation as following: 23 days types: 46.8 percent 30 days types: 40.6 percent others : 12.6 percent The average cycle of menstruation was every 28.9 days. c. The average duration of menstruation is 4.69 days. d. The subjective symptoms during menstruation period: Out of the total 89.7 per cent had some pains, while 10.3 percent had no symptom. Among the symptoms, abdominal pain occupied 29.9 percent, neurotic symptoms 19.0 percent and lumbago 15.1 percent. e. By attitude or Action at first physical change, "Treated it by own experience" : 30.0 percent "Don′t know what to do because of ignorance" : 20.1 percent "Asked others about it" : 43.0 percent

  • PDF

HPLC를 이용한 근소만 조간대 퇴적물내의 저서미세조류 현존량, 군집 및 광생리의 월 변화 분석 (Monthly HPLC Measurements of Pigments from an Intertidal Sediment of Geunso Bay Highlighting Variations of Biomass, Community Composition and Photo-physiology of Microphytobenthos)

  • 김은영;안성민;최동한;이호원;노재훈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1-1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태안반도 근소만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MPB)의 현존량, 군집조성 및 광생리의 월변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2016년 10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월 1~2회씩 총 16회에 걸쳐 갯벌 표층에 분포하는 저서미세조류 색소를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 분석하였다. 갯벌 표층 1 cm 깊이에 분포하는 저서미세조류의 광합성 색소 중 현존량의 지표로 사용되는 총 chlorophyll a (TChl a) 농도는 연중 40.4~218.9 mg m-2의 범위를 보였다. 2월 24일에 최대값이 나타났고 3월에도 높은 값을 보인 뒤 이후 감소하였다. 저서미세조류의 현존량은 동계에 높고 하계에 낮은 값을 나타냈다. Phaeophorbide a 농도의 월별 변동을 통해 동계에 상위 포식자의 낮은 포식압이 저서미세조류 동계번성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주요지시색소를 이용한 저서미세조류 군집조성의 분석결과 저서규조류의 지시색소인 fucoxanthin의 농도가 연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Chlorophyll b(녹조류), peridinin(와편모조류)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시색소의 농도는 동계에 증가하였으나, fucoxanthin의 농도 증가율이 가장 높아 fucoxanthin을 제외한 TChl a에 대한 주요지시색소의 상대비는 동계에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형광광도계와 산소미세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한 퇴적물 내 Chl a와 산소 농도의 연직분포 특성은 퇴적층 표면에서 깊이가 깊어질수록 Chl a 값과 산소 농도가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동계로 갈수록 이런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5~7월의 Chl a 농도는 다른 기간에 비해 12 mm까지 연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5월의 산소 농도 분포는 1 mm 이하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같은 시기에 phaeophorbide a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저서동물의 포식활동에 의한 산소 소비량이 증가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저서동물의 생물교란에 의해 저서미세조류의 세포가 아래로 옮겨진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저서미세조류의 광적응의 지표로 사용되는 diadinoxanthin (DD)과 diatoxanthin (DT)로 얻은 상대적인 비(DT/(DD+DT))는 10월에서 3월로 갈수록 감소하며, 5월에는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월별로 Xanthophyll cycle의 활성 정도에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몇가지 환경요인이 돼지풀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ermination of Seeds in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 차승희;김원희;김종홍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3호
    • /
    • pp.163-170
    • /
    • 2002
  •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D_{ESCOURTILS}$종자의 발아를 유발시키는 몇가지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자의 휴면은 온도와 토양함수량이 적절하면 채종직후에도 일부분 타파되었고, 주야의 변온($30/20^{\circ}C$)이 휴면타파에 효과적이었다. 온도에 따른 발아율은 $12^{\circ}C{\sim}32^{\circ}C$의 온도처리구에서 모두 발아가 이루어졌고, 발아에 필요한 최적온도는 $24^{\circ}C$였다(P<0.01). 토양함수량의 영향은 30% 처리구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60% 처리구에서 최대치를 나타내고(P<0.05) 80% 처리구에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토양함수량 7% 처리구에서는 전혀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온도에 대한 광의 영향은 $24^{\circ}C$의 온도 처리구에서 광처리시와 암처리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고, 광의 존재유무에 따른 발아율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P>0.05). 채종시기간에는 9개월 저장기간의 어떤 시기에도 종자의 발아에 특별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P>0.05). 온도상승구(IT)에서 돼지풀종자는 $16^{\circ}C$에서 발아하기 시작하였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발아율이 점차 증가하여 최종발아율은 99.34%에 이르렀다. 반면에 온도하강구(DT)이서는 $20^{\circ}C$에서 처음발아가 시작되었으며(1.34%), $12^{\circ}C$에서 5.34%의 최종발아율을 나타내었고,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2차휴면이 유도되었다. 저온에 의한 종자의 휴면타파가 고온에 의한 휴면타파보다 더 많이 유도되어, 돼지풀종자는 늦가을에도 발아가 이루어지나 그 다음해 봄에 대부분의 종자발아가 이루어 질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와같은 돼지풀종자들 내의 발아습성의 변이가 다양한 환경변화에 대해 자신의 생존과 자손의 번식을 위한 생리적 생태적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일부 지역 근로자의 스켈링 행태와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caling Behaviors and Knowledge and Oral Health Belief of Workers in Certain Region)

  • 김영선;윤영주;고은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29-334
    • /
    • 2010
  • 본 연구는 근로자의 스켈링 행태와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북 일부지역의 근로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미회수자와 부실한 응답자 21명을 제외한 479명 중 스켈링 경험이 있는 326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스켈링 지식 평균은 6.44(10점 만점)이었고, 구강건강신념 평균은 2.72(5점 척도)이었다. 하부 영역 중 '유익성'이 3.24로 가장 높았고, '심각성'이 2.25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스켈링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에서 성별은 '행동의 계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연령은 '심각성'과 '행동의 계기'에서 차이가 있었다(p<.05). 학력은 '심각성'에서 차이가 있었고(p<.01), 근무분야는 스켈링 지식과 '감수성' 및 '심각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p<.05), 월수입은 스켈링 지식과 '유익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05). 3. 스켈링 행태와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의 차이에서 정기적으로 스켈링을 하는 경우 스켈링 지식과 '유익성'이 유의하게 높았고(p<.001), 하지 않는 경우 '감수성', '심각성' 그리고 '장애성'에서 높았다(p<.05, .01, .001). 스켈링 주기는 짧을수록 스켈링 지식과 '유익성'이 유의하게 높았고(p<.001, .01), '장애성'은 주기가 길수록 높았다(p<.01). 스켈링 동기는 자발적인 경우 스켈링 지식이 높았고(p<.01), 권유에 의한 경우 '행동의 계기'가 높았다(p<.01) 4. 스켈링 행태와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과의 상관관계는 정기적 스켈링과 스켈링 주기에서 스켈링 지식과 '유익성'은 역상관(p<.01), '심각성'과 '장애성'은 순상관(p<.05, .01)을 보였고, 스켈링 동기는 스켈링 지식과는 역상관(p<.01), '행동의 계기'와는 순상관(p<.01)을 보였다. 5. 스켈링 지식과 구강건강신념과의 상관관계는 '장애성'과는 역상관(p<.01), '유익성'과는 순상관(p<.01)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근로자의 치주건강을 위해서는 스켈링에 대한 중요성을 정책적으로 홍보, 관리하여 6개월 주기로 정기적 스켈링을 자발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