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s and 40s Women

검색결과 720건 처리시간 0.029초

유방암 수술 후 부정적 감각 개선을 위한 발반사마사지의 효과: 라벤더 족욕과의 비교 (Foot Reflexology for the Intervention of Sensation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A Single-blind Repeated Measured Pilot Study with Comparison Group of Lavender Foot Bath)

  • 김달숙;박인숙
    • 종양간호연구
    • /
    • 제10권2호
    • /
    • pp.180-190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mprovement and maintenance effects of foot reflexology (FR) on sensation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with those of lavender foot bath (LFB). Methods: Using a single-blind design, both 18 women to receive 20-min FR by trained experts and 14 women to soak feet in $40^{\circ}C$ foot tub water with 5 drop lavender essential oil, 15-min were intervened every two days. Repeated measures were taken pre 1st-(baseline-4th op. day), pre 3rd-(2nd data), and pre 5th-intervention (3rd data) with following up at 1-week after 5th intervention (4th data). The reliabl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Baron's Breast Sensation Assessment Scale was used to assess sensation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SABCS) characterized by prevalence, frequency, severity, and distress.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aseline and the 3rd, and a decrease tendency from baseline to the 3rd were observed for the severity and distress in FR and for the prevalence and severity in LFB. A significant or important decrease tendency between the 3rd and the 4th were observed for the severity and distress in FR and for the severity in LFB. Conclusion: Iterative FR has the improvement and maintenance effects on the severity and distress while LFB has only those on the severity.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스트레스가 월경 전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Stress on Premenstrual Syndrome among Hospital Nurses)

  • 이선희;송지아;허명행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70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s an explorative survey to examine emotional labor,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among hospital nurses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28 nurses working at hospital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4.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Score of emotional labor was different by work time per week (F=4.03, p=.019), and menstrual amount (F=5.18, p=.006). Level of stress was different by marital status (t=2.29, p=.023), pattern of work (t=-3.63, p<.001), work time per week (F=3.39, p=.035), regularity of menstrual cycle (t=-4.20, p<.001), and exercise frequency (F=4.28, p=.015). Scores of premenstrual syndrome were different by regularity of menstrual cycle (t=-3.18, p=.002), and menstrual amount (F=5.88, p=.003). Emotional labor was related with perceived stress (r=.40, p<.001) and premenstrual syndrome (r=.23, p<.001). Also, perceived stress was related with premenstrual syndrome (r=.33, p<.001). Conclusion: Nurses' emotional labor,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Emotional labor was correlated with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premenstrual syndrome with stress.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se relationships and to search for nursing intervention to ease emotional labor,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시금치 가루를 첨가한 발아현미쿠키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Cookie with Added Spinach Powder)

  • 이희정;주나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7-7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시금치 가루를 첨가한 발아현미쿠키 제조 조건의 최적화를 위해 시금치 가루와 설탕, 버터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였고, Design Expert7(State-easy co., Minneapolis)을 사용하여 실험을 계획하고 최적화하였다. 시금치 가루와 설탕, 버터의 최대 및 최소범위는 예비실험을 거쳐 시금치 가루는 1~5 g, 설탕은 20~50 g, 버터는 40~60 g으로 하여 발아현미쿠키를 제조하여 물리적, 관능적 특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색도에서 명도는 시금치 가루 1 g과 설탕 20 g, 버터 60 g에서 가장 높았고, 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적색도와 황색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퍼짐성은 시금치 가루와 설탕, 버터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첨가량이 많을수록 퍼짐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금치 가루와 버터의 교호작용이 퍼짐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루 첨가가 쿠키의 퍼짐성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경도는 시금치 가루와 버터의 교호작용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관능적 특성에서 색, 향,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은 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금치 가루의 양이 많아질수록 기호도는 일정수준까지 증가하다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의 관능은 시금치 가루와 버터의 교호작용, 향은 설탕과 버터의 교호작용, 조직감은 시금치 가루와 설탕의 교호작용,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시금치 가루와 버터, 설탕과 버터의 교호작용이 더 민감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의 모든 항목에서 시금치 가루 3 g, 설탕 35 g, 버터 50 g에서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실험을 중 발아현미와 통밀가루를 이용한 쿠키베이스에 시금치를 첨가한 것이 비교적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아현미 쿠키베이스를 이용한 시금치첨가 쿠키의 결과에서는 최적 배합비를 예측한 최적값은 시금치 가루 3 g, 설탕 35.5 g, 버터 54.4 g이었으며, 본 시금치를 첨가한 발아현미 쿠키는 기능성 및 품질과 기도적 측면에서 상품화를 위한 충분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인에서 연령에 따른 요추 및 대퇴부에서의 최대 골밀도 및 골소실률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age-related Bone Loss and Peak BMD in Korean)

  • 김영란;박창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77-83
    • /
    • 2018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1 2차년도에 참여한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요추 및 대퇴골부위의 최대 골밀도 변화와 골 소실률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시도 하였다. 척추와 대퇴부 부위의 골밀도 차이는 분산분석을 이용하였고, 연령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는 Cubic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에서의 요추, 대퇴골 부위의 최대 골밀도는 20-24세였으며, 요추에서의 골소실률은 75-79세에서 대퇴부에서는 80세 이상에서 골 소실률이 가장 높았다. 여성에서는 요추, 대퇴골 부위의 최대 골밀도는 40-44세였으며, 요추에서의 골소실률은 70세 이상에서 대퇴부에서는 75-79세, 80세 이상, 55-59세 순으로 골 소실률이 높았다. 따라서, 남성에서는 75세 이상에서 골다공증 검사율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하고, 여성에서는 50대 이후에서 폐경과 관련해서 골다공증의 관리 전략을 짜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보리된장의 일반적 특성과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Barley Soybean Paste (Doenjang) Containing Kelp Extracts)

  • 오세인;성정민;이근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843-1851
    • /
    • 2014
  • 다시마에는 항산화성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알긴산 등 증점 다당류가 풍부한 해조류이다. 다시마 추출물 함량을 달리한 재래식 보리된장을 제조하여 2개월간 발효시키면서 항산화능 및 이화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제조된 된장의 pH는 5.80~6.86, 산도는 0.57~1.87%, 수분 함량은 65.30~40.90% 범위로 저장기간 동안 pH는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였다. 점도는 보리된장 대조군이 4,913 cps이었고 다시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4,793~9,333.3 cps까지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비례하였다(P<0.05). 다시마를 첨가한 보리된장의 색도는 다시마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라 각각 L 값과 b 값은 증가하였으나 a 값은 다시마 추출물의 함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군이 12.72 mg TAE/g, 처리군이 13.40~16.37 mg TAE/g이었으며(P<0.05), flavonoid 함량은 대조군이 $0.98{\mu}gRE/g$, 처리군이 $1.25{\sim}1.56{\mu}gRE/g$으로 다시마 추출물의 첨가량과 비례하여 항산화능에 영향을 주었다(P<0.05). DPPH 라디칼 소거능은 BHA를 (+)대조군으로 하여 $IC_{50}$ 함량을 각각 구하였으며 보리된장 대조군 23.23 mg/mL, 다시마 추출물 처리군의 경우 24.83 mg/mL, 10.28 mg/mL 수준으로 다시마 추출물이 된장의 항산화능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보리된장의 총균수는 초기에 7.20~7.57 log CFU/g으로 나타났고 초기 젖산균수는 4.20~4.71 log CFU/g 범위로 나타나 다시마 처리군의 총균수는 대조군보다 적고 젖산균 수는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감칠맛은 대조군에 비해서 20% 다시마 처리군이 6.1점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P<0.05), 질감 또한 대조군(5.7점)보다 20%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군이 6.4점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전체적 기호도는 대조군이 5.6점이었고 20% 첨가 처리군에서 6.5점으로 유의차가 크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보리된장에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하면 항산화능도 뛰어나므로 보리된장의 제품화 가능성도 더욱 크다고 사료된다.

저열량 감미료 Tagatose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 Low Calorie Sweetener, Tagatose)

  • 노회진;김상용;김석신;오덕근;한기영;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29
    • /
    • 1999
  • 새로운 저열량 감미료인 tagatose를 식품에 적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Tagatose 용액은 Bingham 유체의 점성 특성을 보여주었고 용액의 농도가 $25^{\circ}C$에서 10%에서 50%로 증가할수록 점도가 1.65 cp에서 5.14 cp로 증가하여 비교적 저 점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온도가 $15^{\circ}C$에서 $55^{\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4.59 cp에서 2.33 cp로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에 의하여 용융 특성을 조사한 결과 tagatose의 용융 개시 온도는 $130.4^{\circ}C$, 흡열 엔탈피는 -202.3 J/g이었다. 수분활성도는 60% 농도에서 tagatose는 0.892, sucrose는 0.957로 tagatose가 더 낮은 수분활성도를 보여주었다. 흡습성은 상대습도 85%에서 100%까지 tagatose가 sucrose보다 높았다. $20^{\circ}C$에서 $70^{\circ}C$까지의 온도 변화에 따른 용해도를 보았을 때는 tagatose가 sucrose보다 낮았다. pH 2에서 pH 12까지 조정한 용액을 3일 후 관찰하였는데 pH에 대하여 안정하였다. 또한 $154^{\circ}C$까지 4시간 열처리하였을 때 거의 변성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한 경우 육안으로 보이는 갈변화에 의하여 흡광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저령차전자탕을 이용해 현훈을 치료한 환자의 특징 고찰 : 63례의 후향적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Treated for Dizziness with Jeoreongchajeonja-tang: A Retrospective Analysis of 63 Cases)

  • 정누리;김기태;신선미;고흥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122-113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linical analysis of patients treated for dizziness with Jeoreongchajeonja-tang, evaluate the effect of Jeoreongchajeonja-tang administration, and present indications of Jeoreongchajeonja-tang in dizzines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63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Oriental Hospital of Se-Myung University from August 2012 to June 2019, complaining of dizziness, so who took Jeoreongchajeonja-tang. Results: 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took Jeoreongchajeonja-tang with dizziness, women were 2.7 times more than men. The age distribution was: patients in their 70s, 36.5%; in their 50s, 20.6%; in their 60s, 15.8%; and in their 80s, 12.6%. Patients had a history of hypertension (46.0%), diabetes (22.2%), stroke (17.4%), lung disease (12.6%), and cancer (11.1%). According to the diagnosis, 48 patients (76.1%) were assigned to the peripheral dizziness group, 7 patients (11.1%) to the central dizziness group, and 8 patients (12.6%) to other dizziness groups. 2) Compared with the peripheral dizziness group, the central dizziness group was older, their history of hypertension 8.4 times greater, their history of stroke 7.8 times greater, and the duration of herbal medicine administration was longer. 3) The vertigo gra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aking Jeoreongchajeonja-tang (p=0.000). 4) As age increased by one year, odds ratio of improvement in the vertigo grade decreased by 0.924 times after taking Jeoreongchajeonja-tang (p=0.010). 5) Sex, disease duration, past history, diagnosis, the duration of herbal medicine administration, whether or not Yanggyuksanhwa-tang was combined with the Jeoreongchajeonja-tang and whether or not Western medicine was used did not affect improvement in the vertigo grade after taking Jeoreongchajeonja-tang.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dizziness, Jeoreongchajeonja-tang can be used as a treatment without side effects.

타피오카 분말을 첨가한 증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ith Tapioca Flour)

  • 유창희;심영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3호통권93호
    • /
    • pp.396-401
    • /
    • 2006
  • 타피오카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증편의 수분함량, 부피 대칭성 균일성 측정, 색도측정, 텍스쳐 특성, 관능적 특성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함량은 타피오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수치를 나타냈으며 부피와 대칭성은 대조군보다 타피오카 분말 첨가군이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부피는 TJ-20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대칭성은 TJ-30군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각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균일성은 TJ-10군이 수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각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색도측정 결과 중 명도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타피오카 분말 첨가군이 낮은 값을 보였으며, 황색도는 대조군보다 타피오카 분말을 첨가한 군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타피오카 분말 첨가량에 따른 증편의 텍스쳐 특성 결과 중 탄력성(springiness), 점착성(gumminess), 응집성(cohesiveness), 씹힘성(chewiness)은 대조군에 비해 타피오카 분말 첨가군이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견고성(hardness)은 대조군이 타피오카 분말 첨가군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타피오카 분말 첨가량이 가장 많은 TJ-30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증편 조직의 균일성(cell uniformity)과 씹힘성(chewiness)은 TJ- 20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단단한 정도(hardness)는 타피오카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은 수치로 평가되었다. 전반적인 질(overall quality)은 TJ-20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TJ-30군이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위의 실험 결과를 볼 때 타피오카 분말 첨가군이 타피오카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군보다 기계적 측정치와 관능적 측정치가 높게 평가되었으므로 상업적인 증편 제조 시 타피오카 분말이 이용가능하리라 생각된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은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균 형성 정도, 점질물의 점도 및 청국장 맛에서는 $40^{\circ}C$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취는 가장 낮았다. 청국장의 이화학적 특성, 상대점도 및 관능검사 결과에 의하여, 포자농도 $10^2\;CFU/mL$를 접종하여 청국장을 제조할 경우 $40^{\circ}C$에서 발효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사료된다.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은 본 조사지역의 입구와 관찰로 주변에서 확인되었으며, 이 식물은 자생식물 피압 뿐만 아니라 꽃가루 알레르기를 일으켜 인체에 피해를 주고 있는 식물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반적으로 주식 및 후식의 선호도에 남녀 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단체급식을 위한 식단 작성 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생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 교육을 실시할 때 이러한 차이를 고려한 신생활 교정프로그램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은 대조군에 비해 발아에 의하여 세포독성 효과를 증가되었지만, MCF-7와 Caco-2에 대한 항암효과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것으로 사료된다.높게 인식할수록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교 급식소 운영주체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조사결과 향후 대학교 급식소를 운영하는 위탁급식 전문업체의 경우 그들의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홍보전략이 절실히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최근고객감소로 인하여 다양한 급식운영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단체급식 운영자들은 재방문 및 추천의도의 선행요건이 급식서비스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임을 명심하여 가장 기본이 되는 급식서비스 품질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류의 섭취정도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비채식대학생의 경우 골밀도와 여러 요인과는

노인 보행 시 하지 근 활동 양상과 관절의 안정성이 낙상에 미치는 영향 -후향성 연구- (Effects of Muscle Activation Pattern and Stability of the Lower Extremity's Joint on Falls in the Elderly Walking -Retrospective Approach-)

  • 류지선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3호
    • /
    • pp.345-356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낙상자와 비낙상자 간 보행 시 하지의 국부적 안정성과 근 활동 양상을 후향성 접근을 통해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보행 시 낙상 경험이 있는 20명과 낙상 경험이 없는 20명이 선정되었다. 트레이드밀 보행 시 3차원 운동 캡쳐 시스템과 무선 근전도 장비를 이용해 운동학적 좌표와 근전도 신호를 수집했다. 운동좌표를 이용해 무릎과 발목 관절의 3차원 각 변위를 산출했으며, 이들의 국부적 안정성을 Lyapunov 지수를 통해 계산했다. 근 활성도는 근전도 신호를 이용해 대퇴직근과 대퇴이두근, 전경골근과 비복근을 살펴봤으며, 또한 이들의 동시 수축 지수를 정량화했다. 연구 결과 무릎 관절의 내·외전 움직임의 국부적 불안정성은 비낙상자 집단이 낙상자 집단보다 컸으며(p<.05), 전경골근의 근활성도는 낙상자 집단이 비낙상자 집단보다 적게 나타났다(p<.05). 또한 비복근과 전경골근의 동시 수축 지수는 낙상자 집단이 비낙상자 집단보다 컸다(p<.05). 그 밖에 낙상자 집단에서 비복근과 전경골근의 동시 수축 지수와 발목 관절의 굴신 움직임에 대한 국부적 안정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따라서 보행 시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릎 관절의 내·외전 움직임에 관여하는 근들을 강화하고, 발목 관절의 굴신에 작용하는 비복근과 전경골근을 균형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산업장 여성근로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비교 (The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by Shift Pattern of Duties of Women Workers in workplace)

  • 장희정;박경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2-41
    • /
    • 1999
  •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compare their factors according to the shift pattern of duties of women workers who were working in the industrial workplace and present basic data in planning systematic and effective programs of health promotion for three-shift system and day-duty. Using Quota Sampling, 219 women work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from 5 workshops which had 50 settled workers up to 300 and 10 factories which had more than 300 located in Taegu and Kyung-Boo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12 to September 30, 1998. As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were used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HPLP) which was adapted and adjusted by Seo, Y. O.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one developed by Moon, J. S. (1990) for health-belief, the one developed by Sherer et al.(1982) and then adapted by Oh, H. S. for self-efficacy, and the one developed by Park, J. W. (1985) for social support. The analysis of data were performed with Cronbach's ${\chi}^2$-test, t-test, ANCOVA, Kendal tau,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chi}^2=32.46$, p=0.000), career (${\chi}^2=18.47$, p=0.000), working day(t=-3.18, p=0.000) by the shift pattern of duties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t=2,52, p=0.012). The score of three-shift group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2.27, showing that it was lower by .13 than that of day-duty group(2.40). 3. ANCOVA involving age, career and working day as covariables, which had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showed that health promoting behaviors by the shift patterns of dut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F=4.88, p=0.028). 4. In consideration of variables that have an influenc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the shift pattern of duties, social support occupied 19.4%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three-shift group and 22.5% including the sense of self-efficacy. In the day-duty group, social support occupied 34.4%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5. The score of three-shift group(2.94)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day-duty group(3.12) in the perceived benefit of health-belief(t= -3.29, p=0.001), while the score of three-shift group (2.4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ay-duty group(2.24) in the perceived barrier (t=4.22, p=0.000). In the sense of self-efficacy(t=-4.20, p=0.000), the score of three-shift group(3.24)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day-duty group(3.53) while in social support(t=-4.56, p=0.000) the one of three-shift group(2.64)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day-duty group(2.88).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 1. It is required to develop health promoting program that takes the shift pattern of duties of women workers into consideration. In addition, there are special demands on developing nursing strategies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ree-shift workers. 2. It is required to develop specific strategies for social support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women workers. 3.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me programs for improving the sense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health-belief of three-shift workers. To achieve these tasks, industrial nurses should play an active role and improve the ability of self-health care of women work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