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차원 데이터

Search Result 1,88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4-Level Balanced Modulation Code for the Mitigation of Two-Dimensional Intersymbol Interference in Holographic Data-Storage Systems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2차원 심볼 간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4-레벨 균형 변조부호)

  • Park, Keunhwan;Lee, Jaeji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3 no.9
    • /
    • pp.12-17
    • /
    • 2016
  • In the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 (HDSS), the data regarding the volume of a storage medium are recorded and read by the page, and the transmission rate and storage capacity can be increased because of two-dimensional, page-oriented data processing; furthermore, the multi-level HDSS can store more than one bit per pixel. For this same reason, however, and unlike conventional data-storage systems, the HDSS is hampered by two-dimensional (2D) intersymbol interference (ISI) and interpage interference (IPI). Progress regarding the published papers on 2D ISI, which is more severe in the multi-level HDSS, continues; however, mitigation of both 2D ISI and IPI in terms of the multi-level HDSS has not yet been studied. In this paper, we therefore propose a 4-level balanced-modulation code that simultaneously mitigates 2D ISI and IPI.

Semi-Automatic Method for Constructing 2D and 3D Indoor GIS Maps based on Point Clouds from Terrestrial LiDAR (지상 라이다의 점군 데이터를 이용한 2차원 및 3차원 실내 GIS 도면 반자동 구축 기법 개발)

  • Hong, Sung Chul;Jung, Jae Hoon;Kim, Sang Min;Hong, Seung Hwan;Heo, 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2
    • /
    • pp.99-105
    • /
    • 2013
  • In rapidly developing urban areas that include high-rise, large, and complex buildings, indoor and outdoor maps in GIS become a basis for utilizing and sharing information pertaining to various aspects of the real world. Although an indoor mapping has gained much attentions, research efforts are mostly in 2D and 3D modeling of terrain and buildings. Therefore, to facilitate fast and accurate construction of indoor GIS, this paper proposes a semi-automatic method consisting of preprocessing, 2D mapping, and 3D mapping stages. The preprocessing is designed to estimate heights of building interiors and to identify noise data from point clouds. In the 2D mapping, a floor map is extracted with a tracing grid and a refinement method. In the 3D mapping, a 3D wireframe model is created with heights from the preprocessing stage. 3D mesh data converted from noise data is combined with the 3D wireframe model for detail modeling.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point clouds depicting a hallway in a building. Experim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tilized to construct 2D and 3D maps for indoor GIS.

Implementation of PDF417 2-dimensional Barcode Decoder (PDF417 이차원 바코드 디코딩 알고리즘의 구현)

  • 정정구;한희일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289-292
    • /
    • 2001
  •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1차원 바코드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데이터 키 역할을 주로 해온 것에 비해, 2차원 바코드는 다량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고밀도의 데이터 표현이 가능하여, 호스트 컴퓨터의 데이터 베이스에 온라인 연결할 필요없이 확인하고자 하는 사람이나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2차원 바코드 체계인 PDF417 을 중심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한 영상을 이진화하여 시작 심볼 또는 정지 심볼을 검색함으로써 2차원 바코드 영역을 추출한 다음, 추출된 영역으로부터 바코드의 행과 열의 수, 오류수정 정도 등의 헤더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코드워드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얻어진 코드워드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위해 정보가 숫자인지, ASCII코드인지 혹은 바이트 정보인지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인코딩 되어 있는데, 그에 따른 디코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Visualizing a Multi-Dimensional Data Set in a Lower Dimensional Space (저차원 영역에서 고차원 데이터 집합의 표현 방법)

  • Dong-Hun Seo;Kolesnikova Anastasiya;Won Don Le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8.11a
    • /
    • pp.40-4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영역의 데이터 집합을 저차원 영역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특별히 고차원 영역을 2 차원 영역으로 실험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사람이 데이터 객체 사이의 거리나 관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데이터 객체 사이의 거리나 관계를 계산하기 위하여 Kullback-Leibler divergence 를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확률 분포를 갖는 벡터들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사용한다. Kullback-Leibler divergence 를 사용하여 계산된 거리 값들은 저차원 영역에서 객체들의 좌표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좌표계산을 위해서 Simulated Annealing 란 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다차원 데이터를 2 차원 영역으로 표현한 것이 충분히 직관적임을 보였다.

Registration of the 3D Range Data Using the Curvature Value (곡률 정보를 이용한 3차원 거리 데이터 정합)

  • Kim, Sang-Hoon;Kim, Tae-Eu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8 no.4
    • /
    • pp.161-166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new approach to align 3D data sets by using curvatures of feature surface. We use the Gaussian curvatures and the covariance matrix which impl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to achieve registration of unaligned 3D data sets. Firs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ocal area are obtained by the Gaussian curvature. And the camera position of 3D range finder system is calculated from by using the projection matrix between 3D data set and 2D image. The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hole area are obtained by the covariance matrix of the model. The corresponding points can be found in the overlapping region with the cross-projection method and it concentrates by removed points of self-occlusion. By the repeatedly the process discussed above, we finally find corrected points of overlapping region and get the optimized registration result.

  • PDF

CAD Data Conversion to a Node-Relation Structure for 3D Sub-Unit Topological Representation (3차원 위상구조 생성을 위한 노드 - 관계구조로의 CAD 자료 변환)

  • Stevens Mark;Choi Jin-Mu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2 s.113
    • /
    • pp.188-194
    • /
    • 2006
  • Three-dimensional topological data is essential for 3D modeling and application such as emergency management and 3D network analysis. This paper reviewed current 3D topological data model and developed a method to construct 3D topological node-relation data structure from 2D computer aided design (CAD) data. The method needed two steps with medial axis-transformation and topological node-relation algorithms. Using a medial-axis transformation algorithm, the first step is to extract skeleton from wall data that was drawn polygon or double line in a CAD data. The second step is to build a topological node-relation structure by converting rooms to nodes and the relations between rooms to links. So, links represent adjacency and connectivity between nodes (rooms). As a result, with the conversion method 3D topological data for micro-level sub-unit of each building can be easily constructed from CAD data that are commonly used to design a building as a blueprint.

Developing a 3D Indoor Evacuation Simulator using a Spatial DBMS (공간 DBMS를 활용한 3차원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 Kim, Geun-Han;Kim, Hye-Young;Jun, Chul-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6 no.4
    • /
    • pp.41-48
    • /
    • 2008
  • Currently used 3D models, which are mostly focused on visualization of 3D objects and lack topological structure, have limitation in being used for 3D spatial analyses and applications. However, implementing a full topology for the indoor spatial objects is less practical due to the increase of complexity and computation time.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method to build a 3D indoor model with less complexity using a spatial DBMS. Storing spatial and nonspatial information of indoor spaces in DB tables enables faster queries, computation and analyses. Also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m in 2D or 3D using the queried information. This study suggests a 2D-3D hybrid data model, which combines the 2D topology constructed from CAD floor plans and stored in a spatial DBMS and the 3D visualization functionality. This study showed the process to build the proposed model in a spatial DBMS and use spatial functions and queries to visualize in 2D and 3D. And, then, as an example application, it illustrated the process to build an indoor evacuation simulator.

  • PDF

3D Modelling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University Campus (대학캠퍼스의 관리효율화를 위한 3D 공간모델링)

  • Lee, Jin-Duk;So, Jae-Kyoung;Park, Jin-Pyo;Kim, Dong-S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19-325
    • /
    • 2005
  • 지리정보데이터는 공간개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2차원 평면 위주의 공간 자료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GIS 데이터는 2차원 평면위주의 공간자료보다 3차원 공간자료를 기반으로 한 시각화를 통하여 다차원적인 분석이 가능해지고 있다. 최근 인터넷 환경에서 구동되는 3D GIS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3D GIS는 초기에는 지형을 단순히 3차원 가시화 하는 기능 위주에서 최근 3차원 지형분석, 3차원 도시, 3차원 시설물 등의 현실감 있는 모델링과 분석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물론, 가상현실 기능이 강조된 3D GIS까지 등장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GIS 툴(ArcView)을 사용하여 대학캠퍼스의 부지, 구조물 및 시설물의 3D GIS를 구축할 수 있었으며 3D 모델링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의 조감도 작정과 경관분석을 행하였고 향후 시설물 확충에 따른 공간활용계획의 기본 자료로서 그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GIS의 가장 발전적 형태인 Web GIS구축을 위한 인터넷 데이터베이스로서 정보 공유와 조회는 물론 사용자 측면의 분석까지 가능하도록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후 웹 GIS 기법을 적용하여 캠퍼스의 3차원 관리를 위해 웹서버를 구축하고 2D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 맵의 한계를 벗어나 3D 모델링으로 웹상에서 사용자에게 다각도의 3차원 공간을 구현함으로써 2차원 데이터와 더불어 3차원 공간영상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시도하고자 한다.

  • PDF

A Design of the Component based 2D Spatio Temporal Topological operators (컴포넌트 기반의 2차원 시공간 위상관계 연산자의 설계)

  • Kang, Goo;Lee, Hyun-Ah;Kim, Sang-Ho;Ryu, Kuen-Ho;Lee, S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9-81
    • /
    • 2001
  • 2차원 공간데이터를 시간차원으로 확장한 데이터모델은 최상위의 TGeometry 컴포넌트를 갖는다. TGeometry 컴포넌트는 시공간에 관한 연산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산들을 제공한다. 2차원 시공간 데이터모델에 대한 시공간 연산자를 설계하기 위하며, 공간에 대한 방법으로서 차원으로 확장된 9IM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이것은 공간 객체를 내부, 경계, 그리고 외부로 구분하고, 이것들간의 관계를 차원으로 나타내는 방법이고, 또한 시간에 대한 방법으로서, OpenGIS에서 제안한 8개의 연산들을 시간에 적용했으며, 이들 두 가지 방법을 통합하여 시공간 객체에 대한 위상관계 tContains, tWithin, tOverlaps, tlntersects, tTouches, tEquals, tDisjoint, tCrosses 연산을 설계하였으며, 실제 예를 통해 적용하였다.

  • PDF

An Efficient 3D Terrain Reconstruction Method Using Feature Points in Contour Map (등고선 지도의 특징점을 이용한 효율적인 3차원 지형 복원)

  • 이동규;임원규;한경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53-655
    • /
    • 1998
  • 본 논문은 3차원 지형을 현실감 있고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등고선 데이터로부터 지형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3차원 지형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래스터 기반의 거리변환기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2차원의 등고선 데이터로부터 3차원 지형을 생성하며, 생성된 3차원 지형정보로부터 지형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복원된 3차원 지형을 격자망 형태로 시각화하는데, 이때 특징점의 높이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지형을 표시하는데 요구되는 정보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제안한 방법은 사용자가 상호대화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윈도우 환경의 PC상에서 구현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실험결과는, 기존의 방법보다 적은 데이터양으로 3차원 지형을 시각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