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5종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9초

감천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 최철만;허만규;문성기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49-251
    • /
    • 2004
  • 감천항 3개 지점에서 조사된 식물플랑크톤은 3강 46속 98종류였는데 Bacillario-phyceae가 34속 76종류(77.6%), Dinophyceae 9속 17종류(17.3%, Chrysophycese 3속 5종류(5.1%)였다. 항 내에서 출현한 종은 모두 85종류로 항 외에서 출현한 94종류보다 적은 종이 출현하였고 규조류는 항 내에서, 와편모조류는 항 외에서 많이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절별로는 가을에 62종류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겨울에 45종류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지점별 현존량은 1,434(Feb. 2003; st. 3)~최고 17,708 cell/ml(Aug. 2003; st. 1)의 범위였고 여름철에 규조류(특히, Pseudonitzschia pungens와 Chaetoceros curvisetus 등)의 현존량이 많았다. 그리고 Pseudonitzschia pungens는 여름에 항 내에서 8,133 cell/ml로 가장 높은 현존량을 보였고 항 외에서도 4,000 cell/ml 이상 높은 현존량을 보였다, 본 조사기산 동안 출현한 주요종은 1,000 cell/ml 이상 출현한 우점종으로, Chaetoceros curvisetus, Chaetoceros debilis, Pseudonitzschia pungens, Skeletonema costatum, Stephanopyxis turris 등 5종, 출현빈번종은 Chaetoceros curvisetus, Chaetoceros lorenzianus,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hyalina 등 4종, 4계절 모두 출현한 종은 Chaetoceros didymus var. anhlica 외 13종이었으며 적조원인종도 Ceratium furca 외 13종으로 조사되어 항 내의 주기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집분석으로 우점도지수는 최저 0.205~최고 0.616였고 종다양성지수는 최저 0.213~최고 0.597로 나타났다.

  • PDF

강원도 방태산의 지표성 딱정벌레류(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의 군집구조 및 분포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of Mt. Bangtaesan in Gangwon-do, Korea)

  • 정종국;김승태;이수연;유정선;이준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07-317
    • /
    • 2011
  • 강원도 인제군 소재 방태산 자연휴양림 일대에서 2010년 6월부터 10월까지 채집한 1,041개체의 지표성 딱정벌레류는 7아과 18속 34종으로 동정되었다. 아과별 종 수(species richness)는 길쭉먼지벌레아과 15종(44.1%), 딱정벌레아과 7종(20.6%), 먼지벌레아과 4종(11.8%), 가슴먼지벌레아과 3종(8.8%) 및 기타 아과 5종(14.7%) 등의 순이었다. 우점종은 Synuchs속 일종(260개체, 25.0%), 민줄딱정벌레(218개체, 20.9%) 및 수도길쭉먼지벌레(205개체, 19.7%)이었다. 고유종은 11종 564개체가 채집되었다.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결과, 서식처의 식생 및 주변 환경의 특성에 따라 종 구성 및 발생 밀도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딱정벌레아과 및 길쭉먼지벌레아과와 같은 산지에 서식하는 지표성 딱정벌레들은 방태산 자연휴양림 내의 활엽수림 및 침엽수림을 선호한 반면, 무늬먼지벌레아과 및 먼지벌레아과 대부분은 초지와 인접한 지점에서만 출현하여 숲과 인접한 초지의 유무 등 서식환경의 차이가 지표성 딱정벌레류 분포에 중요한 요인이었다. 산림에서의 지표성 딱정벌레 군집 및 분포에 관한 분석 결과는 앞으로 환경변화에 따른 장기모니터링 및 산지 보존프로그램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서해안 곰솔림의 구조분석과 식물상 - 기지포, 춘장대, 장항 및 구시포를 중심으로 - (Vegetation Structure and Flora of Pinus thunbergii Forests in Western Coast of Korea - Focusing Gijipo, Chunjangdae, Janghang and Goosipo -)

  • 김민하;박종민;장규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9-213
    • /
    • 2016
  • 본 연구는 해안림의 식생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다층구조의 혼효림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위치한 기지포, 춘장대, 장항 및 구시포 등 4개 지역의 해안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식물상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4개의 조사지역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며 조사지역에 따라 일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소나무, 아까시나무, 졸참나무, 산벚나무, 상수리나무 및 밤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4개 지역 해안림의 곰솔군락은 전반적으로 어린 개체와 큰 개체의 밀도보다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아 곰솔군락으로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구시포 해안림의 경우는 지형적인 입지여건에 따라 장기적으로 참나무류의 군락으로 천이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조사대상지에서 총 205종의 식물 종이 조사되어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층구조의 해안림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곰솔림의 간벌, 통행로 설치, 이용구역 제한 등의 관리를 통해 다양한 식생이 침입하여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스리랑카産 Lecithoceridae科의 분류학적 정리 V. Lecithocerinae亞科: Timyra와 Doxogenes屬 (A Taxonomic Review of the Licithoceridae (Lepidoptera) in Sri Lanka V. The Subfamily Lecithocerinae : Genera Timyra and Doxogenes)

  • 우춘생;박규택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2호
    • /
    • pp.205-220
    • /
    • 1999
  • Sir Lanka의 Lecithoceridae과 정리의 제5편으로 Timyra Walker와 Doxogenes Meyrick속을 정리하였다. Timyra속 24종중 5종의 신종과 Doxogenes속 8종중 3종의 신종을 기재하였으며, 종전에 보고되었었던 Timyra속 4종과 Doxogenes속 2종은 표본이 확인되지 않았다. Timyra praeceptrix Meyrick은 T. mendicella Walker의 synonym 그리고 T. stachyophora Meyrick은 T. orthadia Meyrick의 synonym으로 각각 처리하였다.

  • PDF

한국산 색가오리과(Dasyatidae) 어류 1미기록종, Hemitrygon izuensis (Nishida and Nakaya, 1988) (First reliable record of a stingray, Hemitrygon izuensis (Nishida and Nakaya, 1988) (Chondrichthyes: Dasyatidae) from Korea)

  • 장서하;김진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7권3호
    • /
    • pp.205-213
    • /
    • 2021
  • Two specimens of Hemitrygon izuensis (395.8-471.5 mm in disc width), belonging to the family Dasyatidae (Myliobatiformes), were collected from the waters off north-eastern Jeju-do Island in June 2016 and Pohang in August 2019. This species was characterized by having no spots on dorsal side of disc, white ventral tail fold and short preorbital snout length (15.6-18.3% of disc width). This species is similar to H. akajei and H. sinensis reported in Korea, but differs in small denticles on mid-line of dorsal surface of disc (absent in H. izuensis vs. present in H. akajei and H. sinensis), the length of ventral tail fold (28.1-31.0% in H. izuensis vs. 48.0-48.6% in H. akajei vs. 45.0% in H. sinensis), color of ventral tail fold (white in H. izuensis vs. black in H. akajei and H. sinensis) and small tubercles on the posterior part of tail (absent in H. izuensis vs. present in H. akajei and H. sinensis). We suggest a Korean name for H. izuensis as "I-ju-gal-saeg-ga-o-li" following Kim et al. (2019).

한국산 관해파리류 2미기록종(히드라충강: 관해파리목) (Two New Records of Shiphonophores (Hydrozoa: Siphonophora) in Korea)

  • 박정희;원정혜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201-205
    • /
    • 2005
  • 대한해협 $(33^{\circ}59'N-129^{\circ}17'E)$과 여수에서 2002년 9월에 Issacs-Kidd Midwater 저인망으로 채집된 관해파리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관해파리목의 두컵관해파리아목에 속하는 카미소두겹관해파리 (Diphyes chamissonis)와 에시솔츠심해컵해파리 (Abylopsis schscholtzi)가 각각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재기재하여 보고한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산 관해파리류는 4과 6종이 된다.

경막내 척수외 결핵종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2예 보고 (MR Imaging of Intradural Extramedullary Tuberculoma of the Spinal Cord: Report of Two Cases)

  • 손영준;최시성;전세정;박성훈;정선관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2호
    • /
    • pp.201-205
    • /
    • 2008
  • 경막내 척수외 결핵종은 척추 결핵의 드문 형태로, 몇몇 증례들이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최근 흉추에 발생한 광범위한 경막내 척수외 결핵종 2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조류의 젖산 및 말산수소이탈효소 아이소자임 (Lactate and Malate Dehydrogenase Isozymes in Birds)

  • 박상윤;김창한;조동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93-205
    • /
    • 1972
  • Cellulose acetate 전기영동법으로 조류 28종의 젖산 및 말산수소이탈효소 아이소자임을 분리하였다. 실험하여본 종에 있어서 말산수소이탈효소는 2가지형이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하나는 전기영동 이동도가 빠른것이 독특하였고 다른 하나는 이동도가 느렸다. 조류의 젖산수소이탈효소 아이소자임은 종에 따라 커다란 다양성을 보여 주었으나 같은 속이나 과에 속하는 종사이에서 아이소자임 pattern은 같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