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Roasting Temperature on the Antinutrient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Protein Isolates

볶음온도가 참깨 분리단백질의 항영양인자와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 김진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박정륭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전정례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asting temperatures on the antinutritional factor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protein isolates. The protein contents a sesame protein isolates (SPI) prepared at roasting temperatures of 5$0^{\circ}C$, 10$0^{\circ}C$, 15$0^{\circ}C$ and 20$0^{\circ}C$ were 65.5%, 66.6%. 68.9% and 64.1%, respectively. Total phenolic compounds, condensed tannin and phytate contents of SPI was increased from 5$0^{\circ}C$ to 20$0^{\circ}C$. From color measurements, higher roasting temperature decreased 'L' and 'b' values significantly, but 'a' value was increased. The bulk density, fat absorption and water absorption of SPI was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of roasting was increased. Sesame protein isolates prepared by roasting at 5$0^{\circ}C$, 10$0^{\circ}C$ and 15$0^{\circ}C$ had higher emulsifying activity than those prepared by roasting at 20$0^{\circ}C$. Foaming capacity of SPI was not changed by roasting up to 10$0^{\circ}C$, but this property was reduced dramatically when roasted at 20$0^{\circ}C$.

본 실험에서는 5$0^{\circ}C$, 10$0^{\circ}C$. 15$0^{\circ}C$. 20$0^{\circ}C$ 온도에서 20분간 가열하여 전처리한 참깨를 압착해서 참기름을 제거한 후 제조한 참깨 분리단백질의 항영양인자인 phytate와 phenolic acid의 함량의 변화와 식품학적인 기능적 특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참깨 분리단백질의 함량은 볶음 온도를 15$0^{\circ}C$로 상승시켰을 때 68.9%, 5$0^{\circ}C$에서의 65.5%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20$0^{\circ}C$에서는 64.1%로 오히려 감소하였고, 총페놀. 축합형 탄닌함량과 phytate함량 5$0^{\circ}C$에서 20$0^{\circ}C$로 볶음온도를 상승시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색도는 고온 처리한 참깨박 분리단백질은 L값과 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은 20$0^{\circ}C$에서 처리한 경우에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고온처리시에 짙은 갈색을 띄었으며, 겉보기 밀도와 지방 흡수력 그리고 수분 흡수력은 볶음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화성은 5$0^{\circ}C$에서 15$0^{\circ}C$로 온도가 상승시에 증가하였지만 20$0^{\circ}C$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기포성은 볶음온도에 따라 5$0^{\circ}C$와 10$0^{\circ}C$에서는 기포성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15$0^{\circ}C$와 20$0^{\circ}C$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기포안정성은 10$0^{\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0^{\circ}C$에서 볶아서 제조한 참깨 분리단백질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