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pyrrolidone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초

Synthesis of Perhydroisoquinoline Ring Systems by N-Acyliminium Cyclization$^\sharp$

  • Choi, Joong-Kwon;Jung, Young-Shik;Park, No-Sa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9권3호
    • /
    • pp.129-132
    • /
    • 1988
  • The stereochemistry of N-acyliminium cyclizations to form decahydropyrrolo[2,1-a]isoquinolin-3(2H)-ones was studied.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 stereocontrol by an acetoxy group present on pyrrolidone ring. Two of the three new chiral centers were formed stereospecifically, and the third was controlled by elimination-hydrogenation sequence.

The Transport Phenomena of a Series of Amides through the Copolymer Hydrogel Membranes

  • Koo, Hyeon-Sook;Jhon, Mu-Shi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권4호
    • /
    • pp.138-143
    • /
    • 1980
  • Hydrogel membranes were prepared by copolymerizing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and N-vinyl-2-pyrrolidone (VP) in the presence of the solvent and the crosslinker tetra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TEGDMA). By changing the monomer composition and the crosslinker content, different membranes were synthesized. Using these membranes, relative permeabilities and distribution coefficients for amides including urea were measured. The water contents in membrane were also measured. On the basis of solute-membrane matrix interaction,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과 N-메틸-2-피롤리돈을 포함한 저수계 흡수제의 CO2 포집 특성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Water-Lean Solvent Composed of 3-(Methylamino)propylamine and N-Methyl-2-Pyrrolidone for CO2 Capture)

  • 왕슈아이;홍정현;유정균;홍연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555-560
    • /
    • 2023
  • 기존 아민 수용액 기반 CO2 포집 공정을 산업적으로 적용할 경우 CO2 탈거 및 용매 재생에 따른 재생 에너지가 크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CO2에 대한 높은 흡수 용량과 함께 흡수제에 포함된 물의 조성을 낮춤으로써 재생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는 저수계 흡수제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아민인 MAPA (3-methylaminopropylamine)와 함께 물의 일부를 대신하여 물에 비해 CO2에 대한 물리적 용해도가 높고 비열이 낮은 NMP (N-methyl-2-pyrrolidone)를 흡수제에 도입하였다. 흡수제의 CO2에 대한 흡수 용량(αrich)과 순환 흡수 용량(Δα) 및 흡수 속도는 충전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5M의 MAPA를 포함한 흡수제를 사용했을 경우 NMP가 10 wt% 포함된 경우에 최대 순환 흡수 용량을 얻을 수 있었다. 총괄물질전달 계수는 NMP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0.5보다 더 높은 CO2 로딩 값에서는 NMP의 농도 증가에 따른 물질전달 계수의 증가 폭이 줄어들었다. lean 로딩 값이 낮은 경우에는 점성에 의한 물질전달 저항이 낮아서 NMP 첨가에 따라 총괄 물질전달 계수가 증가하나 로딩 값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제의 점도가 증가하면서 CO2와 MAPA의 확산도가 낮아지며 이에 따라 총괄 물질전달계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N,N-Dimethylacrylamide를 포함한 하이드로젤 렌즈의 제조 및 물리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Hydrogle Lens Containing N,N-Dimethylacrylamide)

  • 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61-765
    • /
    • 2010
  • Poly (N,N-dimethylacrylamide)는 수용성과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N,N-dimethylacrylamide를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36 - 42%, 굴절률 1.433 - 1.426, 가시광선 투과율 90 - 91%, 산소전달율 13.1 - $21.29{\times}10^{-11}(cm^2/sec)$ ($mlO_2/mL{\times}mmHg$)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polarographic method에 의한 공중합체의 산소전달율을 측정한 결과 N,N-dimethylacrylamid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11.0% - 80.5%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고산소투과성을 지닌 하이드로젤 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백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고분자재료의 합성 및 콘택트렌즈로의 응용 (Synthesis of Polymer Materials Containing Platinum Nanoparticles and Their Application for Contact Lenses)

  • 예기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99-104
    • /
    • 2010
  •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NVP (N-vinyl pyrrolidone), MMA (methyl methacrylate)가 담긴 몰드에 백금나노입자를 첨가한 후 농도조건을 다양화 하여 $70^{\circ}C$에서 약 40분, $80^{\circ}C$에서 약 40분, $100^{\circ}C$에서 약 40분 동안의 열처리 공정을 각기 거쳐 공중합 하였다.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산소투과율은 $9{\sim}15{\times}10^{-9}$ cm/s mL $O_2$/mL ${\times}$ mmHg, 함수율은 34.22~35.52%, 굴절률은 1.432~1.435, 가시광선 투과율은 88.3~91.2% 그리고 인장강도 값은 0.141~0.152 Kgf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콘택트렌즈는 여러 가지 색을 띠어 인공착색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콘택트렌즈에 착색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콘택트렌즈로 사용 가능한 물리적 특성에 부합되어 안 의료용 기능성 소재로의 응용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djuvant-induced arthritis에 대한 경피용 ketoprofen 제제의 치료효과 (Effect of Treatment with Transdermal Ketoprofen on Adjuvant-Induced Arthritis)

  • 심경미;김세은;배춘식;최석화;강성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4권
    • /
    • pp.400-404
    • /
    • 2006
  • 본 연구는 랫드의 우측 후지 발바닥에 Freund's complete adjuvant를 투여하여 관절염을 유발한 후에 N-methyl-2-pyrrolidone (NMP) 기제를 첨가한 경피용 ketoprofen 제제의 관절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NMP를 함유한 ketoprofen 경피용 제제의 관절염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Sprague-Dawley 암칫 랫드를 대조군과 약물 투여군으로 분리하고, 약물 투여군은 ketoprofen 10mg/rat 투여군(K10군)과 NMP가 함유된 ketoprofen 10mg/rat 투여군(NK10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적 관절염을 유발시킨 후 $^{99m}Tc-MDP$을 이용한 bone scan에서 골병변이 나타난 7일 후부터 14일 동안 약물을 매일 한번씩 랫드의 등에 극소 도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NMP의 기제를 첨가한 ketoprofen 경피용 제제가 ketoprofen단독 경피용 제제 보다 후지 부종을 현저하게 감소시켰고 단순 방사선 사진과 scintigraphy에서 관절염에 의한 골 파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관절염 치료에 있어 NMP를 함유한 ketoprofen 경피용 제제가 ketoprofen단독 제제보다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HEMA와 금 및 은 나노입자를 포함한 고분자의 합성 및 콘택트렌즈로의 응용 (Synthesis of a Polymer Containing HEMA and Gold and Silver Nanoparticles and its Application in Contact Lenses)

  • 예기훈;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28-233
    • /
    • 2010
  • 최근 금(Au)과 은(Ag) 나노입자는 항균성의 특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HEMA (2-hydroxyethylmethacrylate), NVP (N-vinyl pyrrolidone) MMA (methylmethacrylate)에 금과 은 나노입자를 첨가하였으며, $70^{\circ}C$에서 약 40분, $80^{\circ}C$에서 약 40분 마지막으로 $100^{\circ}C$에서 약 40분 동안의 열처리 공정을 거쳐 공중합 하였다. 중합 과정을 거쳐 중합된 고분자를 통해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28.43% ~ 35.27%, 굴절률 1.429 ~ 1.440를 나타내었으며, 가시 광선 투과율 79.2% ~ 86.5% 그리고 인장강도 값은 0.125 kgf ~ 0.201 kgf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로 볼 때 항균성을 가지면서 기존의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에도 부합되는 공중합체가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이메틸설폭시화물 용매를 사용한 PVC-LMO 비드의 제조와 리튬 이온 흡착 특성 (Preparation of PVC-LMO Beads Using Dimethyl Sulfoxide Solvent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Lithium Ions)

  • 유해나;이동환;이민규
    • 청정기술
    • /
    • 제20권2호
    • /
    • pp.154-15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노말 메틸 피로리돈(N-methyl-2-pyrrolidone, NMP)을 대신하여 다이메틸설폭시화물(dimethyl sulfoxide, DMSO)을 용매로 사용하여 폴리염화비닐 (poly vinyl chloride, PVC)로 리튬망간산화물(lithium manganese oxide, LMO)를 고정화하여 PVC-LMO 비드를 제조하였다. XRD 분석을 통해 PVC-LMO 비드내에 LMO가 잘 고정화 된 것을 확인 하였다. 합성한 PVC-LMO 비드의 크기는 약 4 mm였다. PVC-LMO 비드에 의한 리튬이온 흡착 실험은 회분식으로 수행하였다. 랭뮤어 모델식으로 부터 구한 최대 흡착량은 21.31 mg/g였다. PVC-LMO 비드에 의한 리튬이온 흡착특성은 유사 2차 속도모델식으로 잘 설명되었으며, 내부확산 단계가 흡착속도 결정단계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Removal efficacy and cytotoxicity of a calcium hydroxide paste using N-2-methyl-pyrrolidone as a vehicle

  • Lim, Myung-Jin;Jang, Hyun-Jin;Yu, Mi-Kyung;Lee, Kwang-Won;Min, Kyung-Sa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2권4호
    • /
    • pp.290-30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moval efficacy and cytotoxicity of a newly developed calcium hydroxide paste (cleaniCal, Maruchi) using N-2-methyl-pyrrolidone (NMP) as a vehicle in comparison with ApexCal (Ivoclar Vivadent) and Calcipex II (Nishika), which use different vehicle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re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maxillary premolars with oval-shaped canal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the teeth were filled with one of the pastes. After removal of the paste, micro-computed tomographic (${\mu}$-CT) imaging was obtained to assess the volume of residual paste in the root canal of each tooth. The teeth were then split longitudinally and the area of the paste-coated surface was evaluated by stereomicroscopy. The cytotoxicity of each product was assessed using an agar overlay assay. The effect of each vehicle on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s tests to detect any significance (p < 0.05). Results: In the ${\mu}$-CT and stereomicroscopic analysis, cleaniCal exhibited less remnants of medicament than ApexCal and Calcipex. cleaniCal showed a higher cytotoxicity than the other pastes in the agar overlay assay. Furthermore, NMP exhibited lower cell viability compared to the other vehicles. Conclusions: cleaniCal showed better removal efficacy compared to the other products. However,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the higher cytotoxicity of the NMP-based material and consider its possible adverse effects on periradicular tissue when it is overfilled.

단백질흡착 감소용 하이드로겔의 개발 및 인공수정체로의 적용 (Development of Hydrogel for Decrease Protein Adsorption and Application to Intraocular Lens)

  • 고나영;이현미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30-35
    • /
    • 2018
  • 인공수정체로 사용되고 있는 소수성 아크릴 하이드로겔의 단백질 흡착 감소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여 인공수정체로의 응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소수성 아크릴 인공수정체는 ethyleneglycol phenyletheracrylate(EGPEA), Styrene,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를 사용하여 제작하였고 첨가제로 polyvinyl pyrrolidone(PVP)와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MPC)를 사용하였다. 인공수정체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함수율, 습윤성, 광투과율 및 단백질 흡착량을 측정하였다. 첨가제를 넣은 모든 시료의 함수율과 습윤성은 증가하였고 단백질 흡착량은 감소하였다. 특히 MPC가 포함된 시료의 단백질 흡착량은 더욱 감소하였다. PVP와 MPC를 첨가한 소수성 아크릴 하이드로겔은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을 가지면서 단백질 흡착을 감소시킴으로써 기능이 향상된 인공수정체로의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