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3,5,6-Tetramethylpyrazin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4초

FULL NON-RIGID GROUP OF 2,3,5,6-TETRAMETHYLEPYRAZINE AS WREATH PRODUCT AND ITS SYMMETRY

  • Arezoomand, Majid;Taeri, Bija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7권3_4호
    • /
    • pp.915-931
    • /
    • 2009
  • The non-rigid molecule group theory in which the dynamical symmetry operations are defined as physical operations is applied to deduce the character table of the full non-rigid molecule group (f-NRG) of 2,3,5,6-Tetramethylpyrazine The f-NRG of this molecule is seen to be isomorphic to the group $\mathbb{Z}_3{\wr}(\mathbb{Z}_2{\times}\mathbb{Z}_2)$, where $\mathbb{Z}_n$ is the cyclic group of order n, of order 324 which has 45 conjugacy classes. We determine the some properties and relations between characters of the group. Also, we examine the symmetry group of this molecule and show that its symmetry group is $\mathbb{Z}_2{\times}\mathbb{Z}_2$.

  • PDF

Koji를 이용한 멸치젓 숙성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Low-Salt-Fermented Anchovy Paste by Adding Koji)

  • Yong-Jun Cha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81-489
    • /
    • 1994
  • Koji를 첨가한 저식염 멸치젖의 숙성 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대조구와 분석 비교하였다. 총 106개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이 중에서 79개의 화합물은 표준품으로 확인 동정되었다. 이들은 주로 alde-hyde, ketone, alcohol, ester, aromatic hydrocarbon, furan 및 nitrogen-containing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숙성 중 두시료에서 aldehyde 및 ester류의 화합물의 종류와 함량이 가장 많았다. 특히 koji를 첨가한 멸치젓에서는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2,6-dimethylpyrazine, 2-ethyl-6-methylpyrazine, trimethylpyrazine, 2-ethyl-3,5-dimethylpyrazine 및 tetramethylpyrazine 2-phenylethanol도 검출되었다.

  • PDF

보리등겨로 제조한 메주의 향기성분 (Flavor Components of Barley Meju manufactured with barley bran)

  • 최웅규;손동화;권오준;이은정;곽동주;권오진;정영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3호
    • /
    • pp.196-201
    • /
    • 2000
  • 시금장 대량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보리메주의 발효기간에 따른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pH는 발효기간에 따라서 pH $5.2{\sim}5.6$로 별차이가 없었다. L값과 b값은 발효기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였으며, a값은 발효 5일째까지는 점차 증가 하였으며 15일차이후에는 점차 감소하였다. 보리메주에서 분리 동정된 향기성분은 총 75종이었다. 관능기별로는 aldehyde와 ketone류가 각각 10종이 동정되어 다수를 차지하였고, acid와 phenol류가 각각 9종, alcohol류와 hydrocarbon류가 7종, ester류는 6종, pyrazine류는 3종, 질소함유화합물과 furan류가 각각 2종, 그리고 기타 11종이 동정되었다. 함량별로는 ethyl acetate가 $67.8{\sim}89.1%$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으며, hexadecanoic acid($1.21{\sim}12.00%)$, tetramethylpyrazine($0.06{\sim}12.30%$) 등의 순으로 많았다.

  • PDF

반응향을 적용한 게향미제 Base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a Crab-like Flavoring Base Made Using Reaction Flavor Technology)

  • 안준석;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02-109
    • /
    • 2014
  • 4개의 아미노산류(proline 0.29 g, glycine 0.63 g, arginine 0.61 g, methionine 0.02 g)와 과당(fructose 1.07 g)을 홍게 농축자숙액(100 mL, 20oBrix)에 넣고 반응향(reaction flavor)을 유도한 게 향미제 base(CFB)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총 74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원료에서는 30개의 화합물이, 대조구에서는 34개, CFB에서는 55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반응향 유도 가열반응에 의해 많은 휘발성 화합물이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룹별로 보면 함질소화합물(19종의 pyrazine류, 4종의 pyridine류)이 반응향 유도를 통하여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대조구에 비해 27배 이상의 함량 증가가 있었다. 함황화합물류(7종)에서는 dimethyl trisulfide 및 dimethyl disulfide 등 2종의 화합물이 전체 함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반응을 통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방향족화합물의 종류와 함량은 원료(12종) 및 대조구(3종)에서 반응향 반응을 통하여 CFB(3종)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Pearson's 상관분석 결과 tetramethylpyrazine, 2-ethyl-3,5,6-trimethylpyrazine 2,3,5-trimethyl-6-(3-methyl butyl) pyrazine, 2-ethyl-3,5-dimethylpyrazine, 2,5-dimethyl-3-(3-methylbutyl)pyrazine, 2-ethyl-3,6-dimethylpyrazine 및 2-decanone 등 7종의 화합물이 CFB의 관능적 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Quantitative Analysis of Alkylpyrazines in Snow Crab Cooker Effluents

  • Cha, Yong-Jun;Baek, Hyung-He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54-458
    • /
    • 1995
  • Alkylpyrazines in snow crab cooker effluent(SCCE) and effluent concentrate(EC)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nd compar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DE/GC/MS). A total of 11 pyrazines were identified in both SCCE and EC. Amounts of tetramethylpyrazine, 2,5-dimethylpyrazine, trimethylpyrazine, and 2,6-dimethylpyrazine were 23.0, 21.1, 13.8, and 13.3 times higher, respectively, in EC than those in SCCE. The total amount of pyrzines in EC (1664.0${\pm}$171.1ng/g) was 8.1 times higher than that in SCCE(204.5${\pm}$32.2). The compounds, ethylpyrazine and 2-ethyl-3,6-dimethylpyrazine, were only detected in EC.

  • PDF

오만둥이 된장찌개의 Aroma-active 화합물 (Aroma-Active Compounds in Omandungi (Styela plicata)-Doenjang (Soybean Paste) Stew)

  • 정은정;조우진;차용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14-418
    • /
    • 2008
  • Volatile compounds in Omangdungi (Styela plicata)-Doenjang (soybean paste) stew were analyzed using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gas chromatography/mass-selective detection/olfactometry (SAFE/GC/MSD/O)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AEDA). The GC/O analysis detected 37 volatile compounds, of which 32 were positively identified, and included 9 aldehydes, 5 alcohols, 4 aromatic hydrocarbons, 4 ketones, 3 esters, 3 N-containing compounds, 2 acids, 1 S-containing compound, and 1 furan. Nine aroma-active odorants ($\log_3FD{\geq}3.0$) in the sample included six compounds derived from Doenjang (3-methyl(thio)propanal, tetramethylpyrazine, 4-vinyl-2-methoxyphenol, 2-acetylpyrrole, butyric acid, and 2-methoxyphenol) and three compounds from Omangdungi (2-acetyl-2-thiazoline, 9-decanol, and 6-decenol). Three compounds derived from Omangdungi (9-decanol, 6-decenol, and 6-nonenol) were thought to enhance the seafood-like flavor of Omangdungi-Doenjang stew.

재래식 메주 및 된장의 향기성분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Meju and Doenjang)

  • 김경업;김미혜;최병대;김태수;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57-565
    • /
    • 1992
  • 재래식 메주 및 된장의 발효숙성중 생성되는 향기성분을 분석하기위하여 Nickerson 형의 연속증류추출장치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중성, 염기성, 페놀성 및 산성 분획분으로 분획하여 판넬 시험의 결과 중성 분획분에서는 구수한 냄새가 염기성 분획부네서는 자극취와 볶은콩냄새, phenol성 분확분에서는 의약품냄새 그리고 산성 분획분에서는 산패취가 나타났다. 각 분획분의 성분을 GC-MS로 분석 동정된 향기화합물은 peak 면적 %로 나타내었다. 중성 분획분에서 64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삶은 콩에서는 pentanal, hexanal 및 1-octene-3-ol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메주에서는 3-methylbutanal과 1-butanol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숙성전 된장에서는 메주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Acetic acid ethylester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숙성후 된장의 주된 휘발성 화합물은 3-methyl-1-butanol, 2-furancarboxyaldehyde, 1-octen-3-ol, benzeneacetaldehyde, methyloctadecadienoate 및 methyloctadecenoate 등이었다. 염기성 분획분에서 동정된 11종의 화합물중에서 2,6-dimethylpyrazine, trimethylpyrazine 및 tetramethylpyrazine 등이 메주와 된장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henol성 분획분에서 9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phenol과 p-ethylguaiacol의 함량은 삶은 콩에서 나타났고 메주와 된장에서는 4-vinylphenol과 p-ethyl-guaiacol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산성 분획분에서 동정된 15종의 화합물중에서 ethanoic acid와 hexanoic acid는 모든 시료에서 propanoic acid와 pentanoic acid는 삶은 콩과 메주에서만 동정되었으며 숙성후의 된장에서는 다른 시료에서 동정되지 않았던 10개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특히 pentadecano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Starter Candidates and NaCl on the Production of Volatile Compounds during Soybean Fermentation

  • Jeong, Do-Won;Lee, Hyundong;Jeong, Keuncheol;Kim, Cheong-Tae;Shim, Sun-Taek;Lee, Jo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91-199
    • /
    • 2019
  • We inoculated different combinations of three starter candidates, Bacillus licheniformis, Staphylococcus succinus, and Tetragenococcus halophilus, into sterilized soybeans to predict their contributions to volatile compound production through soybean fermentation. Simultaneously, we added NaCl to soybean cultures to evaluate its effect on the volatile compounds profile. Cells in soybean cultures (1.5% NaCl) nearly reached their maximum growth in a day of incubation, while cell growth was delayed by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s in soybean cultures. The dominance of B. licheniformis and S. succinus in the mixed cultures of three starter candidates switched to T. halophilus as the NaCl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1.5% to 14% (w/w). Seventeen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from the control and starter candidate-inoculated soybean cultures with and without the addition of NaC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se volatile compounds concluded that B. licheniformis and S. succinus made major contributions to producing a specific volatile compound profile from soybean cultures where both species exhibited good growth. 3-Hydroxybutan-2-one, butane-2,3-diol, and 2,3,5,6-tetramethylpyrazine are specific odor notes for B. licheniformis, and 3-methylbutyl acetate and 2-phenylethanol are specific for S. succinus. Octan-3-one and 3-methylbutan-1-ol were shown to be decisive volatile compounds for determining the involvement of S. succinus in the soybean culture containing 7% NaCl. 3-Methylbutyl acetate and 3-methylbutan-1-ol were also produced by T. halophilus during soybean fermentation at an appropriate level of NaCl. Although S. succinus and T. halophilus exhibited growth on the soybean cultures containing 14% NaCl, species-specific volatile compounds determin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volatile compounds profile were not produced.

부재료 첨가에 따른 별미장의 향기특성 (Aroma Characteristics of Byeolmijang with Optional Ingredients)

  • 우관식;한서영;윤향식;이준수;정헌상;김행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38-746
    • /
    • 2006
  • 생황장에 양파를 첨가하였을 때와 무장과 비지장에 표고버섯을 첨가하였을 때, 그리고 찌금장에 다시마를 첨가하였을 때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여 분석 동정하였다. 생황장은 furfural, benzeneacetaldehyde, n-hexadecanoic acid 등이 많이 검출되었고 양파 첨가구에서 1-hexanol, 2,5-dimethylthiophene은 숙성 4일 후에 각각 0.07, 0.11 ppm이 검출되었다. 생황장은 발효 4일된 시료에서 향기성분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n-hexadecanoic acid의 경우 발효 4일된 시료는 발효초기 함량보다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무장에서의 1H-indole과 phenol은 발효초기에는 대조구에서 각각 130.02, 85.38 ppm이었고, 6일째에는 각각 129.68, 95.99 ppm이었다. 표고버섯 첨가 시 1H-indole은 각각 121.90 ppm에서 114.44 ppm으로, phenol은 각각 87.48 ppm에서 75.64 ppm으로 감소하였다. 3-Allyl-6-methoxyphenol, ${\gamma}-dodecalactone$ 등은 대조구에서 검출이 되었으며, 1,2,4-trithiolane, 2-buthyl-2-octenal은 표고버섯 첨가구에서 검출되었다. 비지장에서는 2,4-decadienal이 대조구는 발효초기에는 2.76 ppm, 발효 1일에는 6.46 ppm, 2일에는 5.02 ppm이 검출되었고 표고버섯 첨가구는 발효초기에는 2.92 ppm, 발효 1일에는 3.84 ppm, 2일에는 3.60 ppm이 검출되어 표고버섯 첨가시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urfural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1,2,4-trithiolane과 lenthionine은 표고버섯 첨가한 시료에서만 검출되었다. 찌금장은 tetramethylpyrazine, hexadecanal, tetradecanoic acid methyl ester, n-hexadecanoic acid, linoleic acid dthyl ester 등이 검출되었고 발효가 진행되어도 이들 성분의 변화는 적었지만, linoleic acid ethyl ester는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부재료를 첨가하였을 경우에 장 특유의 이취로 알려진 pyrazine류나 hexadecanoic acid 등의 지방산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된장 koji 및 그 혼합에 따른 된장 숙성 과정중의 화학성분 변화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in fermented Doenjang depend on Doenjang koji and its mixture)

  • 주현규;김동현;오균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51-360
    • /
    • 1992
  • 개량식과 재래식 된장의 기호와 향기의 단점을 제거하구 장점을 보완 유지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당화력이 우수한 Aspergillus oryzae koji, Rh. delemar koji 및 재래메주의 배합을 달리하여 된장을 담그고, 된장 koji의 효소활성변화, 된장 숙성과정 중의 화학성분 변화 및 향기성분 분석 그리고 관능검사 등을 실시하여 적정 배합비율과 숙성 정도를 검토하였다. ${\alpha},\;{\beta}-Amylase$ 활성도는 Asp. oryzae koji가 각각 312, $235\;{\mu}g/ml$이고 Rh. delemar koji는 각각 16, 38 mg/ml이었다. 총 질소는 숙성과정 중 처음과 거의 같은 양이 유지되었고, 아미노테 질소함량은 Asp. oryzae+Rh. delemar koji Doenjang(D구), Asp. oryzae koji Doenjang(A구) 그리고 Asp. oryzae koji+Rh. delemar koji Doenjang(C구) 시험구가 숙성 40일에 각각 460, 444, 426gm%로 가장 많았고 Rh. delemar koji의 단용된장은 196mg%로 적었다. 총당은 숙성과정중 모두 점차 감소하였고, 환원당 함량도 숙성 20일까지는 증가하였다가 숙성 30일부터는 감소하였으며, 알콜함량은 Rh. delemar koji 단용된장인 Rh. delemar koji Doenjang(G구) 시험구가 3.42%로 가장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citrate, malate, lactate, succinate acetate가 검출되었으며, 그중 Rh. delemar koji 단용된장에서 acetic 함량(171.6mg/g)이 가장 높았다. 향기 성분은 8종의 물질이 분리되었으며, 그중 주성분은 tetramethylpyrazine, 4-pyran-4one-3hydroxy-2methyl, 1-octen-3-ol로 전체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었다. 숙성 40일된 된장의 맛, 향, 색에 대한 관능검사 성적은 Asp. oryzae+Rh. delemar koji Doenjang(A구)와 Asp. oryzae koji Doenjang(B구) 시험구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중 Asp. orzae+Rh. delemar koji Doenjang(C구) 시험구가 양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