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 L small chamber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8초

Formaldehyde and TVOC Emission of Bio-Composites with Attached Fancy Veneer

  • Lee, Byoung-Ho;Kim, Hee-Soo;Kim, Ki-Wook;Lee, Se-Na;Kim, Hyun-Jo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2호
    • /
    • pp.46-55
    • /
    • 2008
  • This study assesses the formaldehyde and TVOC emissions from bio-composites with attached fancy veneer manufactured using wood flour and polypropylene (PP) measured using the Field and Laboratory Emission Cell (FLEC) method and 20 L small chamber method.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effects of the adhesive, sample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In the FLEC result, the formaldehyde emission level of the bio-composites with attached veneer by hot-press was the lowest than pure bio-composite and bio-composite attached veneer using adhesive. The TVOC emission levels are similar to the formaldehyde emission. The TVOC emission level is very low in all of the samples except fancy veneer that is attached with bio-composites using adhesive. The TVOC emission varies depending on how attaching fancy veneer. The results of the 20 L small chamber method were very similar to those obtained with the FLEC, but the correlation was not perfect. However, the FLEC method requires a shorter time than the 20 L small chamber method to measure the formaldehyde and TVOC emissions. The internal bonding strength exceeded the minimum value of $0.4N/mm^2$ specified by the KS standard. All of the bio-composites with attached veneer satisfied the KS standard.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 평가 시 사용되는 20 L 시험챔버 시편홀더의 기밀성 개선 (Tightness of specimen sealing box in 20 L test chamber to evaluate building materials emitting pollutants)

  • 신우진;이철원;김만구
    • 분석과학
    • /
    • 제20권4호
    • /
    • pp.261-267
    • /
    • 2007
  •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평가하는 20 L 시험챔버법은 챔버 내부에 노출되는 시료의 표면방출만을 측정한다.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알루미늄 호일로 감싼 후 시편홀더에 고정시켜 20 L 시험챔버 내에 위치시킨 후 방출시험을 실시한다. 이때 시편홀더의 기밀성이 보장되지 못한다면 시료절단면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로 인하여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없다. 이러한 절단면의 영향은 표면처리를 하여 표면에서 보다 절단면에서 더 많은 오염물질이 방출되는 판상재(합판, 장판) 시료의 경우 더 크다. 이 연구에서는 바닥재로 사용되는 장판을 대상으로 20 L 시험챔버와 1 L 시험챔버의 방출시험결과를 비교하여 시편홀더의 기밀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구재로 사용되는 LPM 양면처리한 MDF를 대상으로 현행의 시험방법과 시료절단면을 VOC 저방출 tape으로 밀봉한 방법을 비교하여 시편홀더의 부족한 기밀성의 개선이 가능하지 확인하였다. LPM 양면처리한 MDF의 7일 경과 후 방출강도는 TVOC의 경우 Tape 사용 유무에 따라 각각 $0.009mg/m^2h$, $0.003mg/m^2h$로 기밀성을 보완할 수 있었다. 또한 n=3에서 상대표준편차가 현행의 방법은 $0.004mg/m^2h$, tape을 사용했을 경우 $0.002mg/m^2h$로 현행 방법의 시험편홀더 기밀성 부족으로 인한 절단면의 불균일한 영향을 VOC 저방출테이프 사용으로 배제할 수 있었다.

삼투압 약물주입 펌프의 개발 (Development of Osmotic Infusion Pump)

  • 김동선;최성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6호
    • /
    • pp.471-475
    • /
    • 2015
  • 점차 수요가 증가하는 소형의 약물주입펌프의 개발을 위하여 삼투압을 이용한 약물주입펌프를 제작하고 그 성능을 입증하고자 한다. 삼투압을 이용한 약물주입펌프는 상용화된 전기-기계식 펌프에 비해 무거운 배터리와 액추에이터가 필요 없기 때문에 작고 가볍게 만들 수 있으며, 탄성체 약물주입펌프와 달리 지속적인 압력을 발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안한 삼투압 약물주입펌프는 약물주머니, 삼투압 발생부, 용매 저장부, 반투막으로 구성되어있다. 약물주입펌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약물의 유량을 측정하고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체외 실험기구를 구성하였다. 측정결과 약물주입펌프는 20ml의 약물을 20 시간에 걸쳐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약물의 최대 압력은 400mmHg 이상이므로 위치변화 또는 환자의 자세변화로 인하여 약물이 역류하는 위험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응집성 효모에 의한 고생산성 알콜 발효 (High Productivity Ethanol Fermentation Using Flocculant Yeast)

  • 손석민;김인규;변유량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07-613
    • /
    • 1992
  • 침강조의 중앙에 깔대기 모양의 판을 설치하고 방해판 아래 다시 공기 방울과 CO2 가스의 별도 배출구를 설치하여 상부로의 난류를 방지하므로 침강 효율이 그게 향상되도록 settler를 고안하였다. 이 settler를 설치한 탑형 발효조에서 응집성효모 S.uvarum의 에탄올 생산성을 검토한 결과 방해판을 설치하지 않은 단순한 원통형 settler에 비하여 1.5배 증대되었다. 또한 탑형 발효조에서 살펴본 균체 순환율이 에탄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균체 순환울 1-5 사이에서는 에탄올 생산성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6 이상에서는 균체가 유출되므로 에탄올 생산성이 감소하였다.

  • PDF

녹차잎분말을 이용한 마루판의 유해 TVOC 제거효과 (Scavenging Effect of Injurious VOC from Flooring using Green Tea Leaves Powder)

  • 강석구;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49-58
    • /
    • 2008
  • 본 연구는 내구성이 우수하며 포름알데히드방출이 적은 페놀수지 사용 메란티합판을 마루판용 대판으로 사용하고 북미산 벚나무 단판을 표면재료로 사용한 마루판의 제조과정에서 접착제 및 도료에 녹차잎 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마루판으로부터 방출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과 포름알데히드의 감소효과와 녹차잎 분말의 적정 첨가량을 구명하였다. 1) 녹차잎 분말의 폴리페놀화합물량은 9.85%였다. 2) 녹차잎 분말은 FT-IR 결과 벤즈알데히드와 에틸헥사알콜과 반응하여 화학결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페놀수지메란티대판에 벚나무단판오버레이 마루판 제조를 위한 접착제와 UV도료에 전건중량기준으로 2.5%의 녹차잎 분말을 각각 첨가하는 것이 총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의 방산제거 효과가 매우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4) 20L 소형챔버법에 의한 녹차잎 분말 2.5%를 접착제와 도료에 각각 첨가한 온돌용 마루판의 7일째 TVOC는 $0.089mg/m^2hr$이고 포름알데히드는 $0.001mg/m^2hr$를 나타내 최우수등급으로 나타났다.

Reduction of Formaldehyde Emission from Particleboardsby Bio-Scavengers

  • Eom, Young-Geun;Kim, Jong-Sung;Kim, Sumin;Kim, Jin-A;Kim, Hyun-Jo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5호
    • /
    • pp.29-41
    • /
    • 2006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ng additive as tannin, rice husk and charcoal, for reducing the formaldehyde emission level, on the adhesion properties of urea-formaldehyde (UF) resin for particleboard. We controlled the hot-pressing time, temperature and pressure to determine the bonding strength and formaldehyde emission. Blends of various UF resin/additives (tannin, rice husk and charcoal) compositions were prepared.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effect of additives (tannin, rice husk and charcoal) content, 0, 5, 10 and 15%, by weight of UF resin, were used. $NH_4Cl$ as hardener added. To determine the level of formaldehyde emission, we used the desiccator, perforator and 20 L-small chamber method. The formaldehyde emission level decreased with increased additions of additive (except rice husk). Also, increased hot-pressing time decreased formaldehyde emission level. At a charcoal replacement ratio of only 15%, the formaldehyde emission level is under F ✩ ✩ ✩ ✩ grade (emit < $0.3mg/{\ell}$). Curing of the high tannin additive content in this adhesive system indicated that the bonding strength increased. But, in the case of rice husk and charcoal, the bonding strength was much lower due to the inorganic substance. Furthermore, rice husk was poor in bonding strength as well as formaldehyde emission than tannin and charcoal.

Growth Responses and Regrowth to Low Temperature of Nine Native Moss Species

  • Gong, Gyeong Yeop;Jeong, Kyeong Jin;Lee, Sang Woo;Yun, Jae Gill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75-582
    • /
    • 2019
  • Moss is used as an important material in indoor landscaping as well as outdoor landscaping. Moss is vivid green during growth and excellent in ornamental value. But when temperature drops, moss stops growth, turns brown or loses its ornamental value. In the present experiment, for the purpose of classifying native mosses according to the growth response to low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plant growth chamber was set to 15℃/5℃ (16h/8h, day/night) and 5℃ (24h) for 8 weeks using nine native moss species. 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plant growth chamber was set to 20℃, and then the changes of moss block area and moss color were measured. The changes of moss block area and moss color were measured using a Photoshop program, after each moss block was photographed. As a result, Atrichum undulatum (Hedw.). Beauv., Etodon luridus (Griff.) A. Jaeger, Bachythecium plumosum (Hedw.) Schimp, Plagiomnium cuspidatum (Hedw.) T.J. Kop, and Hypnum plumaeforme Wilson showed a small decrease in moss block area at low temperature, and their recovery were the fastest at 20℃. These three species had higher green values at low temperature compared to other species, and the greenness increased rapidly at 20℃. On the other hand, Atrichum undulatum (Hedw.). Beauv., Marchantia polymorpha L., and Thuidium cymbifolium (Mitt.) A. Jaeger showed the smallest block area at low temperature and the lowest recovery even at 20℃. Their green values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at low temperature, and maintained low green value even at 20℃.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se three moss species are sensitive to low temperature. The remaining Myuroclada maximowiczii, Plagiomnium cuspidatum, and H. erectiusculum showed moderate responses to low temperature compared to other six species of mosses.

부산지방에서 실내수조를 이용한 무지개송어의 사육실험 (AN EXPERIMENT ON THE HEARING OF RAINBOW TROUT IN THE INDOOR AQUARIUM IN BUSAN)

  • 김인배;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67-273
    • /
    • 1977
  • 1977년 4월 25일부터 1977년 11월 10일까지 199일 간실내에서 소형의 순환여과사육장치와 소량의 지하수를 이용하여 하계기온이 높은 부산지방에서 무지개송어의 사육실험을 한 바, 다음과 같이 희망적인 결과를 얻었다. 1. 실험수조 2 (Fig.2)의 크기는 가로, 세로 각각 1m, 높이 67cm의 Stainless 수조로 가운데 직경 20cm, 깊이 20cm 역 원추형의 침전부가 있고 고 끝은 직경 4cm의 파이프에 연결되어 주수되는 물이 수조밖의 Stand pipe를 통하여 밖으로 넘쳐서 배출된다. 수심은 40 cm 정도로 유지되었으며 여과조는 가로 세로 각각 23cm, 깊이 40cm의 플라스틱 통에 깊이 30cm로 직경 약 $3\~5mm$는 zeolite석을 넣어 사용하였고 순환 펌프는 1시간에 약 1030 l 용량으로 순환율은 시간당 약 2.6회였다. 2. 수조에 주수되는 소량의 물이 밖으로 나가면서 찌꺼기를 밖으로 내보내게 되는 장치는 사육수의 수질유지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 3. $17^{\circ}C$ 전후의 지하수를 약 400 l의 사육수에 1분간 0.59 l의 비율로 1일 평균 16시간 주수하였더니 7월하순 평균기온이 $27.36^{\circ}C$ 일 때 사육수의 평균 수온이 $20^{\circ}C\~22^{\circ}C$ 전후로 유지되었으나 무지개송어는 정상적인 성장을 하였다. 4. 간단한 여과장치를 하고 1분간 1 l의 물이 주수된다고 할 때 생산량은 30kg 의 계산이 나온다. 5. 남부지방에서 하계수온 $17^{\circ}C$ 전후의 적당한 지하수와 소형의 여과장치 그리고 개량된 사육수조를 이용하여 무지재송어의 양식이 가능하며 경제적으로도 충분히 성립되고 사료와 여과장치를 개선하면 생산단가는 크게 낮출 수 있고 생각된다.

  • PDF

소형챔버법을 이용한 건축자재 중 벽지, 페인트 및 접착제의 VOCs 방출특성 평가 (Assessment of VOCs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Building Materials such as Wall Paper, Paints, and Adhesives Using Small Chamber Method)

  • 이석조;장성기;조용성;정경미;정기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1-204
    • /
    • 2005
  • Building and furnishing materials and consumer product are important sourc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nd other aldehydes in the indoor environment. Some available evidence indicates that VOCs can cause adverse health effects to the building occupants and contribute to some of the symptoms of what we call, 'Sick House Syndrome' in Kore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emission system and to investigate comparison of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building materials such as wall-papers, paints, and adhesives. The emission of VOCs from building materials were determined in the small chambers defining th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ventilation rate in this study. VOCs were sampled for 20 minutes using Tenax-TA tubes and analysed by GC-MS with thermal desorption. The stability of conditions fo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is small chamber system showed that the fluctuation of temperature was between 25.4$\pm$0.3$^{\circ}C$ and that of relative humidity was 50.2$\pm$0.6$\%$ under the airflow rate of 167 mL/min. The emission tests from building materials resulted in TVOC emission rates of 0.011 $\~$ 3.108 mg/m$^{2}$h after 7 days. The general wall-papers emitted toluene abundantly and the natural wall-papers mainly emitted n-butanol and a minor amount of alkanes compound such as n -tetradecane. The remainder consisted of toluene, m,p -xylene, and styrene. The paints mainly emitted toluene and the adhesives mainly emitted chloroform as well as toluene. As a result,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meaningful data for future studies in exposure control through selecting healthy building materials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various building materials in Korea.

지표면상을 전파하는 소음의 초과감쇠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imation for excess attenuation of Noise propagated on the ground)

  • 오재응;김동규;임동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25
    • /
    • 1988
  • 본 연구는 소음전파에 대한 옥외실험과 축적 음향모형실험에 의해서 지표면에 의한 초과감쇠 특징을 밝힌 것으로써, 옥외실험에 의한 소음전파감쇠는 음향출력이 큰 소형엔진을 사용하여, 거리감쇠로부터 산출한 실측의 초과감쇠와 Log(D/(Hs+Hr))의 관계를 확인했다. 그 결과 소음전파감쇠는 풍향, 주파수에 따라 다르며 직선회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지표면상의 초과감쇠치는 통기저항을 이용해서 Log(D/Hs+Hr))을 파라미터로써 구할 수 있었고, 가장 적당한 통기저항$\sigma$는 실측의 초과감쇠치와 임의의 $\sigma$에 대한 $L=-20Log\mid1+(r_1/r_2)Qexp(ik, \bigtriangleup r)\mid$ 식의 평균자승 오차가 가장 적어질 때 결정된다. 모형의 지표로써 축척 1/40의 모형실험으로, 큰 무향실내에서 거리감쇠의 측정을 한 결과, 실측치와의 대응이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