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980년대 한국

Search Result 1,12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Gender Preference and Sex Imbalance in the Population and Their Implication in Korea (한국의 성선호와 성비불균형 분석)

  • 박재빈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7 no.1
    • /
    • pp.87-114
    • /
    • 1994
  • 1950년대부터 많은 개발도상국가들은 가족계획을 위주로 하는 인구제어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특히 가부장제도를 중심으로하는 동아시아 국가들에 있어서는 남아선호관이 출산력 저하나 피임 실천율이 증대에 지대한 유해요인으로 일관해 왔다. Sheps(1963)는 실증적으로 2명의 아들을 갖기 위해서는 약 3.9명 정도의 자녀를 두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바 있다. 이와 같은 남아선호관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홍콩은 1980년대 증반에 이미 1.6명 수준의 저출산율을 이룩하였으며, 1970년대에 인구억제 정책을 시작한 중국도 2명 수준으로 저하되어 가족계획사업의 성공사례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국가들의 출산율은 지난 20-3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너무나 급진적으로 감소된 반면에 남아선호관의 상존으로 인한 성비(여자 100명당 남자수)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였다. 한 예로 한국의 경우 1960년도만 해도 6명 이상의 자녀를 출산하는 과정에서 1-2명의 아들을 둘 수 있는 확률은 매우 높았으나, 최근에는 출산율이 2명 이하로 저하되어 아들을 둘 수 있는 확률은 과거보다 3-4배 어려워졌기 때문에 인위적인 방법으로 아들을 두는 부모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1970년대 중반기부터 강력히 추진되어온 소위 "한자녀 갖기 운동"으로 인하여 여아출산인 경우 영아살해 또는 출생의 미신고등 많은 사회적 물의를 야기하였고, 최근에는 초음파검사를통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태아가 여아인 경우)으 경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성비는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된 1980년대 증반기부터 급격히 증가되었다. 즉 인구전체에 대한 성비는 1980년의 103.9명에서 1985년에 110명으로 증가하였고ㅡ 1990년 116.9명으로 증가되었다. 성비는 자녀의 수가 적을수록 높아지는 추세이다. 1991년 조사에서 출산을 종료한 부인의 경우 1자녀의 성비는 무려 206명이나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자녀를 원하는 부인이 아들을 둔 경우 1자녀에서 조산을 결심하기 때문인 것이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성비는 무엇보다도 자녀의 출산순위와 밀접하다. 1991년 출생신고자료의 경우 첫아이의 출생시 성비는 106.1명이고, 둘째아이가 112.8명이나, 셋째아이는 184.7명으로 크게 증가하고 넷째 이상의 경우는 212.3명이나 된다. 동일한 출산순위라도 이미 두고 있는 자녀의 성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1991년도 3번째 출산의 경우 딸만 2명을 두고 있는 자녀의 성에 아들만 2명 또는 아들과 딸을 각각 1명씩 두고 있는 경우에 비해 높은 성비를 보이고 있다. 자녀를 출산하는데 있어서 처음에는 아들ㅇ르 기다리지만 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적극적으로 아들을 낳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즉 임신한 자녀의 성이 딸로 판명되면 인공임신중절을 통해 임신을 종결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미 출생한 자녀의 성구성은 임신결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즉 임신이 인공임신중절로 귀착되는 확률은 부모가 이미 아들을 두고 있는 경우에 일관성 있게 증가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남아선호관은 임신결과를 결정할뿐 아니라 선택절 인공임신중절에 의한 성비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주요 변수로써 할거되었다. 특히 피임실천이 보편화되고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의 이용이 손쉬운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남아선호관이 출산력 저하에 저해요인으로서가 아니라, 인위적이던 자연적이던 간에 아들만 두면 단산하는 현행의 출산풍토하에서는 남아선호관이 오히려 출산력저하에 결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하겠다. 태아의 성 판별을 통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의 건수는 1990년 한해에 약 20,000건 정도가 되고, 1986-1990년 사이에 총 80,000건으로 추정된다. 이 수치는 출생한 여아수의 5%에 해당한다. 현재 출생시 성비의 불균형은 연간 총출생수의 10% 미만에 불과한 3번째 이상의 출산에서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인구학적인 측면에서는 큰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앞으로 출산율의 감소와 더불어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이 년간 출생수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둘째, 첫째출산순위로 확산된다면 성비의 불균형은 급진적으로 가속화되어 전통적 결혼관습의 재연등 인간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새로운 차원에서의 사회인구학적인 문제가 야기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성비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우리 나라으 전통적인 의식구조인 남아선호관의 상종과 최신의 의료기술에 의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에 기인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시정하기 위한 제반 사회제도적 극복정책은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Paradigm Shift in Design Management Through An Annotated Bibliography (문헌 주석을 통한 디자인 경영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 정경원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 /
    • pp.93-103
    • /
    • 1996
  • Why are there semantic difficulties in the jargon, design management\ulcorner A series of changes in the meaning of design management during 4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1950s when the term was used officially in the U.K., has been studied through a set of annotated bibliography. As a result, it is identified that such semantic confusions have been situated in relation to the shift in the emphasis on design management as a narrow sense of design - a broad sense of design - strategic management. This may imply that design management becomes an intrinsic part of corporate management in line with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design in the success of business.

  • PDF

A Study on Environmental.M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roach for the Sustainable Min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Mine Hazards -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Section - (지속가능한 휴폐광산 관리 및 공해 방지를 위한 환경.광산 지리정보체계 구축 및 개선 연구 - 환경부분 중심으로 -)

  • Lee, Ju-Young;Han, Moo-Young;Yang, Jung-Seok;Choi, Jae-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8 no.1
    • /
    • pp.129-143
    • /
    • 2009
  • In South Korea, Mine industries were encouraged to obtain the natural resource from 1960 to 1980. However,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 and decreasing price have been caused by the voluntary closure of non-economical mines and a cut of their production since 1990. Harmful wastewater containing such heavy metals as iron, aluminum, arsenic, and cadmium are being discharged from abandoned pits and waste stone and tailing dumping sites following the closure of min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suggests a policy of mine hazard prevention(PMHP) and method that allows the combination of new spatial data and as well as collected data on resources for the sustainable mine reclamation and management using EGIS/MGIS technique to develop an integrated plan and management techniques.

  • PDF

Ric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in China (중국의 쌀 생산, 유통 및 이용 현황)

  • Xiyuan, Liao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1 no.1
    • /
    • pp.5-16
    • /
    • 2002
  • 쌀은 중국에서 중요한 식량작물로 제9차 5개년 계획(1966-2000년) 동안 재배면적 31.4백만 ha이며 생산량은 단위 ha당 6,303kg으로 198백만톤에 이르며 이는 재배면적으로는 식량작물의 $27.7\%$, 그리고 생산량으로는 전체식량작물의 $40\%$를 각각 점하고 있다. 이러한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각각 세계전체 면적과 생산량의 $20.7\%$$33.7\%$를 차지하는 많은 량이다. 중국의 남부지역은 전지역의 $73.5\%$가 이모작으로 재배되며 주품종은 Indica이다. 중국의 중부지역은 이모작과 일모작의 재배형태가 2:3으로 공존하고 있으며 양쯔강 이북은 주로 일모작의 형태이다. 중국의 쌀 재배면적은 1960년대 이후 점차 증가하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정체되었다가 최근 9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재배면적의 감소가 가속화되고 있으나 단보당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1년 중국의 쌀 소비량은 138백만톤으로 이의 $85.2\%$는 식량용으로, $5.8\%$는 사료용으로, $1.3\%$는 가공용, $1.5-2.0\%$는 수출용으로 그리고 $1.2\%$는 종자용으로 소비되었다. WTO체제에 들어서도 중국의 쌀 생산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로는 충분한 생산능력과 자급률, 쌀의 낮은($4\%$) 국제교역비율, 총생산량에 대한 낮은 쿼터비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WTO체제 가입에 따른 압력 또한 존재하는 것이 사실인데 그것은 낮은 품질, 국제가격보다 높은 국내가격 등을 들 수 있다. 향후 중국 쌀의 발전적 전략들로는 쌀의 안정적 발전을 지속하는 일, 쌀 재배구조 조정과 함께 높은 미질을 가지는 품종육종, 기계화를 비롯한 경작기술의 발달, 쌀과 부산물 가공기술의 개발연구, 특정기능을 함유하는 유전공학적 기술의 적용, 토지와 도시화 그리고 식량순환에 시스템의 개혁 등 과학기술을 고양하는 일 등을 들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Color Analysis to he a Beautiful Face Conference Work - Focused on a Work of the Competition After 1980 - (미용대회 작품헤어 컬러분석 - 1980년대 이후 대회작품을 중심으로 -)

  • You, Ok-Lee;Paik, S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and Beauty
    • /
    • v.5 no.4
    • /
    • pp.149-157
    • /
    • 2007
  • Hair style was mean of visual symbol that display position or wealth about human life. Also, have spoken for cultural value as human body plastic art that speak for the age. I wished to study about modeling of hair style and interrelationship of color by analyzing systematically laying stress on color through contest creation work consisted in beauty art congress. 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examines domestic' outside great council work head change by era, and studies Hair Work's change in work head. Second, Hair Color's change that appear in domestic' outside contest work head studies effect that get in work. Method of study runs parallel literature study and supporting research, utilized domestic' outside literature, connection paper, magazine, picture data etc. To literature study, and work picture data examined laying stress on work that is choosesed picture dataworld beauty use association (OMC) data etc. that appear in domestic' outside beauty art magazine to examine closely specification and stability of beauty art game style and participates in domestic and world beauty art contest. In this study, domestic' characteristic, and effect that collar gets in work head of collar that collects outside contest participating in an athletic contest hair style by ($1981{\sim}$until present) by year and appears in contest work head and in work since analyzing study forward $2007{\sim}2008$ year direction of collar. First, stream of whole color of the 1980s Brown gave highlight color point partially to basis, and was consisted of creative style and do Gold base color on the whole in Hair by Night item. Second, various Hair color was popularized in the 199Os, and Tuton's color appeared in beauty art game work, and I contributed to improve technique that step-up gradation color appears and does technique to highlight in neon orange in creative style and Hair by Night item by entrance on the stage of neuter gender color.

  • PDF

Investigation and Risk Assessment of Asbestos-Containing Materials used in Buildings (건축물에 사용된 석면함유물질(ACMs)의 조사 및 위해성 평가)

  • Kim, Hong-Kwan;Chon, Young Woo;Roh, Young Man;Hong, Seung-Han;Kim, Chi-Nyon;Lee, Ik-M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 /
    • v.28 no.1
    • /
    • pp.35-42
    • /
    • 2018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research the usage characteristics of asbestos-containing building materials and to conduct exposure risk assessment by applying no. 2016-230 "Methods of Risk Assessment of Asbestos-Containing Buildings"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ethods: One hundred buildings located in the Seoul and Gyeonggi-Incheon area were chosen, with 29 in Seoul, 20 in Incheon, and 51 in Gyeonggi-do Province. The year of construction was divided between three buildings in the 1970s, 11 buildings in the 1980s, 42 buildings in the 1990s, and 44 buildings in the 2000s. The bulk samples were analyzed by using a polarizing microscope after a pre-process using a stereomicroscope in a hood with an HEPA filter. This study defined ACMs(asbestos-containing materials) as asbestos when the content percentage was over 1% in the analysis result. Methods and standards of risk assessment of asbestos-containing building materials were conducted by refering to no. 2016-230 "Method of Risk Assessment of Asbestos-Containing Buildings"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risk of exposure to ACMs was rated by a score based on three categories(high, middle, low risk of asbestos exposure). Results: In this study, 30 of the 100 buildings and 36 of the 416 bulk samples(8.6%) were found to have had asbestos. Asbestos was detected at a high rate, in 18 out of 42, in buildings constructed in the 1990s and at the lowest rate(7 out of 44) for buildings constructed in the 2000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according to no. 2016-230 "Method of Risk Assessment of Asbestos-Containing Building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risk assessment level of two asbestos-containing building materials was found to be "Medium", and 28 buildings materials were found to be at the "Low" level. Conclusion: As asbestos is regulated by the government, it is required to conduct active management and implemention by introducing methods of risk assessment of asbestos exposure that are supported by data from various situations. In the case of buildings owned by individuals, building owners should be aware of the risk of exposure to asbestos.

Structuration of Space Change due to Planning and Leisure Activities in Hangang River Park - Focused on the Hangang River Park in Yeouido from the 1970s to the 2000s - (여가 활동 공간으로서 여의도 한강공원 공간변화의 구조화 -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여의도 한강공원의 여가 활동과 계획을 중심으로 -)

  • Cho, Han-S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2
    • /
    • pp.13-27
    • /
    • 2019
  • This study shows the changes in the space created by the planning and leisure activities of Hangang River Park, focusing on the Yeouido portion of the Hangang River Park, which has the most users and the greatest degree of plan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ing, behavior, and space changes are explained based on Giddens's Structural Theory. As research material, Hangang River Park plans and satellite photos were interpreted and newspaper articles were used to identifying the space changes and their causes, and a model of the space changes was deri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The flow of space change in the Yeouido portion of the Hangang River Park due to planning and leisure activities is as follows. In the 1970s, the first sports spaces are made due to need from residents near the riverside, but huge plans for the utilization of the entire space were not realized. In the 1980s, leisure spaces were planned and developed through a comprehensive plan. Various sports spaces were built, but the environment of the spaces became a slum. In the 1990s, various leisure activities were revitalized due to the revision of the legal system, regulations on the usage of space, and space maintenance, and from the late 1990s, ecological issues arose along the Hangang River. In the 2000s, there was an overall space improvement project directed by two comprehensive plans, and cultural and ecological issues appeared in the Hangang River Park plans. However, actual leisure spaces were developed along with the promotion of large-scale activities. Regarding the structuration theory, elements of interaction, modality, and structure are the aspects of space changes in the Yeouido portion Hangang River Park. As the flow of the space change, the proportions of the comprehensive plan and the individual plans were similar. The comprehensive plan was influenced by the change of public businesses and the proliferation of large-scale activities. Individual plans were influenced by the user's activities and opinions. However, both plans were influenced by the users and suppliers. The leisure space of the Hangang River Park can be viewed as a social space, in terms of the structuring as a theory due to the user repeatedly changing the use of the space. The purpo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Hangang River Park space through planning and leisure activities. Throug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gang River Park in planning the leisure activity space.

Research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 of Temperature Using GIS in Korea Peninsular (GIS를 이용한 한반도 기온의 시·공간적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 KIM, Nam-Shi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5 no.2
    • /
    • pp.85-94
    • /
    • 2008
  • This study is to constru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in cities and changes of climatical regions in analyzing a change of Korea Peninsular climate. We used daily mean air temperature data which was collected in South and North Korea for the past 34 years from 1974 to 2007. We created temperature map of 500m resolution using Inverse Distance Weight in application with adiabatic lapse rate per month in linear relation with height and temperature. In the urbanization area, the data analyzed population in comparison with temperature changes by the year. An annual rising rate of temperature was calculated $0.0056^{\circ}C$, and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2.14^{\circ}C$ from 1974 to 2107. The south climate region in Korea by the Warmth index was expanded to the middle climate region by the latitude after 1990s. A rise of urban area in mean temperature was $0.5-1.2^{\circ}C$, Seoul, metropolitan and cities which were high density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ith the population increase between 1980s and 1990s. In case of North Korea, Cities were Pyeongyang, Anju, Gaecheon, Hesan. A rise in cities areas in mean temperature has influence on vegetation, especially secondary growth such as winter buds of pine trees appears built-up area and outskirts in late Autumn. Finally, nowaday we confront diverse natural events over climatical changes, We need a long-term research to survey and analyze an index on the climatical changes to present a systematic approach and solution in the future.

The Periodical Trend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Mass Media - Focused on the 1920s and 1990s - (매스미디어를 통해 본 도시재생의 시대적 동향 - 192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

  • Kim, Sa-rang;Lee,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2
    • /
    • pp.28-48
    • /
    • 2019
  • This research is aimed at identifying the perception associated with urban regeneration and predicting policy implications of future directions by analyzing the trend of urban regeneration depicted in the mass media by utilizing SNA (Semantic-Network Analysis) techniques. As the number of articles has increased, it is noted through analysis that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henomena and issues have combined to form the meaning of urban regeneration. Overall, 'urban' and 'regeneration' keywords also appeared at different periods, with 'urban' closely related to 'regeneration' starting in 1970 when urbanization was becoming more prevalent. It was analyzed that the frequency of 'urban'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early 1990s, while the frequency of 'rural' decreased sharply. Until the 1990s, the slums and the recession that appeared as side effects of urban problem-solving policies were mostly concentrated in cities. Policy discussions were conduct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ities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the surrounding rural areas. The distributions of the keywords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have increased quantitatively since the 1970s, and urban polarization has explo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external growth of cities, mirroring the trend of accelerated environmental threats. In particular, the keywords for 'regeneration' emerged mainly related to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led to the need for urban regeneration, and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friendly development. The emergence of "urban," "regeneration" and "environment" as keywords having to do with urban regeneration grew in the 1990s. This suggests that urban regeneration is now linked to "environment", as that has become a social issue.

Assessment of Design water level variation Due to Climate Change for Port Nam-Hyang, Ulleng-Do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울릉도 남양항의 설계수위 변화 평가)

  • Kwon, Kyong Hwan;Park, Jee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19-219
    • /
    • 2022
  • 지구 온난화와 함께 발생하는 해수면 상승은 한반도의 해안지역을 비롯하여 울릉도 등 도서지역 전반에 걸쳐 진행 중이다. 또한 해수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대저기압의 생성 시 에너지 공급이 증가하며 연안으로 내습하는 파랑 내습 에너지가 커지게 된다. 경상북도 울릉군에 위치한 남양항은 최근 2019년 태풍 다나스 및 2020년 태풍 마이삭 등에 의해 고파랑 혹은 침수 피해가 발생하여 항 내에서는 물양장과 선박이 파괴되고 방파제가 전도되는 등의 피해가 속출하였다. 동해안의 태풍 내습, 지구 온난화와 저기압 발달에 의한 수위 상승 등과 같은 다양한 해양기후를 고려한 연안 구조물의 파랑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상청 태풍센터에서 제공하는 1979년부터 2020년까지 한반도 해역에 내습한 태풍 중 울릉도에 영향을 미친 태풍은 18개로 울릉도 인근에 영향을 준 내습 태풍을 10년 단위로 분석해 보면, 1980년대 3개, 1990년대 2개, 2000년대 8개, 2010년대 3개, 2020년 2개로 2000년대에 울릉도 영향권에 들어간 태풍이 가장 많았으며, 심해파 추산 기간 이후 2020년 1년 동안 울릉도 인근으로 마이삭, 하이선과 같은 2개의 태풍이 연속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울릉도에 영향을 미친 18개 태풍을 대상으로 일본 기상청(JMA)에서 제공하는 1시간 바람장을 이용하여 파랑 후측 수치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해양수산부와 기상청 관측 부이를 이용하여 파랑에 대한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고파랑 내습 시 연안에 조우하는 수위 조건은 파랑 에너지의 증가를 결정하게 되며, 항만 구조물의 설계에 적용되고 있는 약최고고조위 이상(4대분조의 최대 조위)의 최극조위 조건에서 해안 구조물에 월파 및 침수 피해를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울릉도 남양항에서 폭풍 시 내습한 최극고조위(0.65m)와 IPCC 5차 보고서에 제시한 최악의 시나리오(RCP 8.5) 조건에서 울릉도에서 확인된 0.79 cm 상승고를 반영하여 범람위험평가를 광역에서의 계산 결과를 입력자료로 하여 준 3차원 비 정수압 파랑 변형 수치 모형인 MIKE 3 Wave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해수면 상승에 의한 수위 상승고는 연안 파랑 증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연안 구조물의 침수 피해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 월파 차단, 파랑 차폐의 목적으로 건설되는 구조물의 규모 및 천단고 등을 설정하는데 설계 수위의 선정은 중요하다. 수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방파제 및 호안의 범람 위험 평가를 수행하고 구조물 설계 시 이러한 해수면 상승고가 반영된 설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위험 평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