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2복합체

검색결과 1,748건 처리시간 0.036초

황산티타늄과 탄소나노튜브로부터 가수분해로 제조된 CNT-TiO2 나노복합체의 광촉매활성 (Photo-catalytic Activity of CNT-TiO2 Nano Complex Prepared from Titanium Oxysulfate and Carbon Nanotube by Hydrosis)

  • 김상진;정민정;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21권1호
    • /
    • pp.58-62
    • /
    • 2010
  • $TiOSO_4$와 다층벽탄소나노튜브(MWCNT)를 사용하여 가수분해법으로 CNT-$TiO_{2}$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TiO_{2}$-CNT 복합체의 CNT는 아나타제 $TiO_{2}$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MWCNT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정성 탄소의 비율과 O/Ti 비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CNT-$TiO_{2}$복합체의 광활성 및 오염물 흡착능력을 UV 조사 시간에 따른 메틸렌블루의 분해정도로 확인하였다. MWCNT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높은 흡착능과 광분해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MWCNT의 높은 비표면적, 산소포함 관능기, 낮은 밴드갭 에너지, 높은 전기전도성, 높은 부피 대 표면적 비율, 균일한 구조 및 특성으로 인하여 CNT-$TiO_{2}$ 복합체의 광활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자전 연소 전구체로 합성한 나노 크기 경/연 복합페라이트의 자기 특성 (Magnetic Properties of Hard/Soft Nanocomposite Ferrite Synthesized by Self-Combustion Precursors)

  • 오영우;안종견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5-50
    • /
    • 2015
  • Glycine-nitrate와 citric acid를 이용하여 단상의 Ni-Zn ferrite, Ba-ferrite 나노입자와 두 나노복합체 ferrite의 전구체를 제조하고 이를 열처리하여 XRD 및 FT-IR로 각각의 상 분석을, SEM으로 분말의 형상과 크기를, VSM으로 자기적 특성과 합성된 나노복합체 ferrite에서의 exchange-coupling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XRD 분석 결과, 자전 연소법으로 얻은 전구체로 단상의 Ni-Zn ferrite와 Ba-ferrite 나노 입자 및 $BaFe_{12}O_{19}/Ni_{0.5}Zn_{0.5}Fe_2O_4$ 나노복합체 페라이트가 합성되었으며, 나노복합체에는 $BaFe_{12}O_{19}$$Ni_{0.5}Zn_{0.5}Fe_2O_4$가 잘 분포되어 있어 경자성과 연자성이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나노복합체 페라이트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형상을 통해 경자성과 연자성 사이에 exchange-copuling이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VSM으로 측정한 나노복합체의 경우. GNP로 제조한 precursor를 $900^{\circ}C$에서 하소한 $BaFe_{12}O_{19}/Ni_{0.5}Zn_{0.5}Fe_2O_4$ 나노복합체는 포화자화 81.69 emu/g, 잔류자화 38 emu/g, 보자력 2598.48G를 나타내었다. $Ni_{0.5}Zn_{0.5}Fe_2O_4/BaFe_{12}O_{19}$ 복합체에서 $BaFe_{12}O_{19}$의 무게비가 증가 할수록 보자력은 증가하였고, 포화자화값과 잔류자화 값은 감소하였다.

$Ni-Al_2O_3$ 복합체의 나노분말 응집체 제어를 통한 밀도 향상에 대한 연구

  • 조동국;양승규;윤준철;이재성;이선영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5.2-45.2
    • /
    • 2009
  • 무가압 소결과 분말 야금법을 통하여 금속-세라믹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사용된 각각의 분말은 니켈과 알루미나가 사용되었으며 60wt% Ni을 제조하였다. 60wt% Ni은 본 연구의 선행 연구에서 가장 밀도가 적고 최적 분산이 이뤄지지 않는 혼합 비율로써 이러한 결과는 복합체를 접합의 중간층으로 사용 시 크랙이 발생하는 등 물리적 특성 저하로 연결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본 조성의 이러한 원인을 마이크로 크기의 분말 사용으로 인해 분산과 밀도 측면에서의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나노 분말을 사용하였으며 나노분말의 크기는 소결 구동력을 극대화시키고 분산을 더욱 촉진시켜 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분말의 특성 중 하나인 Agglomeration의 존재는 이러한 나노 분말의 장점을 상쇄시켜 원하는결론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노 분말의 Agglomeration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작된 샘플의 최적 분산과 밀도를 향상시키고 그 결과를 SEM, TEM 등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Ni_{2-x}Zn_{x}Y$ - 고무 복합체의 복소투자율과 전파흡수특성 (The Complex Permeability and Microwave Absorbing Characterisics of $Ni_{2-x}Zn_{x}Y$ - Rubber Composites)

  • 신재영;오재희;권형주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7-33
    • /
    • 1995
  • $Ni_{2-x}Zn_{x}Y$ - 고무 복합체의 ferrite 조성과 입자 크기 변화에 따른 복소투자율과 전파흡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Ferrite 입자가 $1\mu\textrm{m}$ 이하인 경우에는 ferrite-고무 복합체가 단자구 거동을 하여 자연공명 현상만이 관찰되었다. $Ni_{2-x}Zn_{x}Y$ - 고무 복합체의 제 1정합주파수는 Zn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저주파 대역으로 이동하였으며, 자연공명 주파수와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제 2정합주파수는 자연공명 주파수에 비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복합 ferrite 전파흡 수체의 전파흡수 현상은 자벽공명보다는 자연공명에 크게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 PDF

(La0.8Sr0.2)0.95MnO3/Yttria Stabilized Zirconia 복합체 전극을 이용한 고온 수증기 전기분해 연구 (A Study on the High Temperature Steam Electrolysis Using (La0.8Sr0.2)0.95MnO3/Yttria Stabilized Zirconia Composite Electrodes)

  • 지종섭;김창희;강용;심규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5호
    • /
    • pp.627-631
    • /
    • 2005
  • 고온수증기 전기분해의 양극물질로 이용될 수 있는 $(La_{0.8}Sr_{0.2})_{0.95}MnO_3$/yttria-stabilized zirconia(LSM/YSZ) 복합체 전극을 x-ray diffractometr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그리고 galvanodynamic, galvanostatic polarization method로 연구하였다. 이런 목적으로 perovskite-type의 LSM 물질은 공침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8 mol% YSZ와 몰분율을 달리하여 복합체 전극을 합성하였다. LSM/YSZ 복합체 전극은 평판의 YSZ 전해질에 LSM/YSZ 복합체를 스크린 프린팅 후 $1,100^{\circ}C$에서 열처리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LSM/YSZ 복합체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전극을 이루는 삼상계면의 구조와 전기분해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SHS 법에 의한 $TiB_2$-W 복합재료 제조에 대한 연구 (Fabrication of $TiB_2$-W Composite by SHS Method)

  • 이형복;강석원;이재원;박원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915-920
    • /
    • 2000
  • 합성과 동시에 소결이 이루어지는 HPCS법을 이용하여 TiB$_2$-W 복합체를 텅스텐의 함량 변화에 다라 제조하여 이 복합체의 미세구조 및 기계적 물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 결과, 텅스텐의 함량증가에 따라 삼성분 붕화 화합물인 TiWB$_2$의 상이 증가하였으며, 이 상의 증가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었다. 60 MPa의 압력과 130$0^{\circ}C$, 3000 A에서 소결한 TiB$_2$-30vol% W 복합체에서 상대밀도, 강도, 경도 값은 각각 97.2%, 411.5 MPa, 22.36 GPa로 가장 우수한 물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BaFe12O19/Ni0.5Zn0.5Fe2O4 나노복합체 Ferrite의 Exchange-coupling 상호 작용과 자기 특성 (Exchange-coupling Interaction and Magnetic Properties of BaFe12O19/Ni0.5Zn0.5Fe2O4 Nanocomposite Ferrite)

  • 오영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1-85
    • /
    • 2014
  • $BaFe_{12}O_{19}/Ni_{0.5}Zn_{0.5}Fe_2O_4$ 나노복합체 페라이트는 솔-젤 연소법으로 합성하였고, 합성된 나노복합체 페라이트를 $600{\sim}900^{\circ}C$ 범위에서 1시간 동안 하소하였다. XRD 분석 결과, 경자성/연자성 나노복합체에서 경자성과 연자성이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노복합체의 입자크기는 90 nm보다 작게 나타났다. 나노복합체는 단일 페라이트의 hysteresis 곡선과 같은 모양을 나타내었으며, 이로서 경자성과 연자성 사이에 exchange coupling이 잘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자성/연자성 나노복합체 페라이트의 포화자화 값은 연자성보다 낮고 경자성보다 높았다. 잔류자화 값은 경자성과 연자성보다 크게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BH)_{max}$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lebsiella sp. L-10의 NTG 50 변이주에 의한 고점성 히아루론산 복합체의 생산 (Production of High Viscous Hyaluronic Acid Complex from Klebsiella sp. L-10 NTG 50)

  • 이향숙;최영준;이종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3-39
    • /
    • 1995
  • Klebsiella sp. L-10을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과 ethylmethane sulfornate 및 자외선 등으로 돌연변이시켜 히아루론산 복합체의 수율이 친주보다 약 2.5배 증대된 NTG 50 변이주를 얻었다. NTG 50변이주를 이용한 히아루론산 복합체의 최적 생산배지 조성은 효모 추출물 0.1%, 트립톤 3%, 포도당 3%, $K_2HPO_4$$KH_2PO_4$ 각각 30nM 이었고 배양조건은 배지의 초기 pH 6.0-6.5, 배양온도 $37^{\circ}C$, 24시간의 진탕배양이었으며 이때 배양액 리터당 2900mg의 히아루론산 복합체가 생산되었다.

  • PDF

CIIR 예비가교물의 니더가공이 BR/PCIIR 복합체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Knead Processing of the Precured CII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R/PCIIR Composites)

  • 표경덕;박차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2호
    • /
    • pp.127-133
    • /
    • 2014
  • BR/PCIIR 복합체에 대한 분산상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예비가교된 CIIR을 BR과 함께 니더가공하여 고무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분산상으로 사용된 CIIR 예비가교물을 니더에서 한번 더 가공함으로써 BR/PCIIR 복합체에서 분산상의 입자가 적어지고 균일하게 분산되었다. BR/PCIIR40의 경우 예비가교물의 니더 가공 시간이 복합체의 반발탄성 및 경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예비가교된 CIIR 입자를 니더기로 가공한 후 BR에 혼합하여 복합체를 제조한 경우, 니더가공하지 않은 복합체의 인장강도에 비하여 10% 이상 현저히 향상되었다. 분산상으로 사용되는 CIIR 예비가교물을 니더로 가공함으로서 복합체의 표면마찰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복합체의 내마모성 및 기계적 성질은 현저히 향상되었다.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전분을 이용한 coenzyme Q10 복합체의 특성 연구 (Structural and Solubility Characteristics of Coenzyme Q10 Complexes Including Cyclodextrin and Starch)

  • 이준경;이현주;임재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80-188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coenzyme $Q_{10}$을 cyclodextrin, starch를 이용하여 각각 복합체를 형성하고 형성된 복합체의 용해도 및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Starch 복합체는 용해 온도가 증가할수록 복합체 및 복합체내의 coenzyme $Q_{10}$의 용해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데 비해 cyclodextrin 복합체는 $37^{\circ}C$에서 coenzyme $Q_{10}$의 최대 용해도를 보였으며 이후 $50^{\circ}C$에서는 강하게 aggreagation이 일어났고, $80^{\circ}C$에서는 약해진 결합에 의해 복합체가 깨짐으로써 coenzyme $Q_{10}$이 물 위에 뜨는 형상을 나타내었다. 두 복합체의 구조적 차이를 FT-IR, XRD, DSC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cyclodextrin 복합체는 coenzyme $Q_{10}$의 isoprenoid chain에 주로 포접이 되어 있는데 반해 starch 복합체는 coenzyme $Q_{10}$의 isoprenoid chain 뿐만 아니라 benzoquinone ring에도 포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starch 복합체가 cyclodextrin 복합체에 비해 coenzyme $Q_{10}$ 무정형영역이 더 크게 증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vitro simulated digestion model을 통하여 각 소화기관 별 복합체의 방출 패턴을 확인 한 결과 두 복합체 모두 구강, 위장의 효소 및 조건에 비해 소장의 효소와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크게 coenzyme $Q_{10}$의 방출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coenzyme $Q_{10}$은 cyclodextrin, starch와 포접되어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서 생체이용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