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차 오염물질

Search Result 39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hemical Characteristics of Ionic Species of $PM_{10}$ and $PM_{2.5}$ in Metropolitan area (대도시 지역 환경대기에서 미세먼지의 농도 및 이온성분의 화학적 특성)

  • 강공언;박진수;김신도;김태식;서충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89-190
    • /
    • 2003
  • 최근 10년간 대기환경 개선대책으로 1차 오염물질인 이산화황과 총부유먼지(TSP)의 농도는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의 증가 등으로 미세먼지, 오존 등 2차 대기오염물질의 오염도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미세먼지는 시정에 영향을 주어 체감오염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내에 함유된 각종 유해물질과 중금속 등은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최근 미국 등을 중심으로 $PM_{2.5}$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1997년부터 대기환경 기준에 추가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보다 엄격한 대기질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중략)

  • PDF

Application of an Automated Time Domain Reflectometry to Solute Transport Study at Field Scale: Transport Concept (시간영역 광전자파 분석기 (Automatic TDR System)를 이용한 오염물질의 거동에 관한 연구: 오염물질 운송개념)

  • Kim, Dong-Ju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9 no.6
    • /
    • pp.713-724
    • /
    • 1996
  • The time-series resident solute concentrations, monitored at two field plots using the automated 144-channel TDR system by Kim (this issue), are used to investigate the dominant transport mechanism at field scale. Two models, based on contradictory assumptions for describing the solute transport in the vadose zone, are fitted to the measured mean breakthrough curves (BTCs): the deterministic one-dimensional convection-dispersion model (CDE) and the stochastic-convective lognormal transfer function model (CLT). In addition, moment analysis has been performed using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pdfs) of the travel time of resident concentration. Results of moment analysis have shown that the first and second time moments of resident pdf are larger than those of flux pdf. Based on the time moments, expressed in function of model parameters, variance and dispersion of resident solute travel times are der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nce or dispersion of solute travel time and depth has been found to be identical for both the time-series flux and resident concentrations. Based on these relationships, the two models have been tested. However, due to the significant variations of transport properties across depth, the test has led to unreliable results. Consequently, the model performance has been evaluated based on predictability of the time-series resident BTCs at other depths after calibration at the first depth. The evaluation of model predictability has resulted in a clear conclusion that for both experimental sites the CLT model gives more accurate prediction than the CDE model. This suggests that solute transport at natural field soils is more likely governed by a stream tube model concept with correlated flow than a complete mixing model. Poor prediction of CDE model is attributed to the underestimation of solute spreading and thus resulting in an overprediction of peak concentration.

  • PDF

환경정화용 다공성 세라믹스

  • Park, Yeong-Jo;Yun, Hui-Suk;Lee, Jae-Uk;Song, In-Hyeok;Kim, Hae-Du
    • 기계와재료
    • /
    • v.21 no.2
    • /
    • pp.98-109
    • /
    • 2009
  • 산업이 고도화 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에너지 고효율화를 위해 고온 고압 등의 극한환경 하의 공정이 증가하면서 다공질 세라믹스를 이용한 촉매기술 또는 포집 분리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다공성 세라믹 소재가 유효하게 대응 가능한 대기오염과 관련하여 오염물질 및 오염의 실태를 살펴보고, 각종 다공성 세라믹스의 제조방법과 이에 따른 소재특성을 소개하고 시장의 현황과 전망을 정리하였다. 다공성 세라믹 소재의 활용과 관련해서는 오염물질을 입자상물질과 가스상물질로 대별하여 대표적인 사용처와 소재를 수록하였으며, 차세대 신개념 필터로 연구 중인 반응소결 질화규소에 대해 언급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By-product in Non-thermal Plasma DeSOx and DeNOx Process (플라즈마 탈황탈질 공정의 부산물 특성)

  • 김유석;최석호;유정석;백민수;장길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33-234
    • /
    • 2000
  • 저온 플라즈마 탈황탈질 동시처리 공정은 경제적인 장점과 함께 2차 오염물 발생 없이 비료성분을 부산물로 얻을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저온 플라즈마 공정은 크게 가스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플라즈마 반응 공정과 가스상 물질 제거이후 발생하는 고형화된 부산물 제거를 위한 부수 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의 연구분야는 가스상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에 초점이 모아져 왔다. (중략)

  • PDF

폐플라스틱 유화공정중 대기중 발생하는 Cl 저감방안

  • 김진우;김성중;박원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59-164
    • /
    • 2002
  • 환경의 문제가 크게 인식되고 있는 현재시점에서 폐기물의 처리는 환경오염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그중 폐플라스틱은 매립시 썩지 않으며, 소각시에는 다이옥신 및 염화수소 등 인체에 유해한 2차 오염물질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매립과 소각 모두 2차 환경오염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기술의 정착이 시급하게 대두되고 있다.(중략)

  • PDF

Analysis of First Flush of NPS Pollution from Upland Field (고랭지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초기세척효과 분석)

  • Shin, Jae Young;Lee, Su In;Park, Byoung Ki;Ju, So Hee;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67-567
    • /
    • 2016
  •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토지이용형태에 따라 유출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특히 강우 초기에 고농도의 유출수가 수계로 유입하게 된다. 또한 강우량, 강우강도, 선행건기일수 등은 비점오염물질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선행건기일수가 길고 강우강도가 강한 강우사상일 경우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안태웅 등,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3년간(2010년 ~ 2012년)의 모니터링을 통해 고랭지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초기세척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초기세척효과의 판단은 Geiger(1987)이 제시한 누적오염부하량과 누적유출량과의 그래프를 비교하여 기울기가 45도 기울기보다 상향하여 분포하였을 경우 양분선과 최대로 벌어진 부분의 시간까지에서 초기세척효과가 발생한다고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고랭지 밭 지역의 경우 뚜렷한 초기세척효과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CODCr의 경우 3차 강우사상에서 초기세척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3차 강우사상은 선행건기일수가 0.9일로 매우 짧고 발생강우량이 27.3 mm로 연구기간 동안 가장 적은 강우량이 관측되었지만, 유출발생시점 전후 3시간 동안 강우강도가 4.0 ~ 6.2 mm/hr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유출초기에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동안 선행된 초기세척효과에 대한 연구를 살펴본 결과 이병수 등(2008)은 경안천 유역 농업지역에 대해 초기세척효과를 분석한 결과 일부 강우에서는 초기세척현상이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강우에서는 초기세척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농촌지역의 경우 초기세척현상의 접근방법은 적절치 않다고 보고하고 있다. 정성민 등(2009)은 고랭지 농업지역에서 SS와 TP는 뚜렷한 초기세척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TN과 DOC는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하지만 윤영삼 등(2011)은 강우시 포도밭에서 초기세척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든 수질항목에서 약한 초기세척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SS의 경우 초기세척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투수지역에서의 초기세척효과에 대한 판단은 연구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이유는 투수지역의 토양의 특성, 강우조건, 지형적 특징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air pollutants generated in the industrial-waste incinerator using Aspen plus (Aspen plus를 이용한 산업폐기물 소각공정시 발생 오염물질 예측)

  • Lee, Ju-Ho;Jung, Moon-Hun;Kwon, Young-Hyun;Kim, Min-Choul;Lee, Jae-Jeong;Lee, Gang-Woo;Shon,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1046-1049
    • /
    • 2009
  • 최근 화석에너지 고갈 문제와 폐기물의 지속적인 발생량 증가로 인해 폐기물을 이용한 열에너지 회수가 이슈화 되고 있다. 폐기물처리를 통한 에너지 회수 공정 가운데 소각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소각시 발생하는 대기오염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설계 및 설치비용에 많이 소요 된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공정 모사기인 Aspen plus를 이용해 소각공정 및 배가스 처리 공정모사를 실시하였다. 폐기물 소각 공정으로는 1 2차 연소실과 NO2를 환원하는 SNCR공정, 산성가스(HCl, SO2)를 제거하는 SDA공정, 입자상 물질을 처리 하는 bag filter공정을 모사하였다. 공정모사 결과 실제 산업폐기물 소각로의 처리효율과 일치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동일한 공정 및 조건하에 소각로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조성비를 달리하여 공정 모사한 결과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오염물질 발생량 예측은 소각장의 폐기물 투입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조업 조건의 변경에 도움 뿐만아니라 공정개선의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영산강 유역 생활하수처리장 방류수중의 유기오염물질 특성 규명

  • Lee, Mun-Hui;Park, Ji-Yeong;Han, Sa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83-185
    • /
    • 2005
  • 영산강 유역 생활하수처리장의 방류수의 분석 결과, 일일 처리량이 타지점들에 비해 다량이며 인구수가 많고 산업이 발달되어 있는 광주지역에 위치해 있는 광주 하수처리장과 송대 하수처리장에서 다종의 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다. 특히 polycyclic compounds, phenols, phthalates, pesticides는 여름철에 다종 고농도로 검출되어 여름철 영산강 유역 방류수의 주 오염물질로 판단된다. 이들 광주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송대 하수처리장 방류수에서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diethylph thalate와 bis(2-ethyhexyl)phthalate가 4회 이상 검출되었다. 또한 송대, 장성 하수처리장에서 고농도로 검출된 물질이 대부분 산업용 화학물질이나 반응에 의해 2차로 생성되는 화학물질들이 다종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들 지점의 영향은 산업폐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각 하수처리장에서 실시하는 표준활성오니법, 회전원판접촉식 처리공정으로는 본 연구에서 검출된 물질과 같이 생태계나 인간의 건강에 유해한 유기화합물을 처리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영산강 유역 수질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polycycli compounds, phenols, phthalates, pesticides와 같은 난분해성 유기 화합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고도산화처리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Organic Acids in $PM_{2.5}$ Fine Particles Collected at Kosan, Cheju Island (제주도 고산지역 $PM_{2.5}$ 미세입자 중의 유기산 함량 분석)

  • 고선영;강창희;김원형;신찬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23-324
    • /
    • 2001
  • 입자크기가 2.5$\mu\textrm{m}$ 이하의 미세입자는 화석연료의 연소, 자동차 배출가스, 화학물질 제조과정 등과 같이 인위적 발생원에 의해 발생된 오염물질과 기체상 오염물질(SO$_2$, NOx, VOCs 등)이 입자상으로 전환된 2차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세입자는 황산염, 강산, 암모늄, 질산염, 유기화합물, 중금속 등을 포함하고 있고 호흡시 폐 내부까지 깊숙히 흡수되기 때문에 피해가 크고, 또 오염지역의 경우 시정장애를 일으켜 가시도에도 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Pollutant Sources Contribution Analysis of PM2.5 using The CMB Receptor Model (CMB 수용모델을 이용한 PM2.5의 오염원 기여도 분석)

  • Koo, Tai-Wan;Hong, Min-Sun;Moon, Su-Ho;Kim, Ho-J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3
    • /
    • pp.866-875
    • /
    • 2019
  • In this study, The Chemical Mass Balance (CMB) model was used to identify pollutant sources and their contributions to $PM_{2.5}$. The contribution rankings by emission source in A city were ash dust (30.1%) > biomass burning (21.9%) > secondary pollutants (21.1%) > mobile source (19.3%) > area sources (7.6%), and The emission sources increased from the contribution of the CMB model and the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CAPSS) emissions were biomass burning and secondary pollutants, and The emission sources reduced were mobile source, ash dust, and area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