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차 분열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2초

전단 유동에 의한 스월 제트의 미립화 및 분무특성 향상 (The Advancement of Breakup and Spray Formation by the Swirl Spray Jets in the Low Speed Convective Flow)

  • 정재철;윤웅섭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7-274
    • /
    • 2009
  • 아음속 영역의 대류에 평행하게 압력형 스월 제트를 분사시켜 액막 분열 및 액적 크기와 분포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였다. 대류로 인한 거시적과 미시적인 분무 특성의 영향을 제트 $We_{\iota}$수와 기상에 대한 액상의 운동량 비를 사용하여 광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낮은 제트 $We_{\iota}$수일 때는 제트의 원심력 부족으로 인해 액막을 형성하지 못하고 Rayleigh 제트 분열을 하게 된다. 높은 $We_{\iota}$수에서는 거시적인 분무 특성은 대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지만 미시적인 분무 특성은 운동량 비가 높을수록 2차 미립화 과정을 통해 대류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대류는 제트의 분열을 촉진시키고 스월 제트의 분무 특성을 향상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적 증세 호전에 따른 $^{99m}Tc$-HMPAO 뇌 SPECT 소견의 변화 (Effect of Clinical Improvement of Schizophrenic Symptoms on $^{99m}Tc$-HMPAO Brain SPECT)

  • 신철진;궁성수;정인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0-319
    • /
    • 1997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후의 국소뇌혈류량의 변화 및 증상호전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DSM-IV 진단기준에 의거한 총 11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전과 치료 6주째에 $^{99m}Tc$-HMPAO 뇌 SPECT를 실시하였으며 동시에 PANSS를 사용하여 정신병리를 함께 평가하였다. 대상자들은 입원전 최소 2주간의 항정신병 약물 비복용기간을 거친 환자들이었으며 이중 3명은 과거 항정신병약물의 복용력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6주간의 약물 치료훼 환자들은 증상의 호전 정도에 따라 호전군과 비호전군으로 나누어졌으며 이들간의 뇌국소혈류지수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전두엽의 혈류지수는 양집단 모두에서 감소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조측 측두엽의 혈류량은 호전군에서 유의하게 많이 감소하였고 또한 우측 측두엽의 혈류량의 감소량은 PANSS 총점의 감소량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분열병의 증상과 측두엽의 활동성간의 관계를 시사하는 소견이라고 하겠다.

  • PDF

대두의 방사선 감수성에 관한 연구(예보)

  • 권신한;김변정;임건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권
    • /
    • pp.46-49
    • /
    • 1964
  • 1. 본 시험에 사용된 선량범위내에서는 기건종자에 의한 Thermal neutron이나 X-ray의 처리가 발아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는데 Fast neutorn 처리종자의 발아율은 선량의 증가에 따라 거의 직선적 저하를 보였다. 2. 선량의 증가에 따라 기형엽발생율은 증가하였으며 특히 Fast neutron에서는 동일 flux일망정 Thermal neutron 조사구에 비해 발생율은 높다. 3. 저선량에서의 기형엽출현은 유식물기에서만 봇 수 있으며 성장함에 따라 회복한다. 이는 정상세포와 이상세포간의 분열속도의 차에 기인되는 상 싶다. 4. 같은 선량에서는 Fast neutron이 Thermal neutron에 비해 그 영향력이 크다는 것이 확실하며 이는 Energy의 차에서 오는 결과이다. 5. 일반적으로 선량의 증가에 따라 성숙이 연장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반면에 아주 희귀하기는 하나 개화와 성숙이 촉진되는 고체도 발견되었다. 6. 선량의 증가에따라 다소 왜소화되기는 하나 저선량에서는 오히려 유의성은 없으나 초장이 증가하였다. 7. 생육초기와 생육종기에 있어서의 선량에 따르는 초장에 대한 영향은 그 초기에 있어서 더 현저하며 성장함에 따라 회복되는 경향을 보인다. 8. 발아와 생육에 별 지장이 없이 재배할 수 있는 선량범위는 Thermal neutron에서 $1O^13$ N/$cm^2$, Fast neutron에서 5$\times$$1O^12$N/$cm^2$ 이하이면 무난할 것이며, X-ray는 본 시험에 이용한 32 Kr 이상에서도 이용에 지장이 없을 것이다.

  • PDF

피조개의 염색체 (Chromosomes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 유명숙;이정미;김일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1-175
    • /
    • 1992
  • 피조개의 핵형을 구명할 목적으로, 1991년 여름 경상남도 남해산을 온도자극법에 의해 인위적으로 방난방정을 유발하였다. 1. 발생중인 Trochophore 유생을 사용하여 공기건조법에 의해 다수의 명료한 중기분열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피조개의 염색체는 2n=38로서, 핵형은 3쌍의 중부동원체형, 2쌍의 중부-차중부동원체형, 10쌍의 차중부동원체형과 4잡의 차단부동원체형으로 구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 PDF

$\textrm{Cd}_{x}\textrm{Ni}_{1-x}\textrm{Fe}_{2}\textrm{O}_{4}$의 Mossbauer 스펙트럼 (Mossbauer Spectra of the $\textrm{Cd}_{x}\textrm{Ni}_{1-x}\textrm{Fe}_{2}\textrm{O}_{4}$)

  • 백승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7호
    • /
    • pp.618-622
    • /
    • 1997
  • 상온에서 측정한 Cd$_{x}$Ni$_{1-x}$Fe$_{2}$O$_{4}$의 Mossbauer 스펙트럼은 조성비에 따라 x값이 0.4이하인 시료에서는 준강자성에 의한 여섯개의 공명 흡수선, x값이 0.5인 시료에서는 이완된 형태의 공명흡수선, 그리고 x값이 0.6시료인 상자성에 의한 두개의 공명 흡수선이 나타났다. Cd$_{x}$Ni$_{1-x}$Fe$_{2}$O$_{4}$의 x값이 0.4이하인 시료의 초미세 자기장(H$_{hf}$)과 x값이 0.6 이상인 시료의 사중극자 분열치 (Q.S.)는 Cd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시료의자기적 성질에 따른 이성질체 이동치(I.S.)의 차이는 있으나, Ni와 Cd이온의 농도에 따른 뚜렷한 의존성은 나타나지 않았다.다.

  • PDF

비소세포 폐암에서 bcl-2의 발현률과 세포분열주기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 (Expression of bcl-2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its Effects on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 국향;고혁제;구기선;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1호
    • /
    • pp.36-43
    • /
    • 1999
  • 연구배경: bcl-2는 apoptosis를 억제하여 세포 수명을 연장시켜 종양세포의 생존기간 중 다른 암유전자의 추가척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증가시켜 암을 유발하는 암유전자이다. 이러한 bcl-2는 apoptosis 억제에도 불구하고, 임상적으로 bcl-2 양성인 경우에 그 기전은 아직 확실치 않으나 오히려 예후가 양호하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비소세포 폐암에서 bcl-2의 발현률을 계측하고, 세포분열주기와 비교한 후 생존률과의 관계를 검색하였다. 방 법: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으로 확진받고, 외과적 절제술후 paraffin에 보관된 57례의 병리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bcl-2의 발현을 확인하고, bcl-2와 병리조직형, TNM 병기, 유식세포분석법에 의한 세포주기비율(S-and $G_1$-phase fraction) 그리고 생존기간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57례 중 남녀비는 43:14 였고, 조직학적 분류는 편평상피암 34례, 선암 19례, 대세포암 4례였으며, TNM I 병기 14례, II 병기 21례, III 병기 22례였다. bcl-2는 43.8% (25/57)에서 발현되었으며 면평상피암 47%(16/34), 선암 32%(6/19)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TNM I 병기 28.6%(4/14), II 병기 52.3% (11/21), III 병기 45.5%(10/22)로서 역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bcl-2 발현군과 비발현군에서의 $G_1$-주기비율은 75.5($\pm10.8$)%, 65.5($\pm11.4$)% 로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5), S-주기비율은 14.1($\pm7.8$)%, 24.7($\pm10.5$)%로서 역시 유의하게 bcl-2 발현군의 세포분열능이 저하되어 있었다 (p<0.005). bcl-2 발현군과 비발현군에서의 2년 생존률은 65%, 71%, 3년 생존률은 54%, 52%, 5년 생존률은 41%, 46% 그리고 중간 생존기간은 53개월, 37개월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p>0.05, Kaplan-Meier, log rank) 결 론: 비소세포 폐암에서 bcl-2는 43.8%에서 발현되었으며, 병리조직형, TNM 병기에 따른 발현률의 차이는 없었다. bcl-2 발현군은 비발현군에 비하여 S-주기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고, $G_1$-주기비율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bcl-2 발현군의 중간 생존기간은 53개월로서 비발현군의 37개월보다 연장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 PDF

일본산 메추리(Coturnix coturnix japonica)의 핵형연구 (Karyological Study of Japanese Quail (Coturnix coturnix japonica))

  • 손시환;이경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9-274
    • /
    • 1990
  • 일본산메추리(Coturnix coturnix japonica)의 핵형연구를 위하여 정소조직 및 백혈구, 초기태아조직들로서 염색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염색체의 수는 정상 이배체(2n)가 78개로 나타나고, 계2 감수분열 중기상태의 정모세포의 관찰에서 반수체(n)가 39개로 나타났다. 한편 8개의 대형염색체 및 성 염상체에 대한 형태적 분석은 동원체지수 및 상대적 길이비로서 측정하였다. 이용된 여러 조직간의 염색체의 형태적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번 염색체템서 p-alm의 존재유무에 따라 상당한 변이를 나타내었다.

  • PDF

액체 연료 탱크 내 슬로싱 현상에서의 액적 형성 분석 (Analysis of droplet formation under sloshing phenomena in liquid fuel tank)

  • 박성우;황진율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2-110
    • /
    • 2023
  • With the global shift from a carbon-based economy to a hydrogen-based economy, understanding the sloshing phenomenon and its impact on boil-off rate (BOR) in liquid hydrogen (LH2) tank trailers is crucial. Here, we analyze the primary breakup process under sloshing phenomena in a liquid fuel tank. We observe the growth of multiple holes on the sheet-like structures and the formation of ligament structures reminiscent of jet atomization. Through the extraction of three-dimensional liquid regions, we analyze th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regions, enabling the classification of sheets, ligaments, and droplets. The present findings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breakup mechanism and hold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aimed at minimizing BOR.

P. alba × glandulosa와 그 양친(両親)의 Pollen Mother Cell의 Meiosis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Meiosis of PMC's in P. alba × glandulosa and Their Parents)

  • 정현배;전상근;김말숙;김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1-61
    • /
    • 1979
  • 교배(交配) 모수(母樹)인 P. alba화분(花粉) 모수(母樹)인 P. glandulosa 및 그의 잡종(雜種)인 ${\times}$P. albaglandulosa에 관(關)한 화분모세포(花粉母細胞)의 감수분열(減數分裂)에 있어 염색체행동(染色体行動)과 대합(對合) 현상(現象)에 관(關)해 조사(調査)하였다. 1. Metaphase II에서 Earyl separation chromosome을 갖는 핵판(核板)이 가장 적은 개체(個体)는 P. glandulosa로 11.0%며 ${\times}$P. albaglandulosa는 13.0%로 가장 높았다. 2. Metaph se II에서 ${\times}$P. albaglandulosa는 11.0%의 Early separation chromosome이 출현(出現)했으나 양친양친수(兩親兩親樹)와 차이(差異)는 없었다. 3. Anahase I에서 Lagging chromosome의 출현율(出現律)은 ${\times}$P. albaglandulosa가 다소(多少) 높아 11.6%로 나타났으며 chromosome bridge에서는 양친수(兩親樹)와 거의 차(差)가 없었다. 4. Anaphase II때 Lagging chromososome은 ${\times}$P. albaglandulosa에서 다소(多少) 높은 빈도(頻度)로 10.2%였으며 chromosome bridge P. glandulosa에서 가장 높은 빈도(頻度)로 출현(出現)하였다. 5. Abnormal pollen sporad는 ${\times}$P. albaglandulosa에서 가장 많이 출현(出現)하여 8.2%를 나타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 P. alba, P. glandulosa 및 ${\times}$P. albaglandulosa는 화분모세포분열(花粉母細胞分裂)에 있어서 염색체분열접합(染色体分裂接合)이 정상적(正常的) 행동(行動)을 하고 있어 결국(結局) 정상(正常) 화분형식(花粉形式)을 행(行)하는 수종(樹種)이라 결론(結論)할 수 있다.

  • PDF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에서 PCNA의 발현정도와 암세포의 분열능 및 생존률과의 관계 (Correlat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Expression and S-phase Fraction, Survival Rate in Primary Non-Small Cell Lung Cancer)

  • 양세훈;김학렬;구기선;정병학;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756-765
    • /
    • 1997
  • 연구배경 : 종양세포 성장의 역동학적 성상은, 종양의 분열능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므로 종양의 예후 예견에 임상적 의의가 있다. PCNA는 DNA 합성에 관여하는 36KD의 핵단백질로서, 종양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그 발현 정도를 계측하여 종양세포 증식정도의 반영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암의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화적 방법으로 PCNA의 세포의 분열능을 반영하는 다른 분자생물학적 인자 즉 S-주기비율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PCNA의 발현정도에 따른 폐암환자들의 생존률을 검색하였다. 방 법 : 대상군은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으로 확진 받고, 외과적 절제술 후 파라핀에 보관된 57례의 폐암 조직을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PCNA의 암세포형, TNM 병기, 세포 분화도, S-주기 비율과 생존률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본 병원에서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한 57례중 남녀비는 43 : 14였고, 평균연령은 60세였다. PCNA의 발현 정도는 25%를 기준으로 하여 +, ++, +++, ++++로 구분하였다. PCNA의 발현은 편평상피암에서 선암보다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TNM 병기에 따른 PCNA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세포의 분화도에 따라서 미분화일수록 PCNA의 발현 정도는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S-주기 비율은 -17.9%, +18.3(${\pm}9.7$)%, ++18.6(${\pm}11.1$)%, +++19.6(${\pm}9.0$)%, ++++24.7(${\pm}8.2$)% 였으나 서로간의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다. PCNA의 발현 정도에 따른 2년 생존률과 중간 생존기간은 -50% 13.0개월, +75% 41.3개월, ++73% 33.6개월, +++67% 29.0개월, ++++25% 9개월로서 서로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P<0.05, Kaplan-Meier법, generalized Wilcox). 결 론 : 비소세포 폐암에서 PCNA의 발현정도는 편평상피암에서 선암보다 높았고, TNM 병기와 세포분화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PCNA 발현정도에 따라 S-주기 비율은 증가한 듯하나 유의성은 없었다. PCNA 발현이 높을수록 2년 생존률과 중간 생존기간은 유의하게 불량하였다. 즉 결과적으로 PCNA 염색법은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인자로서의 이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