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L-13

검색결과 7,029건 처리시간 0.041초

한방 입욕제 조성물이 MC/9 mast cell에서의 Th2 cytokine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Herbal Bathing Extracts Composition on Th2 Cytokine Production in MC/9 Mast Cells)

  • 장문희;최재송;최애련;안택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0-92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herbal bathing extracts composition 1 and composition 2 on Th2 cytokine production in MC/9 mast cells. Methods The effects of composition 1, 2 was analyzed by ELISA and Real-time PCR in MC/9 mast cells. Levels of IL-5, IL-13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ELISA). mRNA levels of IL-4, IL-5, IL-6, IL-13 were analyzed with Real-time PCR. Results Composition 1, 2 inhibited the IL-5, IL-13 production significantly(p<.001) in comparison to PI-control group at concentration of 100 ${\mu}g/mL$, 200 ${\mu}g/mL$. Composition 1, 2 inhibited the IL-4, IL-5, IL-13 mRNA expression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PI-control group at concentration of 100 ${\mu}g/mL$, 200 ${\mu}g/mL$. Composition 1 inhibited the IL-6 mRNA expression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PI-control group at concentration of 200 ${\mu}g/ml$. Composition 2 inhibited the IL-6 mRNA expression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PI-control group at concentration of 100 ${\mu}g/mL$, 200 ${\mu}g/mL$.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mposition 1, 2 has the effect of decreasing the Th2 cytokine production in the MC/9 mast cell.

전이금속이온과 1,15-Diaza-3,4:12,13-dibenzo-5,8,11-trioxacycloheptadecane과의 착물형성 (Complex Formation of 1,15-Diaza-3,4:12,13-dibenzo-5,8,11-trioxacycloheptadecane with Some Transition Metal Ions)

  • 장철규;신영국;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26-531
    • /
    • 1986
  • 95% 메탄올 용액에서 코발트(II), 니켈(II), 구리(II)와 아연(II)이온들과 1,15-diaza-3,4:12,13-dibenzo-5,8,11-trioxacycloheptadecane (NenOdien H$_4$, L)리간드와의 안정도 상수를 전위차 적정법으로 25$^{\circ}$C 에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착물의 형성은 리간드내의 주게원자의 영향을 받으며 안정도 상수의 크기는 Co(II) < Ni(II) < Cu(II) > Zn(II)의 순위이였다. 한편 고체착물의 구조를 분광광도법, 원소분석 및 전기전도도법의 결과로부터 논의하였다. 그 결과 고체상태의 화학조성과 기하구조는 팔면체의 $[CoL_2(OH_2)Cl]Cl{\cdot}2H_2O$, 팔면체의 $[NiL_2(OH_2)Cl]Cl{\cdot}2H_2O$, 사각피라밋형의 [CuLCl]Cl, 그리고 팔면체의 $[ZnLCl_2]{\cdot}\frac{1}{2}H_2O$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Octachlorostyrenes의 환경생물에 대한 급성독성 연구 (Acute Toxicity Studies of Octachlorostyrenes for Environment Organisms)

  • 김용석;전용배;이대용;이주환;이규승;성하정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7-97
    • /
    • 2009
  • 옥타클로르스티렌은 환경중에서 잔류성이 높고 분해되지 않아 고농도로 축적될 뿐만아니라독성이 매우 높은물질군을 일컫는 PBTs(Persistent, Bioaccumulative and Toxic Substances) 화합물로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PBTs 화합물군에 속하는 옥타클로르스티렌과 그 이성체를 대상으로 환경위해성평가의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하여 환경생물인 조류, 물벼룩 및 어류 등 먹이연쇄상의 생물종에 대해 급성독성시험을 통해 반수영향농도($EC_{50}$, Effective Concentration), 반수치사농도($LC_{50}$, Lethal Concentration), 최대무영향농도(NOEC, 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또는 최소영향농도(LOEC, Lowest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등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옥타클로르스티렌 및 2-, 3-chlorostrene의 조류에 대한 성장저해 무영향농도는 $0.5\;mg\;L^{-1}$로 산출되었고, 4-chlorostyrene의 조류에 대한 성장저해 무영향농도는 $0.13\;mg\;L^{-1}$로 산출되었다. 담수무척추동물인 물벼룩에 대한 급성유영저해시험결과 옥타클로르스티렌 및 2-, 3-chlorostrene의 무영향농도는 $5\;mg\;L^{-1}$로 산출되었고,4-chlorostrene의 $EC_{50}$ 값은 $2.128\;mg\;L^{-1}$로 산출되었다. 또한 담수어류인 송사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급성어독성시험결과, 옥타클로르스티렌의 무영향농도는 $80\;mg\;L^{-1}$, 2-, 3-chlorostyrene의 무영향농도는 $60\;mg\;L^{-1}$로 산출되었고 4-chlorostyrene은 $LC_{50}$값은 $39.0\;mg\;L^{-1}$(48 시간), $22.6\;mg\;L^{-1}$(96 시간)로 산출되었다.

Nickel(II) trans-1,2-Diaminocyclohexane 착물의 합성 및 결정 구조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 of Nickel(II) Complex of trans-1,2-Diaminocyclohexane)

  • 최기영;김용선;서일환;서만철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8-91
    • /
    • 2001
  • [NiL₃]Cl₂·3H₂O (1) (L=trans-1,2-diaminocyclohexane) 착물을 합성하고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착물은 입방결정계, 공간군 P2₁3, a=13.830(1) Å, V=2645.9(2) ų, Z=4로 결정화 되었다. 이 착물의 구조는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으며, 최종 신뢰도 R₁(wR₂) 값은 1500회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0.0766(0.2068)이었다.

  • PDF

Dextransucrase 고활성 젖산균을 이용한 스타터 증편의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in Jeung-pyun Prepared with Lactic Bacteria Having High Dextransucrase Activity as Starters)

  • 이아영;박주연;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00-407
    • /
    • 2006
  • 26균주의 젖산균을 증편 반죽에서 분리하여 dextransucrase 활성을 측정할 결과 T. halophilus 1-12가 36.95 DSU/mg으로 가장 높았다. 이 중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2-9, T. halophilus 1-12,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을 선별하여 starter로 이용하였다. 증편의 점도변화를 관찰한 결과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2-9를 첨가한 증편은 발효 적기인 2시간째에 첨가량이 많을수록 점도가 높아졌고 T. halophilus 1-12를 첨가한 증편의 경우는 첨가량에 따라 차이 없이 증편의 점도가 증가하였다.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를 첨가한 증편 반죽의 경우에는 첨가량에 차이 없이 starter 균을 첨가하지 않은 증편 반죽의 발효패턴과 같은 점도 변화를 보였다. 증편반죽의 pH는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2-9 와 T. halophilus 1-12를 첨가한 경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 pH도 낮았으며 발효가 진행되면서 계속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의 경우에는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증편의 비체적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 1.0% 첨가한 군이 2.00으로 가장 높았고, T. halophilus 1-12를 1.0% 첨가한 군이 0.33으로 가장 낮았다. 증편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2-9를 0.5 % 첨가한 것이 균일하였고, T. halophilus 1-12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기공이 거칠고 불규칙하였다. 반면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를 첨가한 군은 첨가량이 많을수록 기공이 균일하고 부피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Texture는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를 0.5%, 1.0% 첨가한 증편이 hardnesubsp과 gumminesubsp, chewinesubsp가 대조군에 비해 매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5-13 0.5%를 첨가한 시료가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8.500을 받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韓國産) Comfrey의 성숙중(成熟中)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아미노산(酸)의 함량변화(含量變化) (Changes in contents of general components and amino acids of comfrey during growth)

  • 조재흥;최칠남;정오진;김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3
    • /
    • 1978
  • comfrey의 잎과 뿌리에 함유된 free amino acid의 종류 및 함량은 G.L.C와 T.L.C.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L.C.에 의해서 검출한 free amino acid는 13종이었으며 alanine, valine, glycine, isoleucine, methio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ysine, arginine, histidine, cystine, tryphtophan, phenylalnine 등 13종이 정량되었으며 이들 중 arginine은 전질소 100%중에서 10.77%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histidine순이었다. (2) T.L.C로 검출한 amino acid는 G.L.C로 검출한 것보다 cysteic acid, leucine를 검출할 수 있었으며, 정량적인 면에서도 G.L.C방법과 일치하였으나 검출감도가 나쁘고 1종은 미확인 되었다. (3) G.L.C의 분석은 T.L.C 분석보다도 검출감도가 높고 정량적이었으나 재현성이 낮았고 실험과정이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든다. (4) comfrey 중에서 잎과 뿌리에 함유된 amino acid의 함량과 성분을 비교해볼때 잎보다는 뿌리에 amino acids의 함량과 종류가 약간 많았다. (5) 60일후에 채취한 comfrey뿌리의 일반성분은 수분 13.2%, 조지방 2.2%, 조단백질 22.30%, 탄수화물 37.62%, 조섬유 9.38%, 회분 15.06%로 되어 있으며 60일 전후로 하여 조단백질의 함량이 감소되고 60일이 전의 comfrey는 수분의 함량이 많았고 60일이후에 채취한 comfrey는 탄수화물 조섬유, 회분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6) 60일정도 성장한 comfrey가 제일 많은 amino acids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함량도 제일 많았다. (7) comfrey에는 많은 amino acids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동물의 사료용으로 광범위하게 쓰일 수 있으며 comfrey차 이외의 다른 가공 식품을 만들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 PDF

최종 하수처리장 슬러지의 추가감량을 위한 슬러지 전처리 연구 (Studies of Pretreatment Mehtods for Additional Reduction of Sewage Sludge)

  • 김석구;김자현;임준혁;이제근;이태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0호
    • /
    • pp.15-21
    • /
    • 2014
  • 본 연구는 부산시 남부하수처리장의 탈수슬러지를 이용하여 전처리에 따른 분해 및 혐기성 상태에서의 최종 메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평가하기 위해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BMP) 실험을 실시하였다. 초기 1 % TS 농도의 탈수슬러지를 각각 30분 동안 5M NaOH를 이용하여 알칼리 전처리를 실시하였고 초음파 전처리는 30분 동안 조사밀도를 1.5 W/mL로 조절하여 실시하였으며 알칼리와 초음파 전처리를 병합한 동시 전처리를 시행하였다. 그에 따라 SCOD 값이 초기 33.1 mg/L에서 최대 494 mg/L로 증가하였다. 또한 BMP 실험을 실시한 결과 31.2~84.2 mL $CH_4/g$ VS, 9.2~13.5 mL $CO_2/g$ VS로 나타났다. 영양배지와 상등액 슬러지를 주입여부에 따른 BMP 실험을 실시한 결과 각각 73.1, 73.8 mL $CH_4/g$ VS, 11.2, 13.6 mL $CO_2/g$ VS으로 나타났으며 모델값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MP 실험을 종료 후 VS를 분석한 결과 초기 62 %에서 33.8~45.4 %로 감소하였다. 알칼리, 초음파 전처리보다는 동시 전처리가 메탄발생량과 SCOD 값을 증가시켰으며 VS 감소율이 증가하여 혐기성 소화율이 향상되었다.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전분/PVA 블렌드 제조 최적조건 탐구에 관한 연구 1. 다구찌 방법 (A Study on Optimal Conditions by means of Experimental Design for Preparation of Starch/PVA Blends 1. Taguchi method)

  • 이명석;홍영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2호
    • /
    • pp.128-135
    • /
    • 2005
  • 전분/PVA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고려하여 최적화 조건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다구찌 방법에 기반을 둔 실험크기 27, 3수준, 13열의 $L_{27}(3^{13})$ 직교배 열표가 사용되었다. UTM과 인열 강도계를 통하여 인장강도, 파단신율, 초기탄성률, 인열강도를 측정하여 전분/PVA 블렌드의 제조 최적 조건을 결정하였다. 각 변수들의 분석을 바탕으로 각인자의 상호작용 효과가 결정되었다. $L_{27}(3^{13})$의 분석결과, 글리세롤과 요소가 4가지 기계적 물성의 증진에 가장 중요한 인자로 파악되었다.

수직사이로에 있어 MB훈증제의 침투확산성 및 살충효과 시험 (Studies on the Penetration, Diffusion Ability and Effect of Insects Control Using the Methyl Bromide in the Vertical Silo)

  • 하재규;김진태;조남길;김병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2-216
    • /
    • 1981
  • 이 시험은 수직 사이로에 충진된 옥수수를 대상으로 M.B를 사용하여 자연중력하에서 소독할 때 M.B가스의 침투확산성 및 살충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이로 표층의 M.B가스 농도는 투약후 2시간후부터 100mg/l 이상에서 20mg/l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2. 사이로 표층으로부터 3m 깊이 지점의 M.B가스 농도는 투약후 12시간이후 100mg/l 이상에서 30mg/l 이하로 감소되었으며 표층의 고농도 M.B가스가 불과 30분 이내에 3m 깊이 까지 침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사이로 표층으로부터 고농도의 M.B가스는 13m 깊이 지점까지 1시간 이내에 침투되었으며 투약후 48시간까지 지속적으로 100mg/l 이상$\~$40mg/l 이상의 M.B가스가 검지되는 것으로 보아 자연중력하에서 옥수수를 소독하는 경우 13m 깊이 부근에 M.B 가스의 고농도 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4. 사이로 기부(21m 지점)의 M.B가스는 $4\~20mg/l$에 불과했던 것으로 보아 M.B의 침투가 아주 적었던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5. M.B 가스의 횡 확산성은 수직 침투성에 비하여 매우 적었으며 사이로 길이 3m의 경우 투약방향으로부터 약 13m지점의 qdnl는 중심부의 약 $\frac{1}{2}$, 그리고 깊이 13m 지점에서는 지점에서는 $\frac{1}{15}\~\frac{1}{20}$의 농도에 불과하였다. 6. 투약후 24시간만에 조사한 사이로의 표층 및 기부(21m 지점)에 삽입 했던 공시충(거짓쌀도둑)은 모두 사멸되었으며 48시간후에 조사한 3m, 7m, 및 13m 지점의 공시충도 모두 사충으로 발견되었다.

  • PDF

벼 (Oryza sativa L.)배양세포의 고중력유도성 cDNA의 탐색 (Screening of Gravity Inducible cDNAs in Rice(Oryza sativa L.) Cultured Cell)

  • 권순태;김길웅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1-115
    • /
    • 1994
  • 벼(Oryza sativa L. cv Nipponbaie)배양세포에 중력 450,000 x g를 처리하여 cDNA library를 만들고, 무처리 및 고중력을 처리한 cDNA 프로브로 스크리닝을 실시하여 고중력에 특이적으로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GSC 13 및 GSC124 cDNA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두 유전자 GSC 13 및 GSC 124의 길이는 각각 1.34 및 0.67 kilobase pairs였으며, 배양세포내에서 관련된 transcript의 크기는 각각 2.0 및 1.9 kilobase pairs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유전자를 프로브로한 Northern hybridization을 실시한 결과 GSC 13, GSC 124 공히 배양세포내에 고중력처리에 의해 특이적으로 축적되는 mRNA가 나타났으며, 중력강도 300,000 x g 에 비해 450,000 x g 처리에서 더욱 강한 축적을 보였고 450,000 x g 4시간 처리에서 최대의 수준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