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p and 19q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6초

Natural Compounds as Inhibitors of Plasmodium Falciparum Enoyl-acyl Carrier Protein Reductase (PfENR): An In silico Study

  • Narayanaswamy, Radhakrishnan;Wai, Lam Kok;Ismail, Intan Safinar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6
    • /
    • 2017
  • Demand for a new anti-malarial drug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in the recent years. Plasmodium falciparum enoyl-acyl carrier protein reductase (PfENR) plays a vital role in fatty acid elongation process, which now emerged as a new important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and anti-parasitic molecules. In the present study, 19 compounds namely alginic acid, atropine, chlorogenic acid, chrotacumine A & B, coenzyme $Q_1$, 4-coumaric acid, curcumin, ellagic acid, embelin, 5-O-methyl embelin, eugenyl glucoside, glabridin, hyoscyamine, nordihydroguaiaretic acid, rohitukine, scopolamine, tlatlancuayin and ursolic acid were evaluated on their docking behaviour on P. falciparum enoyl-acyl carrier protein reductase (PfENR) using Auto dock 4.2. The docking studies and binding free energy calculations exhibited that glabridin gave the highest binding energy (-8.07 kcal/mol) and 4-coumaric acid in contrast showed the least binding energy (-4.83 kcal/mol). All ligands except alginic acid, ellagic acid, hyoscyamine and glabridin interacted with Gln409 amino acid residue. Interestingly four ligands namely coenzyme $Q_1$, 4-coumaric acid, embelin and 5-O-methyl embelin interacted with Gln409 amino acid residue present in both chains (A & B) of PfENR protein. Thus, the results of this present study exhibited the potential of these 19 ligands as P. falciparum enoyl-acyl carrier protein reductase (PfENR) inhibitory agents and also as anti-malarial agents.

건강한 성인에서 대뇌 백질 변성과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White Matter Changes and Homocysteine Concentration in Healthy Adults)

  • 허욱;강현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49-455
    • /
    • 2018
  • 본 연구는 뇌졸중, 치매 병력이 없는 50-75세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뇌 CT를 통해 대뇌 백질 변성과 뇌혈관 위험인자들이 상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6년과 2017년에 일개 병원에서 건강 검진을 받은 900명 중 72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SPPS를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독립표본 t검정,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뇌 백질 변성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 대상자 특성을 확인하였는데, 대뇌 백질 변성이 있는 군이 없는 군보다 평균 연령과 고혈압, 당뇨 유병률이 높았고, 교육 기간은 짧았으며,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높았다. 대뇌 백질 변성이 있는 군에서는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백질 변성군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증가했다.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4분위하여 가장 낮은 집단(Q1)을 기준으로 상대적 위험도를 비교하였을 때, 나이[p<0.001], 고혈압[p<0.001], 고호모시스테인혈증(Q4)[p=0.021]이 대뇌 백질 변성의 위험인자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건강한 사람에게서 고혈압, 고호모시스테인혈증과 같은 대뇌 백질 변성의 조절 가능한 위험 인자를 확인했다는데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의 일으키는 원인별 위험성에 대한 보고가 없고, 고호모시스테인혈증과 대뇌 백질 변성에 대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알려지지 않아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용현자연휴양림 일대의 산림군락분류와 식생구조 (Forest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in National Yonghyeon Natural Recreation Forest)

  • 신재권;변준기;윤충원;구본열;김한결;김인식;김동갑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0-229
    • /
    • 2017
  • 본 연구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의 식생조사를 통하여 산림의 군락분류와 식생구조를 연구하였다. 2014년 4월부터 9월까지 약 26개의 방형구($20{\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고로쇠나무군락의 3개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은 소나무군과 전형군, 고소뢰나무군락은 회나무군과 전형군의 4개 군으로 세분되었다. 국립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식생유형은 3개 군락 4개군의 분류체계를 가졌으며, 총 5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식생단위별 중요치 분석을 보면 교목 및 관목의 목본식물에서 식생단위 1은 소나무(65.1%), 식생단위 2는 신갈나무(73.6%), 식생단위 3은 굴참나무(75.1%), 식생단위 4는 회나무(33.3%), 식생단위 5는 비목나무(21.7%)가 높게 나왔으며, 초본층에서 식생단위 1은 주름조개풀(19.3%), 식생단위 2는 실새풀(16.9%), 식생단위 3은 땅비싸리(17.3%), 식생단위 4와 5는 개별꽃이 각각 14.8%, 24.7%로 높게 나왔다. 지표종 분석결과 총 33종이 유의한 종으로 분석되었다(p<0.05).

백운산의 삼림식생과 토양환경 (Forest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on Mt. Paekun)

  • 이호준;배병호;정흥락;전영문;홍문표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35-50
    • /
    • 1999
  • 백운산의 삼림식생과 토양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조사방법에 의하여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각 군락의 구조적 특성을 밝혔으며, 토양환경을 조사하였다. 삼림식생은 신갈나무군락(전형 하위군락, 철쭉꽃하위군락), 굴참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등 4개의 자연군락과 일본잎갈나무식재림, 잣나무식재림 등 2개의 식재림으로 분류되었다. 식생의 계층구조는 매우 발달한 편으로 신갈 나무군락은 백운산의 거의 전역에 걸쳐 표고 500m이상부터 분포하고, 굴참나무군락은 주로 남동-남서 사면의 고도 325~700 m, 소나무군락은 표고 290~700 m, 물푸레나무군락은 표고 600 m 이상의 계곡 주연부에 주로 분포하였다. DBH분포는 신갈나무가 6~10cm급, 굴참나무가 11~15cm급, 소나무가 26~30 cm급, 물푸레나무가 2~5 cm급, 일본잎갈나무가 11~15 cm급, 잣나무가 11~15 cm급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토양환경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으며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의 토양함수량은 17.81~51.20%, 16.24~25.41%, 16.17%, 19.16~39.26%로 각각 나타나 신갈나무군락의 토양함수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신갈나무군락의 유기물함량은 5.51~14.90%로 다른 군락보다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N, P, K에서도 유사하였으나 Ca, Mg, CEC는 다른 군락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며, 양이온치환능과 pH는 $Y_{CEC}$=15.855X$_{ph}$ -56.037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백운산의 대부분의 면적을 점유하고 있는 신갈나무림은 2차림으로써 인위적인 방해로부터 점차 식생이 회복되고 있으며 소나무림-굴참나무림-신갈나무림으로의 천이경로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장균과 Serratia marcescens에서 Serratia marcescens Metalloprotease(SMP)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Serratia marcescens Metalloprotease(SMP)Gene in Escherichia coli and Serratia marcescens)

  • 김기석;정재연;박군식;김태운;변시명;신용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88-296
    • /
    • 1995
  • To investigate high-level expression of Serratia marcescens metalloprotease (SMP) in Escherichia coli and S. marcescens, we constructed various recombinant plasmids: pSP2, containing SMP gene and lac promoter; pKSP2, containing SMP gene and tac promoter; pTSP2, containing SMP gene, trc99a promoter, and lacI$^{q}$. The recombinant E. coli (pKSP2) strain expressed SMP to a high-level, about 36% of total cellular proteins but accumulated inactive SMP precursors intracellularly, which indicated that E. coli does not have activation and secretion system for SMP. To overproduce active SMP, we transformed S. marcescens with the recombinant plasmids by a modified CaCl$_{2}$ method. The recombinant S. marcescens ATCC27117 (pSP2) containing lac promoter for SMP transcription produced 530 U/ml of active SMP on LB broth, which is about 5.1 times of the SMP yield, 105 U/ml of a control strain, S. marcescens ATCC27117 (pUC19). However, S. marcescens ATCC27117 (pKSP2) containing tac promoter for SMP transcription did not grow healthy and hardly produced SMP. To overcome a harmful effect of the strong tac promoter, we constructed a regulatory plasmid pTSP2 containing a strong trc99a promoter and its repressor gene lacI$^{q}$. When S. marcescens ATCC27117 (pTSP2) was induced with 1.0 mM IPTG after 9 hr cultivation, 2,200 U/ml of SMP was obtained in LB broth, which is about 21 times of that of a control strain.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Thiamine Intake and Long Sleep Duration: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Dongkyu, Lee;Kwanghyun, Kim;Youngrong, Lee;Kyungwon, Oh;Sun Jae, J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6호
    • /
    • pp.520-528
    • /
    • 2022
  • Objectives: Thiamine is thought to modify sleeping patterns, while alcohol use diminishes internal thiamine levels.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iamine intake and sleep duration and explored possible heterogeneity in the effect according to alcohol use. Methods: In total, 15 384 participants aged 19-64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2-2016. Nutrient intake, including thiamine, was measured using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leep duration was measured b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highest thiamine intake quartile was set as the reference group.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7-8 hours of daily sleep as a reference group and those who slept more or less than that as "oversleeping" and "insufficient sleeping," respectivel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adjusting for socioeconomic, medical, and nutritional factors. Additionally, participants were stratified according to high-risk alcohol use defin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tandards on alcohol use. Results: Low thiamine intake was associated with oversleeping (Q3: odds ratio [OR], 1.06; 95% confidence interval [CI], 0.86 to 1.32; Q2: OR, 1.24; 95% CI, 0.99 to 1.55; Q1: OR, 1.49; 95% CI, 1.16 to 1.91) and showed a significant trend for higher ORs at lower intake levels (p-trend<0.001). The effect was stronger in the high-risk alcohol use group (Q1: OR, 1.78; 95% CI, 1.28 to 2.49). Conclusions: Low thiamine intake was associated with oversleeping, and alcohol use intensified that association. These results were found in a context where overt clinical symptoms due to thiamine deficiency are considered rare. More awareness of the potential relationship of thiamine intake with oversleeping and its related risks should be considered.

교목류 뿌리의 비탈면 안정효과 분석 - 뿌리의 인장강도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Slope Stability Effect of Arbors' Roots - On Tensile Strength of the Roots -)

  • 오재헌;황진성;차두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36
    • /
    • 2011
  • 본 연구는 사면안정해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잣나무, 낙엽송, 소나무, 신갈나무, 오리나무를 대상으로 교목류 뿌리의 인장력 및 인장강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장력은 대부분 뿌리 직경의 거듭제곱의 형태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뿌리의 평균 인장강도는 잣나무 $165.38kgf/cm^2$, 낙엽송 $172.78kgf/cm^2$, 소나무 $176.25kgf/cm^2$, 오리나무 $214.29kgf/cm^2$, 신갈나무 $224.19kgf/cm^2$로 나타났으며, 뿌리의 직경이 커질수록 인장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측정 분석된 인장강도를 기초자료로 토양의 전단강도 증가값을 산출한 결과 잣나무 $0.099kgf/cm^2$, 낙엽송 $0.104kgf/cm^2$, 소나무 $0.106kgf/cm^2$, 오리나무 $0.129kgf/cm^2$, 신갈나무 $0.135kgf/cm^2$인 것으로 나타났다.

Restoration effects influenced by plant species and landscape context in Young-il region, Southeast Korea: Structural and compositional assessment on restored forest

  • Cho, Yong-Chan;Kim, Kyung-Soon;Pi, Jung-Hun;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9권1호
    • /
    • pp.1-10
    • /
    • 2016
  • Despite it has been mentioned that the successful restoration in landscape level was achieved in the Young-il soil erosion control project,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stored plant communities (Alnus firma as introduced species and Pinus thunbergii as native species) was hardly founded. Light availability, litter and woody debris cover, and forest structure and composition were determined for 500 m2 band-quadrat in three forest types. Abiotic factors of Q. serrata stands, as reference forest, and A. firma stands were similar but not for P. thunbergii stan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mean stem density (stems ha-1, H = 3.6, p = 0.162), and the mean basal area of each stand had marginal significance (m2 ha-1, H = 5.7, p = 0.058) among stands as total basal area was higher with the order of A. firma (21.4 m2 ha-1), P. thunbergii (19.8 m2 ha-1) and Q. serrata (16.2 m2 ha-1). Restoration of vegetation structure was more effective in fast-growing and N-fixing A. firma, as introduced species plantation. However, result of MRPP, NMS ordination and ISPAN for herbaceous layer, not for tree and shrub species composition, indicated that restoration of ground vegetation was likely influenced highly from local environment. Propagule availability from landscape context such as connectedness to natural vegetation and management practices in restored isolated stands are available explanations for restoration effects and gaps between restored plantations and secondary oak forest.

자녀 예방접종 거부 부모의 주관성: Q 방법론적 접근 (Subjectivity of Parents in Refusal of Childhood Vaccination: A Q-methodology Approach)

  • 차혜경;하은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16-227
    • /
    • 2013
  • 목적 예방접종은 국민건강증진에 많은 기여를 함에도 불구하고 백신의 안정성 문제로 부모는 아동 예방접종을 망설이거나 거부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지 않은 부모의 주관성을 조사하여 이들의 생각과 태도를 파악한 후 각 유형별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방법 예방접종을 거부하는 부모의 주관적인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개별 심층면담 기법과 개방형 질문지, 국내외 문헌 고찰을 통해 42개의 Q 표본을 도출하였으며 소표본 이론을 근거로 35명의 P 표본을 선출한 후 9점 척도에 강제로 분포하도록 Q-sorting 과정을 실행하였다. 강제 분포된 카드의 점수는 1-9점으로 변환하여 점수를 배정한 후 PC-QUANA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자녀 예방접종 거부에 대한 부모의 태도와 관련된 주관성을 Q 요인 분석한 결과 '예방접종 불신형', '예방접종 부작용 염려형', '예방접종 불필요형' 등의 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3개 유형은 전체 변량의 67%를 설명하고 있는데, 제1유형은 54%, 제2유형은 8%, 제3유형은 5%로 나타나 제1유형이 대상자의 주관적인 견해를 가장 많이 설명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3개 유형을 토대로 예방접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로 구성된 전문 상담가를 정부 정책 하에 양성할 필요가 있으며, 예방접종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전환할 수 있는 각 유형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또한 개발될 필요가 있다.

TGF-β1 Protein Express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s is Correlated with Prognosis

  • Huang, Ai-Li;Liu, Shu-Guang;Qi, Wen-Juan;Zhao, Yun-Fei;Li, Yu-Mei;Lei, Bin;Sheng, Wen-Jie;Shen, H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9호
    • /
    • pp.8143-8147
    • /
    • 2014
  •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intensity and prognostic significance of TGF-${\beta}1$ protei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immunohistochemistry was carried out in 194 cases of NSCLC and 24 cases of normal lung tissues by SP methods. The PU (positive unit) value was used to assess the TGF-${\beta}1$ protein expression in systematically selected fields under the microscope with Leica Q500MC image analysis. We found that the TGF-${\beta}1$ PU value was nearly two-fold higher in NSCLC than in normal lung tissues (p=0.000), being associated with TNM stages (p=0.000) and lymph node metastases (p=0.000), but not to patient age, gender, smoking history, tumor differentiation, histological subtype and tumor location (P>0.05). Un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patients with high TGF-${\beta}1$ protein expression and lymph node metastases demonstrated a poor prognosis (both p=0.000,).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GF-${\beta}1$ protein expression (RR = 2.565, p=0.002) and lymph node metastases (RR=1.874, p=0.030) were also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Thus, TGF-${\beta}1$ protein expression may be correlated to oncogenesis and serve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biomarker for NSC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