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hydroxypropyl-β-cyclodextri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Novosphingobium pentaromtivorans US6-1에 의한 고분자 방향족 탄화수소 생분해과정에서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의 영향 (Effect of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on Biodegradation of High-Molecular Weight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y Novosphingobium pentaromtivorans US6-1)

  • 강지현;권개경;김상진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6-151
    • /
    • 2004
  • 포접력을 지닌 2-hydroxypropyl-β-cyclodextrin(β-HPCD)을 비롯한 cyclodextrin계 화합물은 소수성 유기물질의 용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분해를 촉진시키나 그 외의 자세한 기작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실험에서는 β-HPCD 유무에 따라 고분자 PAHs 분해력을 지닌 Novosphingobium pentaromtivorans US6-1 균주의 pyrene라 benzo[a]pyrene(B[a]P)의 분해정도, 이때의 biomass 변화 및 dioxygenase활성을 측정함으로써 PAHs 생분해과정에서 β-HPCD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구는 균주와 PAHs, β-HPCD의 존재 유무에 따라 8개 조건으로 준비하였으며 각 실험구의 배양기간에 따른 PAHs 분해도와 생체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Pyrene의 경우 β-HPCD가 존재함에 따라 분해도가 증진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B[a]P의 분해에는 β-HPCD가 필수요소로 작용하였다. 생체량의 변화는 PAHs의 존재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β-HPCD의 존재 유무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US6-1 균주는 β-HPCD가 포함된 MM2 무기영양배지에서 전배양 할 때에 ZoBell 배지에서 전배양하는 경우에 비해 catechol-1,2-dioxygenase 효소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값은 빈영양상태에서 배양한 세포의 효소환성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β-HPCD는 PAHs의 이용성을 높여주는 동시에 탄소원으로 이용되어 균주의 생체량 증가에 기여함으로써 PAMs의 분해력을 증진시키지만 dioxygenase 효소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siaticoside/2-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화합물 함유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 매트의 전기방사: 창상피복제로서 사용가능성과 방출특성 (Electrospinning of Asiaticoside/2-Hydroxypropyl-β-cyclodextrin Inclusion Complex-loaded Cellulose Acetate Fiber Mats: Releas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for Use as Wound Dressing)

  • Panichpakdee, Jate;Pavasant, Prasit;Supaphol, Pitt
    • 폴리머
    • /
    • 제38권3호
    • /
    • pp.338-350
    • /
    • 2014
  • Cellulose acetate (CA) fiber mats containing inclusion complexes of asiaticoside (AC) in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HP{\beta}CD$) for potential usage as wound dressings were developed. The AC/$HP{\beta}CD$ complex-loaded CA fibers at various $HP{\beta}CD$ to AC molar ratios of 0.5, 1, and 2 were prepared in 90:10 v/v mixture of 80% (v/v) acetic acid and N,N-dimethylacetamide (DMAc) via electrospinning. The maximum released amounts of AC depended on the $HP{\beta}CD$ content and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released from the AC-loaded CA fiber mat. In the in vitro study, indirect cytotoxic evaluation with human dermal fibroblasts (HDFa) showed that these materials released no substances in the levels that were harmful to the cells and the cells appeared to attach and proliferate well on these substrates. However, only the CA fiber mats containing AC/$HP{\beta}CD$ complexes at the $HP{\beta}CD$ to AC molar ratio of 0.5 was effective in upregulating the production of collagen of the cultured cells.

레틴알 안정화를 위한 사이클로덱스트린-리포좀에 관한 연구 (Study on Stabilization of Retinaldehyde using Drug-in-Cyclodextrinin-Liposome (DCL) for Skin Wrinkle Improvement)

  • 하지훈;최형;홍인기;한상근;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77-85
    • /
    • 2022
  • 레틴알(RA)은 레티놀과 레티노익애씨드의 중간체로 비타민A 유도체이며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본 연구에서는 drug-in-cyclodextrin-in-liposome (DCL)을 이용하여 레틴알의 안정성을 높였다. 레틴알과 hydroxypropyl-β-cyclodextrin (HP-β-CD) 복합체를 동결건조 방식으로 제조하였고, UV-Vis 분광법, FT-IR 및 SEM 이미지로 레틴알의 포접 여부를 확인하였다. 레틴알과 HP-β-CD의 비율이 1 : 15 (w/w)일 때 약 95.6% 포집되었다. 레틴알-HP-β-CD 복합체는 호모믹서 및 마이크로플루다이저로 리포좀에 담지시켰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215.3 ± 4.2 nm, 제타포텐셜 -33.2 ± 1.5 mv로 나타났다. 레틴알의 분해 안정도 평가에서, 물에서 레틴알-HP-β-CD-리포좀의 레틴알 감소율은 1.8%로 레틴알-리포좀(5.8%), 레틴알-HP-β-CD복합체(9.7%), 레틴알 단독(37.6%)보다 높게 나타났다. 레틴알-HP-β-CD-리포좀이 함유된 크림(0.05% RA 함유)을 제조하여, 미간, 이마, 목, 눈가, 입가, 팔자 주름개선 효능 및 피부 치밀도를 2 ~ 4 주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레틴알크림은 피부 자극 없이 유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DCL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안정화 기술은 레틴알의 안정화를 높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2-Hydroxypropyl-β-Cyclodextrin 미립자와 이부프로펜과의 포접복합체 제조 (Utilization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for the Preparation of 2-Hydroxypropyl-β-Cyclodextrin Microparticles and Their Inclusion Complexes with Ibuprofen)

  • 유종훈
    • 청정기술
    • /
    • 제19권3호
    • /
    • pp.212-218
    • /
    • 2013
  •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역용매로 이용하는 aerosol solvent extraction system (ASES) 방법을 사용하여 HP-${\beta}$-CD 미립자를 제조하였으며, 공정변수가 입자의 크기와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이부프로펜과 HP-${\beta}$-CD의 포접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ASES 공정에 의해 변형된 HP-${\beta}$-CD의 입자 형상이 포접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ASES 공정으로 제조된 HP-${\beta}$-CD 미립자는 50~200 nm 크기의 나노 입자들이 응집된 입자 형상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수용액을 HP-${\beta}$-CD의 용매로 사용한 경우 구형의 입자가 제조되었으며, 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고체상태에서 이부프로펜/HP-${\beta}$-CD 포접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초임계 ASES 방법에 의한 미세입자화 공정을 통해 포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복합체 제조를 위한 초임계유체 공정 연구 (Study of a Supercritical Flui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ydroxypropyl-β-cyclodextrin Inclusion Complexes)

  • 이상윤;김정규;김우식;유종훈;임교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110-117
    • /
    • 2005
  •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공정을 통하여 물에 대해 난용성 성질을 지니는 약물인 itraconazole과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HP-{\beta}-CD)$의 포접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포접복합체는 SEM, DSC, XRD 등을 이용하여 고체상태의 특성 분석을 수행하여 itraconazole의 결정성적 특성이 $HP-{\beta}-CD$와의 포접체를 형성하며 무정질적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 1.2의 인공위액을 이용하여 수행된 수용액 내에서의 포접복합체의 용해도 및 용출시험 결과 itraconazole 원재료에 비하여 20-200배 정도의 증가된 용해도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초임계유체 공정을 통하여 얻어진 포접복합체의 용해도는 압력증가에 의한 이산화탄소 밀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동일 조건에서 용액 중의 $HP-{\beta}-CD$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35^{\circ}C$, 140 bar의 공정 조건에서 itraconazole과 $HP-{\beta}-CD$의 구성 몰비가 1:3인 용액을 사용하였을 경우 itraconazole 원재료에 비하여 약 200배 이상의 용해도인 $758.6{\mu}g/mL$의 용해도를 지니는 포접복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용출시험 결과 투입 약물의 90% 이상이 용출 개시 5-10분 내에 용출되어 대조제로 사용한 시판제제 및 원재료에 비하여 매우 빠른 초기 방출률과 우수한 용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시간소비성 및 다단계의 포접체 제조공정을 개선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초임계유체 공정이 적용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HP-β-시클로덱스트린과 메글루민을 이용한 란소프라졸의 포접화합물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Inclusion Complex of Lansoprazole with 2-HP-β-Cyclodextrin and Meglumine)

  • 이정우;김정수;장혜진;이계원;지웅길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4호
    • /
    • pp.269-274
    • /
    • 2004
  • To enhance the solubility and stability of lansoprazole (LAN), new proton pump inhibitor, we were prepared various molar ratio of inclusion complex with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HPCD) and organic alkali agent, meglumine (MEG). Inclusion complex formation of LAN with HPCD was investigat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d X-ray diffractometry. The aqueous solubilities of inclusion complexes, and the stabilities of 1:4 and 1:5 inclusion complexes in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EG were examined. The stability of 1:5 LAN-HPCD inclusion complex containing MEG, which was equaled to amount of LAN, was performed in 0.9% NaCl and 5% dextrose solution. The formation of inclusion complex of LAN with HPCD was $A_L$ type and the molar ratio of complex was 1:1. The stability constant was $41.557\;M^{-1}$. As molar ratio of LAN to HPCD was increased, solubility of inclusion complex was increased. 1:5 LAN-HPCD inclusion complex was more stable than 1:4 LAN-HPCD inclusion complex. And as contained MEG amount in LAN solution was increased, stability of 1:4 and 1:5 LAN-HPCD inclusion complexes was improved. Also stability of 1:5 LAN-HPCD-MEG inclusion complex in 0.9% NaCl solution and 5% dextrose solution was similar to it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but it was unstable at $40^{\circ}C$.

아이소리퀴리티게닌을 담지한 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항균활성 연구 (Enhanced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soliquiritigenin Encapsulated in Hydroxypropyl-β-Cyclodextrin)

  • 김해수;임나리;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6권6호
    • /
    • pp.719-724
    • /
    • 2015
  • 아이소리퀴리티게닌은 감초의 구성 성분으로서 항산화, 항균 활성과 같은 다양한 약리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는 소수성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 약물의 용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아이소리퀴리티게닌/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체를 freeze-drying 방식으로 제조하였고, 상평형 연구, DSC, SEM, 1H NMR을 통하여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항균 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와 Escherichia coli (E. coli)에 대해 broth dilution assay 측정법으로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확인하였다. 상평형 연구를 통해 아이소리퀴리티게닌/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체는 1 : 1 몰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S. aureus와 E. coli에 대한 MIC는 아이소리퀴리티게닌/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체의 경우 각각 1.25 및 2.5 mg/mL이었으며, free한 아이소리퀴리티게닌은 각각 5, 5 mg/mL로 아이소리퀴리티게닌/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체가 더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아이소리퀴리티게닌/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체가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서 합성 방부제를 대체하고 천연 방부제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ROS Scavenger, Ebselen, Has No Preventive Effect in New Hearing Loss Model Using a Cholesterol-Chelating Agent

  • Lee, Min Young;Kabara, Lisa L.;Swiderski, Donald L.;Raphael, Yehoash;Duncan, R. Keith;Kim, Young Ho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3권2호
    • /
    • pp.69-75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ntioxidant ebselen will be able to limit or prevent the ototoxicity arising from 2-hydroxypropyl-β-cyclodextrin (HPβCD). Niemann-Pick Type C (NPC) disease is a disorder of lysosomal storage manifested in sphingolipidosis. Recently, it was noted that experimental use of HPβCD could partially resolve the symptoms in both animals and human patients. Despite its desirable effect, HPβCD can induce hearing loss, which is the only major side effect noted to date.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of hearing impairment after administration of HPβCD and further development of preventive methods are essential to reduce the ototoxic side effect. The mechanisms of HPβCD-induced ototoxicity remain unknown, but the resulting pathology bears some resemblance to other ototoxic agents, which involves oxidative stress pathways. To indirectly determine the involvement of oxidative stress in HPβCD-induced ototoxicity, we tested the efficacy of an antioxidant reagent, ebselen, on the extent of inner ear side effects caused by HPβCD. Materials and Methods: Ebselen was applied prior to administration of HPβCD in mic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hresholds and otopathology were assessed one week later. Bilateral effects of the drug treatments also were examined. Results: HPβCD-alone resulted in bilateral, severe, and selective loss of outer hair cells from base to apex with an abrupt transition between lesions and intact areas. Ebselen co-treatment did not ameliorate HPβCD-induced hearing loss or alter the resulting histopathology. Conclusions: The results indirectly suggest that cochlear damage by HPβCD is unrelated to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However, further research into the mechanism(s) of HPβCD otopathology is necessary.

ROS Scavenger, Ebselen, Has No Preventive Effect in New Hearing Loss Model Using a Cholesterol-Chelating Agent

  • Lee, Min Young;Kabara, Lisa L.;Swiderski, Donald L.;Raphael, Yehoash;Duncan, R. Keith;Kim, Young Ho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9-75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ntioxidant ebselen will be able to limit or prevent the ototoxicity arising from 2-hydroxypropyl-β-cyclodextrin (HPβCD). Niemann-Pick Type C (NPC) disease is a disorder of lysosomal storage manifested in sphingolipidosis. Recently, it was noted that experimental use of HPβCD could partially resolve the symptoms in both animals and human patients. Despite its desirable effect, HPβCD can induce hearing loss, which is the only major side effect noted to date.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of hearing impairment after administration of HPβCD and further development of preventive methods are essential to reduce the ototoxic side effect. The mechanisms of HPβCD-induced ototoxicity remain unknown, but the resulting pathology bears some resemblance to other ototoxic agents, which involves oxidative stress pathways. To indirectly determine the involvement of oxidative stress in HPβCD-induced ototoxicity, we tested the efficacy of an antioxidant reagent, ebselen, on the extent of inner ear side effects caused by HPβCD. Materials and Methods: Ebselen was applied prior to administration of HPβCD in mic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hresholds and otopathology were assessed one week later. Bilateral effects of the drug treatments also were examined. Results: HPβCD-alone resulted in bilateral, severe, and selective loss of outer hair cells from base to apex with an abrupt transition between lesions and intact areas. Ebselen co-treatment did not ameliorate HPβCD-induced hearing loss or alter the resulting histopathology. Conclusions: The results indirectly suggest that cochlear damage by HPβCD is unrelated to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However, further research into the mechanism(s) of HPβCD otopathology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