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0.10.2.193

The Significance of the Chromatic Value of the Color White  

Park, Hyun-Joo (상명대학교 조형예술학부)
Ra, Jee-Young (상명대학교 조형예술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Being an element of plastic arts and a language of plastic forms, the color white has significant potentia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hysical environment. Colors are dealt with scientifically in chromatics, and also often become an interesting topic when analyzing a society and its history and culture. Thus, an in-depth study of the symbolism of color white and, of white pigment are required because the color has not only an important chromatic value and this should be understood a great deal, but also been the important symbol of a culture in a particular period. This paper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color white identified in Asian and Western cultures based on scientific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olor. This also analyzed a few major white pigments, then demonstrated different methods of using the pigments and various techniques of expression used by Asian and Western painters. In addition, the paper attempted to raise awareness of the color white as chromatic color over non-color by examining the contrasting viewpoints on the color, and the changes in the viewpoints over time and place.
Keywords
white; White Pigments; Applications; the Chromatic Valu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R. J. Gettens and G. L. Stout, Painting Materials : A Short Encyclopedia, Dover Publications, 1966.
2 에바헬러 저, 문은배 감수, 이영희 역, 색의 유혹 1, 예담, 2002.
3 이양섭, <조선시대 사용된 안료의 색 복원 연구>, 건국대학교 생활문화연구소 논집 Vol.20, 1998.
4 장은지, <회화에 사용된 백색 안료의 연구>, 용인대 예술대학원 문화재 보존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5 정종미, 우리 그림의 색과 칠, 학고재, 2001.
6 전창림, 미술관에 간 화학자, 랜덤하우스코리아, 2007.
7 지순임, 중국화론으로 본 회화미학, 미술문화, 2005.
8 John Gage, Color And Culture, Thames and Hudson Ltd. 1999.
9 Joy Richardson, Looking At Pictures, Harry N Abrams Inc, 2004.
10 파버 비렌 , 색채심리, 동국출판사, 2003.
11 프랑크 H만케 저, 최승희, 이명순 역, 색채, 환경 그리고 인간의 반응, 국제, 2002.
12 하용득, 한국의 전통 색과 색채심리, 명지사, 1997.
13 http://www.colorsystem.com/
14 http://www.color.org/
15 김지희, 정관채, 자연염색공예, kcpf, 2009.
16 나지영, <우리나라 색채의 상징성과 그 적용사례에 대한 연구>, 한국 기초 조형학회 Vol.9, No.2, 2008.
17 노무라 준이치 저, 김미지자 역, 색의 비밀, 국제, 2005.
18 데이비드바츨러 저, 김융희 역, 색깔이야기, 아침이슬, 2002.
19 동병종 저, 김연주 역, 서법회화, 미술문화, 2005.
20 만리오 브루자틴, 색 역사와 이론을 중심으로, 미진사, 1996.
21 문은배, 색채의 이해, 국제, 2002.
22 문은배, 색채의 활용, 국제, 2002.
23 박연선 저, 국립 국어원 감수, COLOR 색채 용어사전, 예림, 2007.
24 신항식, 색채와 문화 그리고 상상력, 프로네시스, 2007.
25 박은주 편저, 색채조형의 기초, 미진사, 2001.
26 사라 E 브래독, Techno Textile, 예경,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