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st quantil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의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 - 분위수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Intergenerational economic mobility in Korea using a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 ;정기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4호
    • /
    • pp.715-725
    • /
    • 2014
  • 본 연구는 분위수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의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을 분석한다. 분석에는 1998년부터 2008년까지의 한국노동패널조사 (KLIPS) 자료가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1) 부모 소득영향력은 자녀소득의 조건부분포의 하위 분위수에서는 상대적으로 작고 상위 분위수로 갈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녀소득 분포의 상위분위수로 갈수록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은 떨어지며 가구별 경제적 신분이 세대에 걸쳐 고착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2) 한편 교육효과를 제어하면 이러한 부모 소득 영향력은 감소하였다. (3) 대학교육 효과는 소득분포의 상위 분위수로 갈수록 더 높아져서 자녀의 대학교육이 세대 간에 소득이 이전되는 중요한 통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4) 마지막으로 분위수회귀분석결과로부터 자녀소득의 조건부분포를 비모수적으로 추정하고 추정된 곡선 그림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시각적 특징들을 도출하였다.

주관적 기대가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축적에 미치는 효과 (Retirement-related Subjective Expectations and the Capital Accumulation of the Korean Baby-boom Generation)

  • 이윤수;우석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855-87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미래 사건에 대한 주관적 기대가 자산축적에 미친 효과를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을 통해 살펴보았다. 한국고령화패널 1, 2차년도(2006, 2008년) 자료를 이용하여 자산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학력, 성별, 자녀수는 어떤 분위에서도 유의한 결정요인이었다. 특히, 학력과 자녀수는 상위 분위로 갈수록 총자산의 격차를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미래 사건에 대한 주관적 기대의 경우, 증여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좀 더 긴 수명을 기대할수록, 베이비붐 세대는 좀 더 많은 자산축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노후 생활에 대한 국가의 보장 정도가 개인의 자산축적을 구축하는 정도는 총자산 하위 분위 보다는 상위 분위에서 증가하였으며, 상위 분위의 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국내 가구의 전력소비 수준에 따른 특성 및 결정요인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for Different Levels of Electricity Use in Korea)

  • 김용래;김민정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7호
    • /
    • pp.1025-1031
    • /
    • 2017
  • This study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for low electricity consuming and high electricity consuming households. The data are drawn from a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sample survey by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in 2015. The results show th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dwelling, and electricit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wo households. Next, the factors affecting the household's electricity consumption are investigated. Common factor affecting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unction is only the number of electrical appliances. There are also the differences in major determinants of the household's electricity consumption functions for two househ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understanding socio-demographic, dwelling, and electricit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low electricity consuming and high electricity consuming households.

강우의 시간분포를 고려한 CN값 산정 (SCS Curve Number and temporal Variation of Rainfall)

  • 조홍제;이태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183-193
    • /
    • 2003
  • 강우의 지속시간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AMC조건과 강우의 시간분포인(1차, 2차, 3차, 4차 모멘트)가 유출에 미치는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강우를 10분위로 고려하는 경우, CN은 AMCIII조건에서 1차 및 2차 모멘트와 상관성을 보였으나 그 외의 조건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또한 첨두유출비(QP/Q)는 AMC I조건에서 3차 및 4차 모멘트와 상관성을 보였으며, AMCIII조건에서는 1차 및 2차 모멘트와 상관성을 보였다. 강우의 전체 지속시간을 고려하는 경우, CN은 AMC I조건에서 모든 시간분포인자와 상관성을 보였으나 AMCIII조건에서는 1차 및 2차 시간분포인자와 상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첨두유출비(QP/Q)는 AMC I조건에서 3차 및 4차 시간분포인자와 상관성을 보였으나 그 외의 조건에서는 거의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CN 산정을 위해 강우의 시간분포와 제시된 시간분포인자를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원/달러 환율 투자 손실률에 대한 극단분위수 추정 (Extreme Quantile Estimation of Losses in KRW/USD Exchange Rate)

  • 윤석훈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6권5호
    • /
    • pp.803-812
    • /
    • 2009
  • 금융자료에 극단값이론을 적용하는 것은 위험관리에서 중요한 최신 통계기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극단값분석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 오던 연간 최대값방법은 시계열자료의 연간 최대값들에 대하여 일반화 극단값분포를 적합시키는 것이고, 최근 대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분계점 방법은 시계열자료 중 충분히 큰 하나의 분계점을 넘어서는 초과값들에 대하여 일반화파레토분포를 적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실질적인 방법은 분계점을 넘어서는 초과값들을 하나의 점과정으로 해석하는 것인데, 즉 초과값들의 초과시점과 초과여분을 점근적으로 비동질 포아송과정을 갖는 하나의 2차원 점과정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2차원 비동질 포아송과정 모형을 1982.1.4부터 2008.12.31까지 수집된 원/달러 환율 시계열자료로부터 계산된 일별 환율투자손실률, 즉 일별 로그 손실률에 적용한다. 여기서 주된 관심은 10년 혹은 50년에 한번 정도 발생하는 대형 손실률 수준과 같은 극단분위수를 어떻게 추정하느냐 하는 것이다.

농업생산 양극화 추이에 대한 연구 (An Analysis Regarding Trends of Dualism in Korean Agriculture)

  • 성재훈;우성휘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6호
    • /
    • pp.87-95
    • /
    • 2017
  • Purpose - The structural changes of Korean agriculture are complex due to heterogeneous production processes and farms' features. This study analyzed trends of dualism in Korean agriculture over the period 2000-15 based on farm-level data to clarify the specific trends of dualism in terms of farm income, farm-size, and farm operators' ag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structural changes in Korean agriculture more profoundl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incorporated farm-level data in South Korea: Agricultural census and Farm household economy survey. As measures of inequality, we used size-weighted quantiles, and normalized Gini coefficients as well as mean and conventional quantiles. The size-weighted quantiles are more robust to changes in the number of small farms, but they are more sensitive to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farm-size. Thus, they would be more useful to identify trends of dualism of Korean agriculture.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the farmland distribution of crop farms became more skewed and dispersed. However, the herd distribution of livestock farms became more concentrated. To be specific, their mean and 1st quantile increases more rapidly than their size-weighted 2nd quantile and size-weighted 3rd quantile. Gini coefficients of livestock farms regarding their herd distribution decreased by 0.1 on average. In the case of income distribu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larization regarding farm household/agricultural/non-agricultural income became more severe. However, we also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transfer income became concentrated continuously. The results imply that transfer income including subsidies would decrease farm income polarization. Lastly, during the study periods, Korean farms were aging over time, and age distribution of them more concentrated. Conclusions - The structure of Korean agriculture has been changing, even though the absolute size of it decreased over time. Land (herd) distribution became more dispersed (concentrated). Inequality regarding agricultural income became more severe, and it made farm household income more polarized even though transfer income would decrease income gaps among farms. Lastly, farms continue to age regardless of farm types and this might affect the structural changes in Korean agriculture in the future.

농업분야 활용을 위한 한반도 1km 격자형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 (SSP Climate Change Scenarios with 1km Resolution Over Korean Peninsula for Agricultural Uses)

  • 허지나;조재필;조세라;심교문;김용석;강민구;오찬성;서승범;김응섭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0
    • /
    • 2024
  • 국제사회는 IPCC를 중심으로 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새로운 온실가스 변화 경로로 채택하고, 신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으로 다양한 규모와 형태로 기후변화를 전망하고 분석하고 있다. 국립농업과학원은 이러한 국제적 동향을 반영하고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대책 지원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신규 온실가스 경로에 기반한 한반도 상세(1km)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하였다. 본 논문은 2022년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로 인증받은 국립농업과학원의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소개하고, 기후변화 전망 결과를 보여주고자 한다. 한반도의 미래 기후 변화에 대한 전망 정보를 생산하기 위해 CMIP6에 참여한 18개의 GCM 모형에서 생산된 전지구 규모의 기후 자료를 과거기간(1985-2014)과 미래기간(2015-2100)에 대해 수집하고, 1km 격자형 한반도 전자기후도와 SQM 방법을 이용하여 한반도 영역에 대해 통계적 상세화를 수행하였다. 21세기 후반기(2071~2100년), 한반도의 연평균 최고, 최저기온은 온실가스 배출 정도에 따라 각각 2.6~6.1 ℃, 2.5~6.3 ℃ 상승하고, 연강수량은 21.5~38.7 %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저탄소 시나리오(SSP1-2.6)의 경우 기온과 강수량 상승이 적게 나타나, 탄소 배출을 감축하는 경우에 상승 폭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21세기 후반기의 우리나라 평균 풍속과 일사량은 상대적으로 현재 대비 미래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자료는 기후변화에 따를 미래의 불확실성을 이해하고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