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색배색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머신러닝과 KSCA를 활용한 디지털 사진의 색 분석 -한국 자연 풍경 낮과 밤 사진을 중심으로- (Color Analyses on Digital Photos Using Machine Learning and KSCA - Focusing on Korean Natural Daytime/nighttime Scenery -)

  • 권희은;구자준
    • 트랜스-
    • /
    • 제12권
    • /
    • pp.51-7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색채 계획을 통해 콘텐츠를 제작할 때 참고할 만한 색을 도출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대상이 된 이미지는 한국 내의 자연풍광을 다룬 사진들로 머신러닝을 활용해 낮과 밤이 어떤 색으로 표현되는지 알아보고, KSCA를 통해 색 빈도를 도출하여 두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낮과 밤 사진의 색을 머신러닝으로 구분한 결과, 51~100%로 구분했을 때, 낮의 색의 영역이 밤의 색보다 2.45배가량 더 많았다. 낮 class의 색은 white를 중심으로, 밤 class의 색은 black을 중심으로 명도에 따라 분포하였다. 낮 class 70%이상의 색이 647, 밤 class 70% 이상의 색이 252, 나머지(31-69%)가 101개로서 중간 영역의 색의 수는 적고 낮과 밤으로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낮과 밤 class의 색 분포 결과를 통해 명도로 구분되는 두 class의 경계 색채값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KSCA를 활용해 디지털 사진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밝은 낮 사진에서는 황색, 어두운 밤 사진에서는 청색 위주의 색이 표현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낮 사진 빈도에서는 상위 40%에 해당하는 색이 거의 무채색에 가까울 정도로 채도가 낮았다. 또 white & black에 가까운 색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 명도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밤 사진의 빈도를 보면 상위 50% 가량 되는 색이 명도 2(먼셀 기호)에 해당하는 어두운 색이다. 그에 비해 빈도 중위권(50~80%)의 명도는 상대적으로 조금 높고(명도 3-4), 하위 20%에서는 여러 색들의 명도차가 크다. 난색들은 빈도 하위 8% 이내에서 간헐적으로 볼 수 있었다. 배색띠를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남색을 위주로 조화로운 배색을 이루고 있었다. 본 연구의 색의 분포와 빈도의 결과값은 한국 내의 자연 풍경에 관한 디지털 디자인의 색채 계획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색 분포를 나눈 결과는 해당색이 특정 디자인의 주조색이나 배경색으로 사용될 경우에 두 class 중 어느 쪽에 더 가까운 색인지에 대해 참고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분석 이미지들을 몇 가지 class로 나눈다면, 각 class의 색 분포의 특성에 따라 분석 이미지에 사용되지 않은 색도 어느 class에 얼마큼 더 가까운 이미지인지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색체디자인을 위한 MCC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CC Development for Color Design)

  • 문은배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219-232
    • /
    • 2005
  • 현대인은 시각, 제품, 환경 디자인뿐 아니라 웹 콘텐츠, 애니메이션, 영상자료 등의 홍수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의 소비자는 그 어느 때 보다도 많은 선택권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디자인 결과물은 소비자에게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디자인의 발전과 더불어 색채를 통한 새로운 감성을 개발함으로써 소비자에게 한 발 더 가까이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감성을 창출하여 소비자에게 제안해야 한다. 본 MCC 팔레트는 디자인 할 떠 보다 정확한 감성을 적용하여 개인적인 편견을 없애고, 사용자에게 디자인 의도를 정확하게 호소하기 위한 것이다. MCC 팔레트는 한국적인 정거와 감성언어를 연구하고, 문헌적인 자료와 사진자료를 통해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형용사를 균등하게 배분하였으며, 배분된 형용사를 각각 감성의 분야별로 정리하여 체계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각각 형용사별로 3색, 4색 배색을 하고 이들의 결과를 색채 전문가와 디자이너에게 설문 및 자문을 통하여 팔레트를 구성하였다. 그 결과 보다 실용성이 높은 색채 팔레트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배색은 웹상의 www.mcdri.net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또한 winders로 프로그램 되어 CD-ROM형 소프트웨어로 개발하였다. 인구결과로 만들어진 MCC 팔레트는 감성 자료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개발 후 실질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각 매체별 색채오차 해소, 색채 배색의 검색을 통한 아이디어 개발, 사용층 및 사용대상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즉 산업체 활성화, 실무 사용자의 편의 도모, 디자인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보제공 등 산업계 및 교육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노인의 색지각적 특성을 고려한 유료 노인주거 실내공간의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 of Fee Charging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Elderly reflected in Color Perception Characteristic)

  • 송춘의;김문덕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47-256
    • /
    • 2007
  • 본 연구는 인간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이 노화되어 감으로서 노인의 시각 노화과정에서 보이는 시지각과 관련된 정보습득 및 해석상의 색지각을 통한 특징을 반영하여 노인의 주 생활환경인 유료 노인주거 시설의 실내 공용공간의 설계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시각과 70세와 80세 후반까지를 모의 수정체를 이용하여 각 세대별 시지각을 통한 색채의 오류판단을 파악하였다. 노화에 따른 노인의 황변화 및 색지각 특성을 바탕으로 실내 공용공간의 색채 설계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지 배색으로 유사조화 보다 대비조화를, 한색보다 난색계열을 사용함를 파악하였으며, 노인의 황변화에 따른 색지각 특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디지털 이미지 색채분석을 이용한 욕실공간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Harmony Scheme of the Bathroom Based On Digital Color Image Processing)

  • 정현원;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8호
    • /
    • pp.217-22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ent trend color of bathroom based on analysis result of digital color image processing, to analyze the emotional color of that, and to suggest the harmony color combination for the bathroom. It leads to the two final results. That is, the main color of bathroom image is recognized as three color classifications such as YR-Y, Y-GY, PB-P, 2) from the point of emotional aspect, the trend color of the bathroom can be classified into four image categories: 'modern', 'mild', 'elegant', 'natural'. Finally, under these categories, this paper propose 12 color harmony schema which can be applied to color in, especially bathroom Interior design.

국내 여성복 패선 이미지에 따른 배색 연구 (A Study of Color Combination based on Fashion Image of Domestic Women's Apparel)

  • 조주연;김영인
    • 복식
    • /
    • 제56권4호
    • /
    • pp.160-17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of color combination in fashion design. For this study 14,121 colo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16 fashion brands selected by the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brands have high market share and brand recognition in each segmental market. The color samples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and analyzed by the Munsell's H V/C and CIE $L^*a^*b^*$ value.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each market were selected concerning the tensity in CIE $L^*a^*b^*$ color spa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lor samples. h4 a result, 2,213 representative colors were chosen. These color samples composed top and bottom color combination samples by the program 'Item Comparator' that calculated the color differences$({\Delta}E^*)$. Top includes the items such as blouse, shirt, and coats, bottom includes the items such as skirt and pants. The color combination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one group ${\Delta}E^*$ was less than 30, and In the other group ${\Delta}E^*$ was 30 or more. For investigating the image of color combination, 480 rotor combination samples were classified. The image adjectives for the survey from preceding studies and brand dictionaries were 'classic', 'modern', 'feminine', 'casual', and 'romantic', which have highly preferred in women's wear brand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or 'classic' 'image, YR, and greyish tone were generally preferred. In the color combination of 'casual' image, the samples with PB color and greyish tone were preferred. For 'feminine' image, RP was preferred as a top color, R, RP, P were preferred as a bottom color. For 'casual' image, PB was preferred as a top color, PB, B were preferred as a bottom color. For 'romantic' image, RP was preferred as a top color, R, P were preferred as a bottom color. The bigger the color differences between the color combination samples were, the more remarkable the image of color combination samples was.

의복스타일과 색이 신체이미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othing Styles and Colors on a Body Image Perception)

  • 김효숙;최창석;이은실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35-14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lothing colors, clothing styles on women's body image percept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times}$2${\times}$9(perceiver's gender ${\times}$clothing styles${\times}$clothing colors) factorial design with between-subjects design. Subjects were 320 college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Perceiver's gender, clothing styles, and clothing colors g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3 variables of shoulder, the upper half of the body, and bust. Shoulder and the upper half of the body had an interaction effect by clothing styles and clothing color. Perceiver's gender g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hip size, length of leg, height, clothing styles did a significant influence on hip size, length of leg, height, and slender figure. Clothing colors g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ngth of leg, height, and slender figure. Length of leg and slender figure had an interaction effect by perceiver's gender and clothing styles. Hip size had an interaction effect by perceiver's gender and clothing color. Hip size had an interaction effect by clothing styles and clothing col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coloration of clothing and clothing style affects perception of stimulus persons wearing apparel.

흰색의 의미와 적용에 대한 기초 연구 (The Significance of the Chromatic Value of the Color White)

  • 박현주;나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93-201
    • /
    • 2010
  • 흰색은 조형적으로 활용 시 색으로써 중요한 요소 이며 시각언어로 활용되어 우리의 시각 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이며 동시에 정신적인 색채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흰색의 개념 및 동·서양시대에 따라 다른 흰색의 의미변화를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다. 과학적 지식인 색채학에서 흰색과 색으로 표현 할 수 있는 재료인 특정 흰색 안료도 함께 분석하고 동 서양화가들이 다루었던 흰색의 사용법과 표현법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시대에 따른 흰색의 의미와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시대나 문화에 따른 흰색의 표현과, 그것의 다양한 상징과 의미의 이해 확대는 흰색의 미묘한 다양성을 인지하고 동시에 효과적인 색채 배색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것은 다양한 조형 분야의 응용에 적용이 되며 특히 각기 다른 재질감을 갖는 흰색 섬유에 있어 시각적 효과를 다양하게 이용한 디자인으로 유도 될 수 있을 것이다.

한 중 일 의장 문화 비교 연구 - 궁궐전출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Korea, China and Japan)

  • 이현정;박영순;최지영;황정아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77-286
    • /
    • 2005
  • 새로운 문화 시대의 대두와 동아시아의 문화적 역할 증대는 한국문화의 위상과 정체성 확립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조형의 기본인 의장, 특히 색채와 재료, 문양을 중심으로 실제 조사를 통해 유사한 한중일 삼국 문화 속에서 공통성과 차별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한국 의장 군화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문헌조사와 현지 답사조사를 함께 진행하였으며 조사의 대상이 된 한중일의 궁궐은 창덕궁, 자금성, 니조성이다. 본 연구의 결과 파라된 한국 의장 문화의 정체성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의장 문화는 삼국 문화의 공통 기반을 이루는 자연 친화 사상, 조화론, 유교 문화를 기본으로 인본주의의 영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서 이는 중국에서의 중화사상, 일본의 집단주의적 특성과 차별화 되어 나타난다. 문화와 건축 위에 나타나는 한국의 의장은 자연 재료와 자연색 사용, 자연 모티브의 문양 등의 한중일 공통적 특성과 함께 재료에 있어 자연적 가공도가 높고 대체적으로 거친 질감을 살리고 있으며 색채 면에서도 따뜻하고 부드러운 색 변화, 유사배색으로 자연스러움을 추구하였다. 또한 한국의 문양은 부드럽고 도톰한 선을 사용하여 인간적인 소박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비해 중국의 의장은 재료의 가공도가 높고, 표면 질감이 매끈하며 색채는 매우 화려하고 사실적 표현의 장식을 주로 하는 특성을 지닌다. 일본은 재료의 가공도가 높으나 질감 면에서는 자연스러운 거친 질감이 많으며 색채는 차분하고 안정적이며 무채색, 중성색을 중심으로 유사배색을 즐긴다. 일본의 문양은 표현은 매우 추상화되고 양식화되어 있으나 세부 표현에서는 기교와 장식을 즐기는 이중적 성격을 띠고 있다.지 않은 요소임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는 예배공간의 종교적 숭고미와 관련되는 감성적 요구를 표현하는데 있어 디자이너의 주관적인 해석을 객관화, 정량화시켜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을 높이고 공간의 유형과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 디자인 접근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분석(conjoint analysis), (3) 상기의 2가지 접근방법의 상호보완적 및 동시적 결합 및 피드백의 주장(Pullman, Moore and Wardell, 2002)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결과에는 품질경쟁력이 제품 디자인과 고객만족사이에 교량적 역할을 담당한다. 이 분석결과는 제품 디자인에 대한 품질경쟁력의 2가지 접근방법(QFD의 접근방법과 컨조인트 분석)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이론적 기초가 될 수 있다. 즉, 제품디자인의 결정요인 분석결과는 QFD의 접근방법에, 제품 디자인 파급효과 분석결과는 컨조인트 분석에 각각 보완적 기여를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실증적 분석결과는 Ettlie(1997)의 디자인 통합(DI) 이론에 대한 실증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디자인 경영(DM)을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의 지원뿐만 아니라 부처 간 의사소통의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CFT(cross-functional team)를 운영함으로써 동시적 엔지니어링(CE) 및 제품 및 공정 디자인의 개발이 제품 개발의 속도를 가속화하고 디자인 품질을 높이며 시장 성공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임과 채팅은 긍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자메일 서비스 이용은 성적 만족과 부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지루하게 느끼거나 외로움을 느낄 때 전자메일을

  • PDF

한국도시여성의 얼굴색과 의복색과의 배색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ordination Image of Korean city woman's Face Color (5YR 7/3) and Clothes Colors)

  • 이정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8-180
    • /
    • 1995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how each clothes colors on the basis of 5YR 7/3 face color affect clothes colors images as follows : (1) what general consciousness of clothes colors in, (2) how the impression of the harmony of 5YR 7/3 face color and clothes colors is, (3) when we divide clothes colors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colors- chromatic color and achromatic color, cool color.neutral color.warm color, in tone, in color colume- if there is the difference of visual evaluation, (4) image analysis of 45 clothes colors with the view of each kind of adjectiv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the following: 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general consciousness on clothes colors, when subjects chose clothes, they most considered colors and they also considered their face colors. They would choose the color of clothes, which were becoming to their having clothes colors or their face colors when they bought clothes. 2. The impressions of coordination of 5YR 7/3 face color and clothes colors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 evaluation, activity and harmony. 3. It was known tha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isual evalutional differences according to dividing the clothes colors by property of colors, there were such notable differences that they might effect the coordination images of face color and clothes colors differently. 4. After arranging 45 clothes colors on the graphs in 17 adjectives, gethering them thogether in each dimension an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evaluation dimension, estimation of yellow, light green column were low and that of achromatic colors were high. That is, it was known that the evalution dimension was concerned with hue of the color properties. In activity dimension, there were different image according to each adjectives. That is, it was known that the evalution dimension was concerned with hue of the color properties. In activity dimension, there were different image according to each adjectives. That is, it was known that the activity demension was concerned with value and chroma of the color properties. In harmony dimension, achromatic columm was high and yellow, green yellow, vivid green columm were low in harmony. That is, it was known that the harmony demension was concerned with hue of the color properties.

  • PDF

현대 착용한복의 색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Color Changes of Hanbok in Modern Times)

  • 김찬주;홍나영;유혜경;이주현
    • 복식
    • /
    • 제59권2호
    • /
    • pp.59-69
    • /
    • 2009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Korean women's traditional costume, Hanbok,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in terms of color coordination of Jeogori and Chima. Photos had been taken at wedding places and streets at 5 major cities(Seoul, Pusan, Kwangju, Daejon, Jeju) at two weekends of each season in 1999, 2001, and 2003. Total 1617 photos were used as final data. Data were analyzed by hue coordination and value level. Hue coordination exist in one-color and two-color coordination. In one-color coordination, red color(R & RP)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blue green(BG) was the next, and the least was blue purple(BP) for each year. In value scale, high level was the most frequent and followed by middle level and low level. Pink was the most preferred color for one-color coordination. In two-color coordination, white and blue were widely used for Jeogori and red and blue far chima for each year, which seemed to be the basic color coordination for Jeogori and Chima. While there was a certain basic color coordination types across year, but a few new color coordination appeared each year and maintained as popular color coordination for one or two y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