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형 당뇨

Search Result 61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당뇨병의 유발요인으로서의 약물 및 화학물질의 남용

  • 변정란
    • The Monthly Diabetes
    • /
    • s.148
    • /
    • pp.13-15
    • /
    • 2002
  • 1997년 미국당뇨병학회에서는 당뇨병을 그 원인과 병태생리에 따라 크게 세가지로 분류하였다. 그에 따르면 제 1형 당뇨병과 제 2형 당뇨병 그 외에 이 두 부류에 속하지 않는 기타 부류의 당뇨병으로 구분되는데, 약물에 의해서 유발되는 당뇨병이 이 세번째 부류에 속한다. 현대사회에는 여러 가지 약물들이 개발되어져서 더 많은 질병의 치료에 사용이 되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르는 치료효과의 증대와 같은 많은 긍정적인 결과가 야기되었으나 이러한 약물의 사용에 필연적으로 동반될 수밖에 없는 문제 중의 하나가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약물 부작용 중에서 당뇨병을 유발시키거나 악화시킬수 있는 약제들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 PDF

Interrelationship of of Matrix metalloproteinase-13 and Elastase Expression in Human Gingiva with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to Type 2 Diabetes Mellitus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atrix Metalloproteinse-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 비교)

  • Park, Hyun-Kyu;Lee, Jae-Mo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2
    • /
    • pp.397-408
    • /
    • 2006
  • 치주질환은 치아 지지조직의 파괴로 튿정 지어지는 감염성 질환으로서 이것은 주로 조직의 교원질 성분을 분해시키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여러 연구에서 당뇨병과 치주질환의 심도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으며 당뇨병이 치주염을 포함한 구강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며 역으로 만성 치주염의 염증성 매개물질에 의해 인슐린 작용이 방해받을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치주염 환자와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MP-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여 병리 기전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두 단백질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북대 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의 비당뇨 환자의 정상 치은 부위,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각각 8개의 변연 치은을 채득하여 액화 질소에 급속 동결시켰다. 모든 조직 샘플에서 동량의 단백질을 western blotting을 통해 분석하여였고,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한 후 ANOVA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분석에서 MMP-13은 제 2형 당뇨를 가진 환자의 염증성 조직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었고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염증성 조직과 정상 조직에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elastas는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 없이 유사한 양상으로 발현되었고, 염증성 조직에서도 당뇨병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편 조직내 MMP-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MMP-13은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의 치은 염증초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나타났으며,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염증조직과 당뇨를 동반한 환자의 염증조직에서 MMP-13과 elastase의 발현양상은 큰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기획리포트 - 당뇨병에 필요한 검사들 (7)당뇨병성 신증을 알아보는 검사

  • 한국당뇨협회
    • The Monthly Diabetes
    • /
    • s.240
    • /
    • pp.62-64
    • /
    • 2009
  • 당뇨병성 신증이라 하면 임상적으로 당뇨병환자에서 염증이 없는 소변에서 단백뇨가 지속적으로 나타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다른 신장질환이나 신부전증 등에 의하지 않고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발생된 경우를 의미한다. 당뇨병환자의 25~50%가 신 질환을 갖게 되며 결국 투석이나 신장이식을 받게 된다. 20년 이상 기왕력을 가진 제 1형 당뇨병환자의 40~50%에서 당뇨병성 신증이 발생된다. 제 2형 당뇨병환자의 경우에는 임상적으로 문제시 되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는 적게 발생되어 5~10%만 발생된다.

  • PDF

The Effects of Diet Education Contents for the Customized Serious Game Development in Type II Diabetes (제2형 당뇨환자 기능성게임 개발을 위한 식이교육 콘텐츠 효과)

  • Kim, Yu-Jeo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6 no.4
    • /
    • pp.87-96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tents for the serious game development of the customized diet education in Type II Diabetes. Because the development of the existing serious game focuses on Type I Diabet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arry out customized educ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ype II Diabetes and health manager.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July 11 to December 26 in Y2015,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26 people suitable for Type II diabetes who visited the public health center to apply for a diabetic diet education and completed the 8 continued education. After receiving customized diet prototype education, the self-care behaviors and HbA1C of the subj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p<.05)

A Study 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오디의 항당뇨 효능에 관한 연구)

  • 김태완;권영배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38 no.2
    • /
    • pp.100-107
    • /
    • 199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using insulin-dependent and/or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nimal models. The administration of mulberry fruit did not affect either body wight or blood glucose level in the normal ICR mice and streptozotocin induced-type I diabetic mice group. In second experiment, prolonged mulberry fruits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attenuate the blood glucose level in type I diabetes induced by streptozotocin. In third experiment,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type II diabetes animal model that was induced by administration of streptozotocin to 2-day-old rats. Significant decrease in blood glucose level was observed in prolonged mulberry fruits treated group. In these treated group, the weight of liver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fourth experiment using KK mice showing genetical type II diabetes mellitus, glucose tolerance has been significantly recovered in mulberry fruits treated group but not in control group. In conclusion, prolonged administration of mulberry fruits significantly reduced the blood glucose level in type II diabetic animals. However, the blood glucos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reduced by prolonged mulberry treatment. These data suggest that mulberry fruits can be developed as functional food that has effect on the insulin-independent diabetus mellitus(type II daibetus mellit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