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Dimensional

검색결과 15,239건 처리시간 0.052초

분열유발인자에 의한 흰쥐 림프구 단백의 인산화 (Phosphorylated Proteins of Mitogen Stimulated-Rat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 주일로;고성수;안영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1-130
    • /
    • 1993
  • 흰쥐 말초 T림프구에 분열유발 물질인 PMA와 Con A를 투여하여 인산화되는 단백을 확인하고, PKC 억제제인 H-7, CaM kinase 억제제인 W-7을 전처치한 후의 인산화 변동과 시간 경과에 따른 인산화 변동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흰쥐 T림프구를 PMA로 자극하면 5개의 인산화 단백이 새로이 나타나고 7개 단백의 인산화가 증가 되었으며, Con A자극으로는 1개의 단백이 새로이 인산화 되고 7개 단백의 인산화가 증가되었다. PMA 및 Con A자극으로 인산화 되는 13개 단백은 kinase억제제 전처치에 의하여 3군으로 각각 구분되며, H-7 전처치로 24 kDa/pI 7.1, 24/7.2, 26/6.1, 74/6.2 단백의, W-7 전처치로 14 kDa/pI5.9, 28/6.8, 29/6.9, 28/7.0, 44/6.8, 58/6.2 단백의 인산화가 현저히 감소 되었으며, 18 kDa/p1 5.4, 25/7.3 및 54/5.2단백은 두 억제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들 인산화 단백은 대부분 세포의 soluble fraction에서 확인되며 자극후 반응 초기에 인산화 된 후 인산화가 감소하나, 침전물에서 관찰되는 소수의 인산화 단백은 지속적인 인산화를 보였다. 한편 Kinase 억제제 처리에 의하여 구분된 3군에 속하는 단백들의 시간에 따른 인산화 양상을 관찰한 결과 각 군에 따른 인산화 양상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림프구 활성의 초기 단계에서 인산화 되는 단백에는 PKC, CaM kinase 및 다른 kinase에 의해 인산화 되는 3종류의 단백이 존재하며, 3종류의 kinase의 활성은 단계적인 활성이 아니라 독립적 또는 상호 협동적으로 작용하여 림프구 활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u-Cu 패턴 직접접합을 위한 습식 용액에 따른 Cu 표면 식각 특성 평가 (Wet Etching Characteristics of Cu Surface for Cu-Cu Pattern Direct Bonds)

  • 박종명;김영래;김성동;김재원;박영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9-45
    • /
    • 2012
  • Cu-Cu 패턴의 직접접합 공정을 위하여 Buffered Oxide Etch(BOE) 및 Hydrofluoric acid(HF)의 습식 조건에 따른 Cu와 $SiO_2$의 식각 특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접촉식 3차원측정기(3D-Profiler)를 이용하여 Cu와 $SiO_2$의 단차 및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CMP)에 의한 Cu의 dishing된 정도를 분석 하였다. 실험 결과 BOE 및 HF 습식 식각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단차가 증가 하였고, BOE가 HF보다 더 식각 속도가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 BOE 및 HF 습식 식각 후 Cu의 dishing도 식각시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식각 후 산화막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Cu표면을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를 이용하여 분석 한 결과 HF습식 식각 후 BOE습식 식각보다 Cu표면산화막이 상대적으로 더 얇아 진 것을 확인하였다.

일본 공립도서관의 유형별 특성 분석 - 서비스내용과 서비스공간의 연계적 고찰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Japanese Public Libraries' Characteristics by Types: Focused on the Consideration of Liaison Between Service Contents and Service Space)

  • 정아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1-185
    • /
    • 2012
  • 본 연구는 도서관 이용자의 요구, 이용목적 등이 점점 다양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도서관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내용과 서비스공간의 연계적인 고찰의 필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공립도서관을 대상으로 서비스내용과 서비스공간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공립도서관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본 공립도서관의 유형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 공립도서관의 서비스내용과 연계성 있는 서비스공간계획의 실현에 도움이 될 기초적인 데이터를 마련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조사는 일본 공립도서관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내용과 서비스제공에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공간에 관한 실태를 조사 하였으며, 조사된 데이터는 수량화III류 분석, 군집분석 등 다차원데이터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서관의 특성분석의 관점 추출을 진행한 결과, "제공하고 있는 정보의 분야, 정보제공의 방법, 서비스의 제공대상"의 관점으로 추출 할 수 있었다. 또한 44개 도서관의 유형은 (1) 집단을 대상으로 취업, 직업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는 도서관, (2) 취업, 직업 정보를 대응서비스지원공간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 (3) 개인을 대상으로 교육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 (4) 집단을 대상으로 교육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 (5) 대응서비스공간을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 하고 있는 도서관, (6)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제공 중심의 도서관의 6가지로 특성 분류되었다.

프리스트레스트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에 대한 부분 프리스트레싱비와 유효 프리스트레스의 영향 (Effect of Partial Prestressing Ratio and Effective Prestress on the Flexural Behavior of Prestress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 양근혁;문주현;변항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39-48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상부 2점 집중하중을 받는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을 부분 프리스트레싱 비와 긴장재의 유효 프리스트레스에 따라 평가하였다. 절건비중 1,770 $kg/m^3$의 경량 콘크리트 설계강도는 35 MPa이었으며, 항복강도 383 MPa의 일반 이형철근과 인장강도 2,040 MPa의 3연선을 각각 주 인장철근과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내력은 부분 프리스트레싱 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지만 긴장재의 유효 프리스트레스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동일 휨 보강지수에서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무차원 휨 내력은 Harajli and Naaman 및 Bennet에 의해 실험된 프리텐션 보통중량 콘크리트 보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한편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변위 연성비는 부분 프리스트레싱 비의 감소와 함께 그리고 유효 프리스트레스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하중-변위 관계는 비선형 2차원 해석모델에 의해 적절하게 평가될 수 있었다. 또한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균열 내력 및 최대 휨 내력은 각각 탄성이론 및 ACI 318-08의 등가응력블록과 긴장재의 응력평가 식을 이용하여 안전측에서 예측될 수 있었다.

보수성 도로 포장재의 증발효율 변화에 의한 중규모 순환장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Mesoscale Circulations Characteristics Caused by the Evaporation-Efficiency of Water Retention Pavement)

  • 김인수;이순환;김해동;서영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09-720
    • /
    • 2009
  • 보수성 포장재가 지표면 열수지와 중규모 순환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치실험과 야외 관측을 실시하였다. 수치실험에 이용된 모형은 LCM(Local Circulation Model)이며, 야외 관측은 대기가 안정되어 날씨가 맑은 2007년 7월 19일 실시되었다. 야외 관측실험에서 보수성 포장재 지표면 온도의 최대치는 1430 LST에서 $41.2^{\circ}C$이고, 보수성 재료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일반 아스팔트보다 $16.1^{\circ}C$ 낮게 관측되었다. 수치실험에서는 증발효율 0.3을 가정한 case BET03에서 관측과 가장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때 현열과 잠열플럭스는 각각 227 와 229 $W/m^2$이다. 수치실험 결과, 보수성 포장재는 낮은 지표면 온도, 혼합고와 관련된 잠열플럭스를 높이는 경향이 나타난다. 보수성 포장재에 의한 잠열플럭스의 불연속은 교외풍과 같은 중규모 순환장의 발달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Assessment of bone density changes following two-jaw surgery us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 pilot study

  • Lee, Youngjoo;Park, Jae Hyun;Chang, Na-Young;Lee, Mi-Young;Kim, Bong Chul;Seo, Hye Young;Mangal, Utkarsh;Chae, Jong-M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57-169
    • /
    • 2020
  • Objectiv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 and postsurgical bone densities at alveolar and extra-alveolar sites following two-jaw orthognathic surgery.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10 patients (mean age, 23.2 years; range, 18.0-27.8 years; 8 males, 2 females) who underwent two-jaw orthognathic surgery. A three-dimensional imaging program (Invivo 5) was used with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images taken pre- and postoperatively (obtained 32.3 ± 6.0 days before surgery and 5.8 ± 2.6 days after surgery, respectively) for the measurement of bone densities at the following sites: (1) alveolar bone in the maxilla and mandible, (2) extra-alveolar sites, such as the top of the head, menton (Me), condyle, and the fourth cervical vertebrae (C4). Results: When pre- and postsurgical bone densities were compared, an overall tendency of decrease in bone density was no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were observed in the densities of cancellous bone at several areas of the maxillary alveolar bone;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in most areas of the mandibular alveolar bone; cortical bone in Me; and cancellous bone in C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density in relation to the depth of the alveolar bone. In a comparison of the bone densities between groups with and without genioplasty, there was almo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Accelerated tooth movement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may be confirmed with reduced bone density.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offer insights into bone metabolism changes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providing direction for further investigations in this field.

굴진면 천단 및 수평보강에 따른 굴진면 전후의 종방향 아칭 특성 (Longitudinal Arching Characteristics Around the Face of a Soil-Tunnel with Crown and Face-Reinforcement)

  • 권오엽;최용기;이상덕;김영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9호
    • /
    • pp.133-144
    • /
    • 2004
  • NATM터널 시공 중 강관이나 FRP관을 이용하여 터널 막장을 선행보강하는 방법은 RPUM이나 UAM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얕은 터널 및 연약지반내 터널 굴착 시 굴진면의 안정성을 확보해주거나 지반 침하를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굴진지반이 연약하여 자립이 어려운 경우 최근에는 굴진면 천단뿐 아니라 굴진면 수평보강을 실시하여 굴착에 따른 터널안정을 확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터널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굴진면 전후에는 종방향 아칭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NATM 터널 지보재 작용원리의 근간이 된다. 따라서 터널 천단과 굴진면 수평보강을 실시하는 경우도 굴진에 따른 종방향 아칭의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하나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사터널 굴진면에 RPUM(천단보강)이나 굴진면 수평보강이 실시된 경우, 종방향 아칭특성을 2차원 실내시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연직토압의 변화를 토대로 한 종방향아칭 영향범위는 무보강의 경우 굴진면 전${\cdot}$후방으로 각각 2.5D와 1.5D(D는 터널직경), 천단보강 및 수평보강의 경우 2.0D와 1.5D, 천단과 수평보강이 동시에 적용된 경우는 2.0D와 1.0D까지로 측정되어 굴진면 보강에 따라 아칭의 영향범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연직토압의 변화량은 굴진면 보강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역학적으로 천단 및 수평보강재가 터널의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해 연안 수괴 특성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 변동 (Seasonal Change of Phytoplankton Dominant Species Based on Water Mass in the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 심정민;권기영;김상우;윤병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74-483
    • /
    • 2015
  • 동해 연안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분포 특성과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2월, 5월, 8월 및 11월에 연안 18개 정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37종, 와편모조강 22종, 유글레나조강 1종, 규질편모조강 3종 및 은편모조강 1종으로 나뉘었다. 현존량은 $1.2{\times}10^3-246.6{\times}10^3cells/L$(평균 $24.8{\times}10^3cells/L$)의 분포 범위를 보였으며 5월에 가장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affinis, Pseudo-nitzschia pungens 및 Thalassionema nitzschioides 등이 출현하였다.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pH, 용존산소, 클로로필-a 및 부유물질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규산규소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 변동은 등밀도선 상의 수온(T)-염분(S)도로 구분한 수괴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월은 수온, 8월은 염분 분포와 관계가 있었다. 현존량과 종조성을 바탕으로 다원척도 분석을 한 식물플랑크톤의 공간적인 분포는 경북 죽변과 울진을 기점으로 강원연안 그룹(Group A)과 경북연안 그룹(Group B)으로 나뉘어졌다.

유해적조생물의 이동·확산에 관한 수치실험 (Numerical Experiment on the Drift Diffusion of Harmful Algal Bloom)

  • 서호산;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5-344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 남해 연안에서 하계에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유해적조생물의 이동과 확산에 관하여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3차원 해수유동모델(POM)을 이용하여 조석의 효과, 수온 염분, 바람 효과 및 쓰시마난류를 고려한 잔차류를 계산하였다. 잔차류에 의해 부유 이동하는 적조생물의 시간에 따른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수산과학원의 적조속보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남해안에서 유해적조의 최다 발생한 3개 지역 가막만(Case 1), 미조연안(Case 2), 미륵도연안(Case 3)을 선정하여 적조발생을 유형별로 수치실험을 하였다. 가막만 남부해역에서 적조가 발생한 경우(Case 1)는 발생지점으로부터 서쪽에 위치한 나로도주변해역과 여자만으로 주로 이동 확산하였다. 미조연안에서 적조가 발생한 경우(Case 2)는 발생해역의 북동측에 위치한 해역으로 입자들이 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륵도 주변해역에서 입자가 발생한 경우(Case 3)는 욕지도주변해역과 자란만-사량도 주변해역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특히 Case 3의 경우 확산된 입자가 연구 해역의 남동쪽에서 북동향하여 진행하는 쓰시마 난류의 영향을 받아 거제도 남부와 동부해역에 분포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Effect of Manganese Content o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of Ferrous-Manganese Alloys: Correlation between Microstructure on X-Ray Diffraction and Size of the Low-Intensity Area on MRI

  • Youn, Sung Won;Kim, Moon Jung;Yi, Seounghoon;Ahn, Hyun Jin;Park, Kwan Kyu;Lee, Jongmin;Lee, Young-Cheol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9권2호
    • /
    • pp.76-87
    • /
    • 2015
  • Purpose: There is an ongoing search for a stent material that produces a reduced susceptibility artifact.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manganese (Mn) content on the MRI susceptibility artifact of ferrous-manganese (Fe-Mn) alloys,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MRI findings and measurements of Fe-Mn microstructure on X-ray diffraction (XRD). Materials and Methods: Fe-Mn binary alloys were prepared with Mn contents varying from 10% to 35% by weight (i.e., 10%, 15%, 20%, 25%, 30%, and 35%; designated as Fe-10Mn, Fe-15Mn, Fe-20Mn, Fe-25Mn, Fe-30Mn, and Fe-35Mn, respectively), and their microstructure was evaluated using XRD. Three-dimensional spoiled gradient echo sequences of cylindrical specimens were obtained in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the static magnetic field (B0). In addition, T1-weighted spin echo, T2-weighted fast spin echo, and $T2^*$weighted gradient echo images were obtained. The size of the low-intensity area on MRI was measured for each of the Fe-Mn binary alloys prepared. Results: Three phases of ${\alpha}^{\prime}$-martensite, ${\gamma}$-austenite, and ${\varepsilon}$-martensite were seen on XRD, and their composition changed from ${\alpha}^{\prime}$-martensite to ${\gamma}$-austenite and/or ${\varepsilon}$-martensite, with increasing Mn content. The Fe-10Mn and Fe-15Mn specimens comprised ${\alpha}^{\prime}$-martensite, the Fe-20Mn and Fe-25Mn specimens comprised ${\gamma}+{\varepsilon}$ phases, and the Fe-30Mn and Fe-35Mn specimens exhibited a single ${\gamma}$ phase. The size of the low-intensity areas of Fe-Mn on MRI decreased relative to its microstructure on XRD with increasing Mn content.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oper conditioning of the Mn content in Fe-Mn alloys will improve its visibility on MR angiography, and a Mn content of more than 25% is recommended to reduce the magnetic susceptibility artifacts on MRI. A reduced artifact of Fe-Mn alloys on MRI is closely related to the paramagnetic constitution of ${\gamma}$-austenite and/or ${\varepsilon}$-marten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