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pyrrolidone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9초

$PES-TiO_2$ 복합막의 제조 및 막 특성 평가 (Preparation of $PES-TiO_2$ Hybrid Membranes and Evaluation of Membrane Properties)

  • 염경호;이미선
    • 멤브레인
    • /
    • 제17권3호
    • /
    • pp.219-232
    • /
    • 2007
  • 침지침강 상변환법으로 폴리에테르설폰$(PES)-TiO_2$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14 wt% 및 20 wt%의 PES/NMP 기준 고분자 용액에 $TiO_2$ 나노입자를 PES에 대해 $0{\sim}60$ wt%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복합막 제조에 사용될 캐스팅 용액을 준비하였다. 제조된 $PES-TiO_2$ 복합막의 막 특성과 몰폴로지를 $TiO_2$ 첨가량에 따른 캐스팅 용액의 점도, coagulation value, 광투과도와 복합막의 인장강도, 세공크기 및 접촉각, 표면 및 단면 SEM 사진, BSA 용액의 한외여과 실험을 통해 규명하였다. 캐스팅 용액에 첨가시킨 $TiO_2$ 입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는 증가하고 coagulation value는 낮아져 캐스팅 용액의 열역학적 불안정성이 증가하였다. $TiO_2$ 입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1) 순간분리의 침강형식을 유지하면서 침강속도가 빨라졌으며, 2) 순수투과량, 세공크기 및 압밀화 안정성이 증가하며, 3) 인장강도와 접촉각은 감소하였다. $PES-TiO_2$ 복합막의 BSA 용액에 대한 전량여과식 한외여과 실험결과 $TiO_2$ 입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막의 친수화 특성이 증가하여 투과플럭스가 증가하였으며, $TiO_2$가 첨가되지 않은 막과 비교하여 최대 7배까지 투과 플럭스가 향상되었다.

비수계 용매하에서 다양한 분산인자 및 실란 표면개질에 의해 제조된 Al2O3 나노졸의 분산 특성 (Dispersion Property of Al2O3 Nanosol Prepared by Various Dispersion Factors and Silane Modification under Non-Aqueous Solvent)

  • 나호성;박민경;임형미;김대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733-740
    • /
    • 2016
  • $Al_2O_3$ nanosol dispersed under ethanol or N-Methyl-2-pyrrolidone(NMP) was studied and optimized with various dispersion factors and by utilizing the silane modification method. The two kinds of $Al_2O_3$ powders used were prepared by thermal decomposition method from aluminum ammonium sulfate$(AlNH_4(SO_4)_2)$ while controlling the calcination temperature. $Al_2O_3$ sol was prepared under ethanol solvent by using a batch-type bead mill. The dispersion properties of the $Al_2O_3$ sol have a close relationship to the dispersion factors such as the pH, the amount of acid additive(nitric acid, acetic acid), the milling time, and the size and combination of zirconia beads. Especially, $Al_2O_3$ sol added 4 wt% acetic acid was found to maintain the dispersion stability while its solid concentration increased to 15 wt%, this stability maintenance was the result of the electrostatic and steric repulsion of acetic acid molecules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Al_2O_3$ particles. In order to observe the dispersion property of $Al_2O_3$ sol under NMP solvent, $Al_2O_3$ sol dispersed under ethanol solvent was modified and solvent-exchanged with N-Phenyl-(3-aminopropyl)trimethoxy silane(APTMS) through a binary solvent system. Characterization of the $Al_2O_3$ powder and the nanosol was observed by XRD, SEM, ICP, FT-IR, TGA, Particles size analysis, etc.

CO2/CH4 분리를 위한 프로필렌카보네이트/물 흡수제 특성 평가 및 막접촉기의 적용 (Evaluation of Propylenecarbonate/water Physical Absorbents and its Application in Membrane Contactors for CO2/CH4 Separation)

  • 박아름이;김성중;이평수;남승은;박유인
    • 멤브레인
    • /
    • 제26권2호
    • /
    • pp.126-134
    • /
    • 2016
  • 바이오 가스로부터 바이오 메탄을 생산하기 위해 물리흡수제 특성평가 및 $CO_2/CH_4$흡수 연구를 진행하였고, poly-propylene(PP) 중공사막 막접촉기에 적용해보았다. 물리흡수제 중 propylene carbonate (PC)는 PP 중공사막과 가장 높은 $58.3^{\circ}$ 접촉각을 보였고, 5 wt% PC를 물과 혼합할 경우 $90^{\circ}$ 이상의 접촉각이 관찰되었다. 또한 $CO_2$ 흡수실험에서 PC/물 혼합 흡수제는 물 흡수량(0.121 mmol/g) 보다 높은 0.148-0.157 mmol/g의 흡수량을 보이며, 막접촉기에 가장 적합한 물리흡수제로 선정되었다. PC/물 혼합 흡수제를 막접촉기에 적용 후 얻어진 $CO_2$ 제거율(98.0-97.8%)과 $CH_4$ 순도(98.5-98.3%)는 바이오 메탄으로서 매우 높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PC/물 혼합 흡수제의 경우에는 물 흡수제와 비교하여 성능 변화가 매우 미비하였다. 이는 물보다 우수한 PC 흡수능과 함께 그에 따른 막접촉기 탈기 막 모듈 및 시스템 개선과 공급 유량 조절을 통해 $CH_4$ 손실 최소화 등 공정 최적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나노입자가 포함된 촉진수송 분리막에서의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의 영향 (Effect of Mesoporous TiO2 in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Membranes Containing Ag Nanoparticles)

  • 김상진;정정표;김동준;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5권5호
    • /
    • pp.398-405
    • /
    • 2015
  • 용액-확산 메커니즘에 의해 결정되는 기존의 고분자에서와는 달리, 촉진수송은 투과도와 선택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은 나노입자, 폴리비닐피롤리돈, 7,7,8,8-테트라시야노퀴노디메탄으로 구성된 촉진수송 올레핀 분리막에 있어서,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m-TiO_2$)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특히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g-폴리옥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가지형 공중합체를 템플레이트로 하여 쉽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엑스레이 회절분석에 따르면, 제조된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은 아나타제와 루타일 상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정의 크기가 약 16 nm 정도 되었다.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을 첨가하였을 때, 분리막의 확산도가 증가하여 혼합기체 투과도가 1.6에서 16 GPU로 증가하였고 선택도는 45에서 37로 약간 감소하였다.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이 첨가되지 않은 분리막은 장시간 성능이 유지되었으나,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이 첨가된 분리막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투과도와 선택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티타늄산화물과 은 사이의 화학적 상호작용으로 은 나노입자의 올레핀 운반체로써의 활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고분자량 PEO 기반 분리막에 대한 다양한 고분자 첨가제의 영향 분석 (Polymeric Additive Influence on the Structure and Gas Separation Performance of High-Molecular-Weight PEO Blend Membranes)

  • 민효준;손영재;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34권3호
    • /
    • pp.192-203
    • /
    • 2024
  • 기체 분리막의 상업적 발전은 CO2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분자량 PEO (high-Mw PEO)는 높은 CO2 용해도, 가격 경쟁성 및 견고한 기계적 특성을 가져 분리막 제조용 고분자로 유력하지만 그 특유의 결정성으로 인해 기체 분리막에 응용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결정성 감소를 위해 다양한 고분자 첨가제를 고분자량 PEO에 혼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폴리아크릴산(PAA)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VP)과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고 섞임성이 좋은 수용성 고분자를 첨가제로 사용하여 PEO 결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스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PEG 및 PPG의 경우 PEO의 결정 구조를 억제하지 못하고 분리막의 결함을 초래하였으나, PAA 및 PVP는 PEO의 결정 구조를 바꿔 결함이 없는 분리막을 제조하는 데 성공하였다. 고분자량 PEO 혼합막의 결정 구조 변화와 기체 분리 성능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이전에 기록된 결과를 바탕으로 고분자량 PEO에 대한 첨가제 고분자의 설계 및 선택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비용 효율적이고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CO2 분리막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비용매 알코올 응고조를 이용한 폴리술폰 막의 상전이 거동 및 모폴로지 특성 연구 (Phase Behavior and Morphological Studies of Polysulfone Membranes; The Effect of Alcohols Used as a Non-solvent Coagulant)

  • 박병길;공성호;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15권4호
    • /
    • pp.272-28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NMP용매를 사용하여 폴리술폰 용액을 캐스팅 하고 상전이 방법으로 비대칭성 폴리술폰 막을 제조하였다. 비대칭성 폴리술폰 막 제조 시 응고조로 물과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폴리술폰 막의 수투과도와 다공도를 조절하는 인자로 서로 다른 용해도 계수를 갖는 알코올의 영향에 대한 특성을 평가하였다. 알코올 응고조에서 제조된 비대칭성 폴리술폰 막은 전형적인 sponge-like 구조를 나타내었으며 물 응고조에서 제조된 폴리술폰 막은 알코올 응고조에서 제조된 폴리술폰 막보다 낮은 수투과도를 나타내었다. 물과 알코올의 혼합 응고조에서 생성된 비대칭성 폴리술폰 막은 finger-like 구조와 sponge-like 구조가 혼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sponge-like 구조의 폴리술폰 막은 상전이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다공도가 현저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물 응고조에서 제조된 폴리술폰 막의 수투과도는 14.7 psi에서 164 [$L/m^2hr$] 이고 메탄을 응고조와 에탄을 응고조에서 제조된 폴리술폰 막은 각각 56 [$L/m^2hr$]과 30 [$L/m^2hr$]를 나타내었다.

김마선 조사법으로 합성한 PVP하이드로겔의 팽윤과 약물방출특성 (Swelling and Drug Release Characteristics of PVP Hydrogel Polymerized by $\gamma$-Irradiation Method)

  • 심창구;오정숙;신병철
    • 약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11-519
    • /
    • 1993
  • The short and variabke transit of drug throught GI tracj and the inter-and intra-subject variations of the transit restrict the sustained drug absorption after oral adminstration. These restrictions may be solved by retaining the dosage forms in the stomach. Then the dosage form will act as a platform which releases the drug slowly and makes the GI absorption occur for a long time. In this study, as the platforms, PVP hydrogels were synthesized by chemical and y-irradiation method in the cylindrical test tube. The chemical method means the synthesis of the hydrogel by heating the mixed solution of N-vinyl-2-pyrrolidone [monomer], acrylated albumin [crosslinking agent], 2, 2'-agobis(2-methylpropionitrile) [initiator] and proxyphylline [drug] at $65^{\circ}C$ for 5 hr. The $\gamma$-irradiation method means the synthesis of the hydrogel by irradiation with $^{60}$ Co $\gamma$-ray of the mixed solution of the monomer, acrylated albumin, and flurbiprofen [drug] at room temperature with total 0.2 Mrad for 3 hr. Our intention is to design the hydrogel tablet (diameter : 1.20 cm, thickness : 0.60 cm) which swells in the gastric fluid after oral administration to such a size that passing through the pylorus could be inhibited during the period of drug release. After releasing drug, the hydrogel should be degraded by the enzymeatic digestion in the stomach, or by hydrolysis and eventually solubilized. Thus, in votro test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swelling and drug release from the PVP hydrogel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hydrogels swell to a siz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ylorus(l.3$\pm$0.7 cm) and the hydrogel prepared by the chemical method is digested by pepsin. But the hydrogel prepared by the $\gamma$-irradiation method was not digested by the pepsin and just collapsed with time. Thus, the swelling of the hydrogel synthesized by $\gamma$-irradiation was independent albumin acrylation time and pepsin concentration. But drug content and radiation dose affected the swelling and drug release kinetics of the hydrogel. Drug release from the hydrigels was prolonged up to about 24 hr.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by adjusting these factors, the albumin-crosslinked PVP hydrogel synthesized by $\gamma$-irradiation method is expected to be retained in the stomach for up to 60hr and be a potential platform of drugs for long-term GI absorption.

  • PDF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술폰화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이중층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 및 특성 (Double-layer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based on Sulfonated Poly(aryl ether sulfo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 홍영택;고하나;박지영;최준규;김상언;김형중
    • 멤브레인
    • /
    • 제19권4호
    • /
    • pp.291-301
    • /
    • 2009
  • 친전자성 치환반응을 통하여 제조된 술폰화 단량체와 비(非)술폰화 단량체의 직접 중합법을 통하여 서로 다른 술폰화도를 나타내는 술폰화 폴리아릴에테르술폰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들로부터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이중층(層)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우수한 이온 전도특성을 나타내는 술폰화도 50%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전해질 막의 모체(母體) 전도층을 제조하고, 이들의 한쪽 표면에 술폰화도 10%의 공중합체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낮은 메탄올 투과 특성의 코팅층을 형성시켰다. 도포되는 공중합체의 질량비를 5~20%로 조절함으로써 코팅 층 두께에 따른 전해질 막의 특성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형성된 코팅 층을 막-전극 접합체의 음극 면에 접합시켜 운전 시 메탄올 연료와 직접 접촉하도록 하였다. 이중층 형성 공정을 통하여, 단일 전해질 막과 동등한 수준의 이온 전도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전해질 막을 통한 메탄올 투과 특성이 현저히 개선된 우수한 효율의 고분자 전해질 막 제조가 가능하였다. 작동 온도 $60^{\circ}C$, 2 M의 메탄올 공급 환경에서 수행된 연료 전지 성능 평가 결과, 막-전극 접합체 출력 밀도는 5%의 질량비에서 최대 $134.01\;mW/cm^2$였으며, 이로부터 상용 나피온 115 대비 105.5%의 향상된 성능 효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Use of Chemical Treatments to Reduce Tannins and Trypsin Inhibitor Contents in Salseed (Shorea robusta) Meal

  • Mahmood, S.;Khan, Ajmal M.;Sarwar, M.;Nisa, M.;Lee, W.S.;Kim, S.B.;Hur, T.Y.;Lee, H.J.;Kim, H.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9호
    • /
    • pp.1462-1467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hemical treatments on tannins (condensed and hydrolysable) and on the trypsin inhibitor (TI) activity in salseed meal. Triplicate samples of ground salseed meal (1 kg) were mixed with 820 ml of either distilled water (pH 5.3), 0.67 M acetic acid (pH 2.4), 0.67 M sodium bicarbonate (pH 8.2) or 2% polyvinyl-pyrrolidone (PVP) solution. The material was placed in airtight plastic containers and incubated at $37^{\circ}C$ for 0, 3, 6, 12, 24, 48 and 72 h. Samples of untreated salseed meal which had not been subjected to soaking or incubation were run through the analysis to serve as control. Addition of water, acetic acid, sodium bicarbonate and PVP solutions to salseed meal and subsequent anaerobic incubation at $37^{\circ}C$ significantly reduced chemically detectable tannins. At each incubation time, alkali solution was more effective than its counterparts. The effect of acidic solution on hydrolysable tannin was least among the treatments. All the treatments reduced TI activity of salseed meal. The reduction in TI activity by these treatments was similar and ranged between 80-84%. Treatment time effected a decrease in the contents of antinutritional substances. However, the effect of the treatment with the reagents, even for zero incubation time, was quite pronounced. It may be concluded from the present results that the treatment of salseed meal with sodium bicarbonate (0.67 M)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hydrolysable and condensed tannin contents than PVP, water and acid solutions. Treatment with sodium bicarbonate solution is more economical and easier to handle than acid and PVP treatments. Incubation of the treated material for 12 h is reasonably effective, economical and safe from any mould growth.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술폰화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전해질 막의 혼합 캐스팅 용매에 따른 형태 및 특성 (Effects of Mixed Casting Solvents on Morphology and Characteristics of Sulfonated Poly(aryl ether sulfone) Membranes for DMFC Applications)

  • 홍영택;박지영;최준규;최국종;황택성;김형중
    • 멤브레인
    • /
    • 제18권4호
    • /
    • pp.282-293
    • /
    • 2008
  • 친전자성 치환반응으로 제조된 술폰화 단량체, 비(非)술폰화 단량체 및 탄산칼륨을 이용하는 직접 중합법을 통하여 높은 점도의 술폰화 폴리아릴에테르술폰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들을 원료로 N-메틸-2-피롤리돈(NMP)과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의 혼합 용매 상에서 직접 메탄을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막 제조 시의 용매 효과에 주목하여 혼합 용매의 부피 비는 $0{\sim}100%$로 변화시키고 공중합체의 술폰화도는 50%로 고정하였다. 이온 전도도 및 메탄올 투과도 측정을 통하여 최종 전해질 막의 기본 특성을 파악하고, 주사전자현미경 및 원자간력현미경분석을 통한 표면 분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이들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막 제조 시의 용매 혼합 비율을 적절히 조절함에 따라 최종 전해질 막의 이온 전도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는데, $25^{\circ}C$의 100% 가습 환경에서 측정된 수소 이온 전도도는 NMP : DMAc 50:50 부피/부피-%에서 최대 $1.38{\times}10^{-1}\;S/cm$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