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C

검색결과 27,183건 처리시간 0.061초

밤호박의 저장 온도와 습도가 품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Qualities of Buttercup Squash (Kabocha))

  • 한진숙;정문철;김성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44-651
    • /
    • 2007
  • 수확 직후 농가방식으로 후숙시킨 밤호박(구리지방 품종)을 저장조건별로 130일간 저장하면서 저장온도와 습도에 따른 밤호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장조건은 대조구(산지 저장고 저장), 온도 $12^{\circ}C$의 습도 40, 60, 80% RH 처리구, 온도 $20^{\circ}C$의 습도 40, 60, 80% RH 처리구 등 7처리구로 하였다. 부패율은 습도보다는 온도의 영향을 더 받아 $20^{\circ}C$ 저장구는 저장초기인 20일부터 급격하게 부패가 진행되었다. $20^{\circ}C$ 저장구는 20일까지 당도가 계속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저장일이 증가함에 따라 당도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습도가 낮을수록 당도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12^{\circ}C$ 저장구는 저장초기 급격한 당도 증가 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짐이 따라 당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습도에 의한 영향은 크게 받지 않았다. 저장에 따라 경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 처리구도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품질에 크게 영향을 주는 수준은 아니었다. 밤호박 표피의 명도는 기간이 경과하면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12^{\circ}C$ 저장구보다 $20^{\circ}C$ 저장구에서 그 변화가 더 컸다. 펙틴함량의 변화는 $20^{\circ}C$ 저장구는 습도와 관계없이 저장 20일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는 감소하였는데 $12^{\circ}C$ 저장구에서는 $20^{\circ}C$ 저장구보다 펙틴의 감소율이 적었으며 60% RH 저장구에서는 저장에 따른 총 펙틴함량에 거의 변화가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밤호박의 저장을 위해서는 호흡이 억제되는 $12^{\circ}C$에 습도는 60%이하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완두콩의 품질 변화 (Changes of Quality on Green Peas by the Storage)

  • 임효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61-766
    • /
    • 2005
  • 완두콩을 시료로 하여 $5^{\circ}C,\;2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외관, 클로로필, 아스코르빈산의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저장기간에 따른 완두콩의 품질변화는 꼬투리째 저장한 완두콩이 완두콩만을 저장한 경우보다 저장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도별로는 $5^{\circ}C$ 저장이 $20^{\circ}C$에서 저장했을 때보다 저장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클로로필의 함량변화는 5, 20의 저장조건 모두 꼬투리째 저장한 완두콩의 클로로필 함량이 많았다. 아스코르빈산 함량변화는 $20^{\circ}C$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5^{\circ}C$ 저장에서는 저장 21일째에 아스코르비산 함량이 $20^{\circ}C$ 저장 $2{\sim}7$일째의 함량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보아 완두콩의 저장성은 꼬투리째 저장하는 것이 완두콩만을 저장하는 것보다 더 좋으며, 실온보다는 약 5 에서 저장하는 것이 더 외관, 클로로필, 아스코르빈산의 함량 유지면에서 더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Colletotrichum acutatum, C. dematium 및 C. gloeosporioides의 분생포자발아(分生胞子發芽) 및 부착기(附着器) 형성(形成)에 미치는 온도(溫度)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Conidium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of Colletotrichum acutatum, C. dematium and C. gloeosporioides)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4-229
    • /
    • 1993
  • C. dematium 과 C. gloeosporioides의 포자발아 및 발아관 신장에 알맞는 온도는 $20{\sim}30^{\circ}C$이며 부착기는 $20^{\circ}C$에서 형성이 잘 되었으나 포자의 발아는 늦었다. $30^{\circ}C$에서는 포자발아와 발아관의 신장이 양호하였으나 부착기의 형성은 낮았다. C. acutatum의 포자발아에 알맞는 온도는 $20{\sim}30^{\circ}C$이었으나 발아관의 신장이 $25^{\circ}C$에서 촉진되었다. 분생포자는 격막이 생기고 발아관 대신 $1{\sim}2$개의 딸세포가 포자화되었으며, 제2차 포자를 형성하면서 수지상(樹枝狀)으로 되었다. 부착기는 포자의 발아에 의해서 드물게 형성되었으며 알맞는 온도는 $20{\sim}30^{\circ}C$이었다. 그러나 $30^{\circ}C$에서 발아된 포자는 부착기의 형성능력이 없었다. Colletotrichum acutatum, C. dematium 및 C. gloeosporioides 등의 분생포자 발아 및 부착기 형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에 관해서 논의(論議)하였다.

  • PDF

볶음온도가 참깨 분리단백질의 항영양인자와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asting Temperature on the Antinutrient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Protein Isolates)

  • 김진;박정륭;전정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35-441
    • /
    • 1999
  • 본 실험에서는 5$0^{\circ}C$, 10$0^{\circ}C$. 15$0^{\circ}C$. 20$0^{\circ}C$ 온도에서 20분간 가열하여 전처리한 참깨를 압착해서 참기름을 제거한 후 제조한 참깨 분리단백질의 항영양인자인 phytate와 phenolic acid의 함량의 변화와 식품학적인 기능적 특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참깨 분리단백질의 함량은 볶음 온도를 15$0^{\circ}C$로 상승시켰을 때 68.9%, 5$0^{\circ}C$에서의 65.5%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20$0^{\circ}C$에서는 64.1%로 오히려 감소하였고, 총페놀. 축합형 탄닌함량과 phytate함량 5$0^{\circ}C$에서 20$0^{\circ}C$로 볶음온도를 상승시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색도는 고온 처리한 참깨박 분리단백질은 L값과 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은 20$0^{\circ}C$에서 처리한 경우에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고온처리시에 짙은 갈색을 띄었으며, 겉보기 밀도와 지방 흡수력 그리고 수분 흡수력은 볶음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화성은 5$0^{\circ}C$에서 15$0^{\circ}C$로 온도가 상승시에 증가하였지만 20$0^{\circ}C$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기포성은 볶음온도에 따라 5$0^{\circ}C$와 10$0^{\circ}C$에서는 기포성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15$0^{\circ}C$와 20$0^{\circ}C$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기포안정성은 10$0^{\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0^{\circ}C$에서 볶아서 제조한 참깨 분리단백질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CFD 해석을 이용한 현장 열응답 시험의 출구온도 예측 (The Outlet Temperature Prediction of In-Situ Thermal Response Test using CFD Analysis)

  • 심용섭;이희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8-35
    • /
    • 2016
  • 지열원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지중 열교환기 설계를 위해 수행하는 현장 열응답 시험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되기 때문에 조건 변화에 따른 출구온도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수직형 지중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을 예측하기 위한 방안으로 3차원 CFD 해석 기법을 제안하고, 2개소의 현장 열응답 시험의 출구온도와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CFD 해석 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CFD 해석 결과, 2개소의 현장 열응답 시험의 출구온도는 $0.5^{\circ}C$ 이내에서 예측하였고, 기울기 값은 1.6% 이내에서 적절히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CFD 해석 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하고, 2개소의 현장 열응답 시험의 유량 및 지중 유효 열전도도 조건을 각각 ${\pm}20%$ 변화시키면서 현장 열응답 시험의 출구온도를 예측하였다. 첫 번째 현장(Case 1)의 경우 유량 변화에 따라 $28.0^{\circ}C$(-20%)와 $29.6^{\circ}C$(+20%), 지중 유효 열전도도 변화에 따라 $29.6^{\circ}C$(-20%)와 $28.0^{\circ}C$(+20%)로 현장 열응답 시험의 출구온도를 예측하였으며, 두 번째 현장(Case 2)의 경우 유량 변화에 따라 $28.4^{\circ}C$(-20%)와 $29.8^{\circ}C$(+20%), 지중 유효 열전도도 변화에 따라 $29.7^{\circ}C$(-20%)와 $28.4^{\circ}C$(+20%)로 현장 열응답 시험의 출구온도를 각각 예측하였다.

DFT Study for Substitution Patterns of C20H18X2 Regioisomers (X = F, Cl, Br, or OH)

  • Hwang, Yong-Gyoo;Lee, Seol;Lee, Kee-H.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2호
    • /
    • pp.641-646
    • /
    • 2012
  • We used the hybrid density-functional (B3LYP/6-31G(d,p)) method to analyze the substitution patterns of $C_{20}H_{18}X_2$ derivatives (X = F, Cl, Br, or OH) obtained as disubstituted $C_{20}H_{20}$ cag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is-1 regioisomers (1,2-dihalo derivatives) are less stable than the trans-1 regioisomers (1,20-dihalo derivatives), whereas in the case of the dihydroxy derivatives, the cis-1 regioisomer is more stable than the trans-1 regioisomer. This implies that in the dihalo-induced strain cages of $C_{20}H_{18}X_2$, the strain effect would affect the relative energies, while in the dihydroxide, the hydrogen bonds have a stronger effect on the relative energies in cis-1 regioisomer than the strain effect do. Thus this supports the experimental result in which the bisvicinal tetrol was of particular preparative-synthetic interest as a substitute for the lacking bisvicinal tetrabromide. Further, the topologies of the HOMO and LUMO characteristics of all $C_{20}H_{18}Cl_2$ and $C_{20}H_{18}Br_2$ regioisomers with the same symmetry are same, but the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_{20}H_{18}F_2$ and $C_{20}H_{18}(OH)_2$. This indicates that the five regioisomers of each $C_{20}H_{20}$ disubstituted derivative will have an entirely different set of characteristic chemical reactions.

저장온도에 따른 한국산 양다래(Actinidia deliciosa)의 화학적 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Kiwifruit(Actinidia deliciosa) by Storage Temperature)

  • 김정민;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18-622
    • /
    • 1997
  • 한국산 양다래를 시료로 하여 수확 후 저장 온도를 각각 $0^{\circ}C,\;5^{\circ}C,\;20^{\circ}C$로 하여 7주 동안 저장하면서 이에 따른 양다래의 화학성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0, $5^{\circ}C$ 시료의 경우 수분의 함량은 $85{\sim}86%$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면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20^{\circ}C$ 시료의 경우 함량의 증가를 보였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0^{\circ}C,\;5^{\circ}C$ 시료는 증가하였고, $20^{\circ}C$ 시료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들의 함량은 $11{\sim}14\;^{\circ}Brix$를 유지하였다. pH와 적정산도는 $0^{\circ}C,\;5^{\circ}C$ 시료와 $20^{\circ}C$ 시료에서 모두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pH의 경우 $3{\sim}3.5$의 값을 나타냈으며, 적정산도는 $1{\sim}1.5$ 사이의 측정치를 나타냈다. 유기산의 함량변화는 malic acid, quinic acid의 경우 모든 저장시료에서 증가하였으며, citric acid는 6주동안 급격하게 상승하였다가 6주가 경과하자 급격히 함량이 감소하였다. $20^{\circ}C$에서 저장한 시료의 경우는 $0^{\circ}C$$5^{\circ}C$ 저장시료와 그 변화의 패턴이 일치하였다. 유리당의 함량은 $0^{\circ}C$$5^{\circ}C$ 저장시료의 경우 glucose, fructose 그리고 sucrose는 대부분 시료에서 증가하였으며, $20^{\circ}C$ 저장 시료는 glucose와 fructose는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sucrose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

  • PDF

저장에 의한 감자(수미)의 Glycoalkaloid 함량의 변화 (Changes in glycoalkaloid contents of 'Superior' potato tubers by storage)

  • 김정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98호
    • /
    • pp.245-251
    • /
    • 2007
  • 저장에 따른 감자의 glycoalkaloid(PGA)의 함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에서 재배된 수미 감자를 사용하여 $5^{\circ}$C와 $20^{\circ}$C의 항온실에 저장한 후, $5^{\circ}$C 저장 감자는 20일 간격으로 80일 동안을, $20^{\circ}$C는 10일 간격으로 40일 동안 감자의 glycoalkaloid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장 당일 감자의 a-chaconine과 a-solanine의 함량은chaconine이 54.22 mg/100 g 으로 solanine의 26.57 mg/100 g의 약 2배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5^{\circ}$C에서 저장된 감자의 싹의 성장은 20일째 0.4 cm의 발아를 보여 40일째는 1 cm, 60일째 1.8 cm 정도인 것이 이후에 많은 증가를 보여 80일에는 5.2 cm의 신장을 나타내었다. PGA 함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장 당일에 비해 20일에는 3.5%, 40일에는 11.6%, 60일에는 23.4%, 80일에는 41.4%의 증가를 보였다. $20^{\circ}$C에 저장한 감자의 싹은 10일째에 0.5 cm로 발아하였으나 20일째에 2.3 cm, 40일에 7.4 cm로 급속한 싹의 신장을 보였다. PGA의 변화는 저장 당일에 비해 10일에 12.5%, 20일에는 36.6%, 30일에는 44.8%, 40일에는 48.4%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즉, 저장 온도와 기간에 따른 PGA함량은 $5^{\circ}$C의 저온에서 저장한 감자는 $20^{\circ}$C에서 저장한 감자보다 발아의 지연과 함께 낮은 PGA증가율을 보였다.

저장탄수화물과 질소의 월동성과 재생활력에 대한 이용성 I. 저온처리가 유채 ( Brassica napus L. ) 의 생육 , 질소 및 비구조성 탄수화물의 총 함량에 미치는 영향 (Partitioning of Carbon and Nitrogen Reserves During Winter Adaptation and Spring Regrowth I. Effects of temperature on growth, total content of nitrogen and non-structureal carbohydrate in forage rape(Brassica napus L.))

  • 김병호;김태환;김기원;정우진;전해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7-163
    • /
    • 199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al or regrowth yield. Dry matter, nitrogen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tent of plants grown under $5^{\circ}C$ or $20^{\circ}C$ of culture temperature during 25 days were investigated. The dry matter content of leaves and roo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under $5^{\circ}C$ compared with $20^{\circ}C$culture condition. Comparing with the dry matter per plant under $20^{\circ}C$, those in leaves and roots under $5^{\circ}C$ decreased to 25% and 10%, respectively, after 25 days of temperature treatment. Total nitrogen content in leaves under $20^{\circ}C$ and $5^{\circ}C$ increased to 68% and 39% compared to the initial lenel(day O), respectively, during 25 days after temperature treatment, Nitrogen content in roots highly increased under 5 C while there was a little change under $20^{\circ}C$ condition. The nitrogen contents in roots under $5^{\circ}C$ and $20^{\circ}C$ were 39.0 and 30.8mgJg DM, respectively, after 25 days of temperature treatment. Total contents of soluble carbohydrate in both leaves and roots under $5^{\circ}C$ were higher than those under $20^{\circ}C$ condition. After 25 days of temperature treatment under$5^{\circ}C$ , their contents in leaves and roots were 1.4 and 2.0 times higher than those of under $20^{\circ}C$ condition. Stach atent in roots under $20^{\circ}C$ was less changed, while thatof under $5^{\circ}C$ greatly increased from 64.8 to 178.7mglg DM duling 25 days. 'Ihes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an accumulation of both nitrogen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in the plants occured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e condition.

  • PDF

UV경화에 의한 폴리우레탄/유기화클레이 나노복합재료 제조와 물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urethane/Organoclay Nanocomposites by UV Curing)

  • 신금식;장영욱;김성우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4호
    • /
    • pp.156-162
    • /
    • 2012
  • UV 경화형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와 유기화클레이를 혼합한 후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클레이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유기화클레이로서는 Closite20A (C20A) 및 이를 실란처리하여 표면에 아크릴기를 도입한 아크릴변성 C20A를 사용하였다. XRD와 TEM 분석으로부터 제조된 나노복합체는 삽입형 나노복합체이며, 아크릴 변성시킨 C20A가 변성시키지 않은 C20A에 비해 더 잘 분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MTA, 연필경도분석, PET 필름에의 부착성 시험으로부터 클레이 첨가에 의해 유리전이온도와 저장탄성률 및 연필경도가 증가하고 PET 필름에의 부착성이 향상되며, 이러한 물리적 특성의 증가는 아크릴 변성시킨 C20A를 함유한 나노복합체에서 더 크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클레이 첨가에 의해 UV경화 시 수반되는 수축을 저하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 한편, 제조된 나노복합체는 우수한 광투과도를 나타내었으나, 광택도는 나노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다소 저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