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910's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31초

근대한국도서관사 연구 - 개화기의 근대도서관 성립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Library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stablishment of Modern Libraries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Opening Period. -)

  • 이춘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9권
    • /
    • pp.11-4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odem library which was in a germinal stage at the opening period of Ko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Modern libraries which began to develop during the opening period of Korea were deeply rooted in the spirit of patriotism. After 1905, which was the year of so-called Korean-Japanese Protocal concluded under the Japanese military pressure, the patriotic enlightenment campaign against foreign penetration developed rapidly throughout the country. Accordingly, the movement for establishing modern library was carried out among advanced reformers. 2. The first modern school library was built in the private school of Wonan established by the residents of Wonsan area. They believed that the best way to strengthen the national power to oppose Japanese penetration was to learn the Western culture and technology. 3. The first modern public library named The Central Library of Korea was originated by Oh Ha Young and his comrade in 1906. Included among these promoters of the library were Yun Chi Ho and Min Sang Ho, two persons who had experienced Western culture during their study abroad. 4. Pakmunkuk, the newspaper office of the government, had its own library in 1883 which was the first modernized special library in Korea. 5. Major factors which hindered the rapid growth modern libraries m the opening period are as follows; (1) Lack of people's demand fer the library. (2) Limited scope of the publications(mainly school text-books) (3) Poor financial conditions. 6. Japanese invasion in 1910 had broken the growing roots of modern libraries in formative stage.

  • PDF

건축 의장적 측면에서 본 상하이 아르테코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f Shanghai Art Deco in the aspect of architectural decoration)

  • 남경숙;서민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9-26
    • /
    • 2006
  • This subject is about the research of Shanghai Art Deco in the aspect of architectural decoration and seek to offers an examinatio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Art Deco design, which appeared and dominated the field of design from 1910s to 1904s in Shanghai. Study method i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reference and gathering data through field trip. In order to carry out this subject, this study will research following factors. First, factors related to Art Deco such as the period of origin, background, spirit, aesthetics, design characteristics. This is followed by the influence of Art Deco movement begun in 1925. Second, the background of Shanghai Art Deco architecture style was studied. Third, the case studies of Shanghai Art Deco Architecture and interior decoration were researched by the expressive factors which were divided by style, form, material and color. As a result early style had compradore style about 1900, later reactionism prevailed of 1920 affected by European Art Deco. Skyscraper style was built and architecture developed with racial characteristics. It has vertical and streamline form of typical Art Deco and strengthen geometrical motive in architectural expression. It appeared naturally and has the contrast of different material in material expression. It has effect on strong color as using highborn and brilliant color in color expression. They appeared chinese national spirit by using 'ot painting' in western oriented furniture. The purpose of such an examination is to classify, understand and validate Shanghai artistic and socio-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better appreciate the life philosophy of Shanghai and re-discover their basic roots. Though it began as a Western cultural movement,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iscover the inherent orientalism in its basic formative spirit.

조선총독부의 '조선도서 및 고문서'의 수집·분류 활동 (A study on collecting and classifying the Chosen literatures and archives of Chosen General Government)

  • 이승일
    • 기록학연구
    • /
    • 제4호
    • /
    • pp.93-130
    • /
    • 2001
  • Chosen General Government initiated the activities of collecting and managing the archives from Chosen Dynasty because of necessity to push positively for its colonial policies. Particularly, such efforts of the regime resulted eventually in boosting their understanding on the Korea cultures, as well as contributed to their reigning Korea to an extent. Some aspects that reflect it are as follows. In 1910 Chosen General Government took over, and began to arrange and classify huge volumes of archives that were held by the royal family. During this period, they collected and arranged literatures that they took over from the earlier Korean government. In 1913, Chosen General Government increased enormously the varieties and volumes of the archives that they intended to collect. They started with collecting archives limited to those literatures that had existed in the civil sector before 1894. It can be noticed that just in 1913 Chosen General Government revealed their intention to collect and classify both royal archives and civil archives. With the work of collecting, classification and annotating archives, Chosen General Government commenced the compilation of Chosensa (Korean History). These efforts aimed at cultural assimilation and educating of Korean people, and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Chosen Dynasty's archives was reconfirmed. One of the representative cases was a change of terminology. With the compilation efforts into full swing since 1915, Chosen General Government repeatedly started to use the term 'Saryo' (historical records) in connection with Chosen's literatures and archives. The term 'Saryo' previously had been used in Japanese literatures, and it is deemed that it was used as a term generally referring to archives of Chosen Dynasty from that time. This signifies that Chosen General Government began to involve their historical point of view in approaching to the archives of Chosen. As they broadened their understanding on Korea through the annotation of old literatures and compilation of Chosen History, they seriously set on the work of assimilating Korean people culturally aiming at gripping its reign on Korea. Archives of Chosen likewise were very crucial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Korea and its people, and Chosen General Government is deemed to have utilized the archives as a means to reign and assimilate Korean people.

구한말 사립학교 병식체조교육의 민족주의적 특성 (A Study on nationalicstic character of private school's military gymnastic education in early modern Korea)

  • 김연수;신의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27-232
    • /
    • 2018
  • 본고에서는 구한말 학교체육의 중심이 되었던 병식체조의 도입과 발전과정 다루었다. 특히, 일제의 강제하에 관립학교의 병식체조교육이 제한된 이후의 사립학교의 병식체조교육의 민족주의적 특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사실 1905년 을사조약이후 관립학교의 병식체조교육이 제한되었지만 사립학교의 병식체조는 더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당시 조선인의 민족위기의식이 더 고조되었고, 또 1907년 조선의 군대해산이후 무관학교 출신 교사들이 사립학교의 체육교사로 자원했기 때문이다. 이들 체육교사들은 병식체조교육을 독립운동의 연장선으로 여기며 사립학교의 체육교사로 부임해 와서 학생들에게 병식체조 교육과 함께 민족주의 정신을 심어 주었다. 이처럼 매우 강한 부국강병과 조국수호의 목적을 가지고 시작한 병식체조 수업은 학교체육 교육안에 속해 있는 활동이었다. 하지만 당시 시대적 부국강병과 국가 침탈의 위기의식으로 인하여 조화로운 신체발달을 추구하기보다 군사훈련의 목적이 더 강했다고 볼 수 있다.

우렁각시 설화의 결연형 증가와 세속화 양상 - 『한국구비문학대계』와 '개정·증보 사업'의 자료를 중심으로 - (Increase of Match-ending type of 'Ureonggaksi' folktale and its secularization : focusing on materials from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of Korean Folklore』(1979-1985) and 'The Revision And Enlargement project' (2008-2018))

  • 유진아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467-493
    • /
    • 2018
  • 이 연구는 '우렁각시 설화'에 나타나는 '결연형'의 증가 양상과 세속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한국구비문학대계"(1979-1985)와 그 후속 작업인 '한국구비문학대계 개정 증보 사업'(2008-2018)에서 채록된 '우렁각시 설화' 71편의 유형을 분석하고, 결연형을 중심으로 세속화 양상을 관찰하였다. '우렁각시 설화'에 관한 자료를, "대계"를 기준으로 1910-70년대 자료와 1980년대 이후의 자료로 나누었다. 80년대 이후 "대계"와 '개정 증보 사업'의 자료에서는 결연형(단순형, 복합형)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결연형은 "대계"와 '개정 증보 사업'에서 채록한 '우렁각시 설화'의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별형(34%)의 2배에 가까운 수치를 보여준다. 우렁각시 설화의 결연형에서는 '금기 화소'가 사라지고, 금기 화소가 제시되더라도 금기 파기형보다는 금기 순응형이 더 많이 나타났다. 이는 파기됨으로써 신성혼의 의미를 강조하는 '금기'의 기능이 약해졌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오히려 '금기'에 순응함으로써 남녀 결연을 이루고자 하는 인식이 나타난다. 우렁각시의 탈신성화에 따라 우렁각시와 총각의 결연은 평범한 남녀의 결연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금기 화소가 제시되지 않는 결연형의 증가와 남녀 결연을 중심으로 서사가 전개되는 '지하국 대적 퇴치형'의 등장 양상은 우렁각시 설화의 세속화 양상과 연계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실 중심의 세계관이 반영됨에 따라 신성시 되는 존재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사라지고, 현실 세계에서의 남녀의 결연을 통해 행복한 결말을 추구하는 의식이 엿보인다. 이 논문은 2010년대 '개정 증보 사업'에서 채록된 '우렁각시 설화' 37편을 연구대상에 포함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개정 증보 사업'에서는 남녀 결연담으로서 성격이 짙은 '지하국 대적 퇴치형'도 새로이 관찰된다.

1960-70년대 뉴욕의 한국작가: 이주, 망명, 디아스포라의 미술 (Art of Dislocation, Exile, and Diaspora: Korean Artists in New York in the 1960s and 1970s)

  • 양은희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6호
    • /
    • pp.107-137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a number of Korean artists-Whanki Kim, Po Kim, Byungki Kim, Lim Choong-Sup, Min Byung-Ok and etc-working in New York in the 1960s and 1970s, focusing on their motivations to head for the U.S. and their life and activity in the newly-emerged city of international art. The thesis was conceived based upon the fact that New York has been one of the major venues for Korean artists in which to live, study, travel and stay after the Korean War. Moreover, the United States, since 1945, has had a tremendous influence upon Korea politically, socially, economically, and, above all, culturally.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major sections. The first one attends to the reasons that these artists moved out of Korea while including in this discussion, the long-standing yearning of the Korean intelligentsia to experience more modernized cultures, and American postwar cultural policies that stimulated them to envision life beyond their national parameters, in a country heavily entrenched in Cold War ideology. The second part examines these artists' pursuit of abstraction in New York where it was already losing its avant-garde status as opposed to the style's cutting edge cache in Korea. While their turn to abstraction was outdated from New York's critical perspective, it was seen to be de rigueur for Koreans that had developed through phases from Art Informel in the 1960s to Dansaekhwa (monochromatic paintings) in the 1970s. The third part focuses on the artists' struggle while caught between a dualistic framework such as Korea/U.S, East/West, center/margin, traditional/modern, and abstraction/figuration. Despite such dichotomic frames, they identified abstract art as the epitome of pure, absolute art, which revealed their beliefs inherited from western modern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fore 1910-1945. In fact, their reality as immigrants in America put them in a diasporic space where they oscillated between the fixed, essentialist Korean identity and the floating, transforming identity as international artists in New York or Korean-American artists. Thus their abstract and semi-abstract art reflect the in-between identity from the diasporic space while demonstrating their yearning for a land of political freedom, intellectual fulfillment and the continuity of modern art's legacy imposed upon them over the course of Korea's tumultuous history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making the artists as precursor of transnational, transcultural art of the global age in the twenty-first century.

  • PDF

20세기 웨딩드레스의 유행변화에 관한 연구 I (A Study I on the fashion trends of wedding dresses in the 20th century)

  • 신경섭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5호
    • /
    • pp.69-8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unveil the dynamic changes of the trends in wedding dresses during the 20th Century.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in two forms; firstly by observing the actual wedding dresses worn by people at that time, and secondly by conducting formative comparisons between those dresses with the ones appeared in movies corresponding to that period. Movies provide an invaluable insight into the era's wedding dresses fashion trends since they function as intimate bridges in connection with the time's audience, and the visible imageries accurat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embedded within that time frame. As there are no precedent studies regarding this topic, this thesis can serve as vital research data for the wedding dress industry. Research data regarding the actual wedding dresses were collected from books and museum web sites. The object of movies were films produced before World War II that contained both the background settings of the 20th Century and wedding dresses, of which photographic imageries were captured. Research analysis was then conducted by merging these data with findings from relevant books and internet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thesis are as the following: The 1900s was an extension of the 19th Century's popular fashion trend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 curve silhouettes of the Edwardian period when long trains and long veils symbolized wealth and social power. In the 1910s, high waist silhouettes with soft wrinkles were prevalent as attire suitable for active mobility with practical functionality were highly regarded. During the 1920s, the flapper style became the dominant trend. Hem lines of the skirts were curled in the form of the scallop and laces were the most widely used raw materials. By the 1930s, wedding dresses that reinterpreted the glamorous sheath lines, practical two piece styles, and retro-styles became predominant. The 1940s saw the advent of ready-made wedding dresses made of synthesized materials; practical military style suits and casuals sometimes substituted the wedding dresses. And although the wedding dresses in the movies were primarily costumes to express the personalities of the characters, they were also reinterpreted as manifestations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relative period that pursued very distinct and diverse features.

구한말${\sim}$일제강점기 한강 중류지역에 있어서 교통기관의 발달에 따른 유통구조의 변화 (Changes of Periodic Markets by Transportation Facilities Development in the Middle Stream Region of Han-River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Japanese Colony Period)

  • 김재완;이기봉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6
    • /
    • 2000
  • 구한말과 일제시기 동안 조선 후기의 유통구조는 근본적인 변화를 겪었는데, 한강 중류지역의 변화를 통해 그 변화 모습의 대강을 찾아볼 수 있었다. 구한말과 1900년대 초반 원거리 운송은 주로 한강 수운에 의해, 단거리 운송은 소와 사람에 의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포구가 원거리 운송의 결절점으로서 물자 이출입의 통로 역할을 하였다. 1905년 경부선 철도의 개통과 1911년부터 대대적으로 벌어진 신작로 개설 및 우마차의 본격적인 사용은 한강 원거리 유통구조에 일대 혁신을 불러왔다. 이출부분에서 경부선 철도의 개통으로 현재의 이천시와 용인시 안성시의 행정적 경계가 경부선과 남한강 수운 영향권의 경계선으로 등장하였다. 이입부분에서는 경부선 철도의 개통으로 철도역과 관계되어 있는 안성장, 오산장, 수원장 등이 고차중심지로 새롭게 떠오르고, 우마차의 본격적인 사용으로 중 단거리 운송비가 1/4 정도로 절감됨에 따라 서울 한강변 포구와의 경쟁력이 급속히 강화되어 남한강 서쪽지역의 대부분까지 그 영향권을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1927년 천장선(天長線)(천안${\sim}$장호원), 1932년 수려선(水驪線) 철도(鐵道)가 개통(開通)됨으로써 원거리 유통구조는 다시 한번 변화를 겪게 된다. 이들 노선의 개통으로 이출부분에서 여주 이천 남쪽 지역의 대부분을 철도가 장악함으로써 남한강 수운에 대한 결정적 타격을 입히게 되었다. 이입부분에서는 한강 중류지역으로부터 유입되던 물자가 경부선 철도역 장시들을 통하지 않고 직접 들어오게 됨에 따라 안성장, 오산장, 수원장의 한강 증류지역에 대한 고차중심지적 성격이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양평 지역은 1930년대까지도 철도의 영향권 밖에 있었기 때문에 남한강 수운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중앙선이 1939년 양평까지, 1942년 원주까지 개통됨에 따라 비슷한 변화가 나타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일제강점기 창경궁 장서각(구 이왕가박물관) 주변의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Changes around Jangseogak(Former Yi Royal-Family Museum) in Changgyeonggu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이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0-23
    • /
    • 2021
  • 일제강점기 조선의 궁궐은 많은 부분 훼손되었다. 창경궁은 특히 동물원과 식물원, 박물관 등이 건립되면서 가장 많이 훼철된 궁궐이다. 본 연구는 창경궁 내전 구역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으로 여겨졌던 자경전 터의 바로 옆에 자리 잡은 장서각(이왕가박물관)의 건립 과정을 사료와 현장 조사를 통해 고찰하였다. 1911년에 건립된 장서각은 창경궁 전체를 내려다보는 위치이자 멀리 남산의 경성신사를 바라볼 수 있는 곳에 자리 잡았다. 장서각의 건립 과정에서 주변 공간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10년대 초에는 장서각 터를 조성하기 위해 자경전 후면부 동산의 지형과 장고(醬庫) 일부가 훼손되었다. 장서각 전면부에 앞마당을 조성하면서 장대석 석축을 시공하였으며, 남쪽으로 계단을 설치하였다. 이 과정에서 양화당 후면부의 석계의 원형은 파괴되었고, 정일재나 기타 건물 등은 철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1920년대에는 많은 전각이 헐리고 평탄화 작업을 거쳐 동식물원과 박물관이 완공되었다. 장서각이 완공된 후에는 내전과 주변의 관람동선도 변경되었다. 장서각 앞마당과 계단 주변의 화계에는 벚나무와 모란을 심고, 양화당과 집복헌 사이에는 일본식 정원을 조성하였다. 셋째, 1930년대에는 장서각 주변의 동선이 현재의 모습으로 완성되었으며, 박물관인 장서각과 동식물원, 그리고 벚나무 동산이 된 창경궁은 일본식 문화공원으로 탈바꿈되었다. 그 이후 철거될 때 까지 주변 공간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현재 궁궐의 복원은 문화재청의 장기적이고 국가적인 사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후 창경궁 내전권역의 복원 계획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향후 관련 연구자들에게 또 다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김천 대휴사(大休寺)의 일본 불교 존상과 일제강점기 대구 편조원(遍照院) (Japanese Buddhist Sculptures of Daehyusa Temple(大休寺) in Gimcheon(金泉) Enshrined in the Henjoin Temple(遍照院) in Daegu(大邱)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배재호
    • 미술자료
    • /
    • 제101권
    • /
    • pp.48-65
    • /
    • 2022
  • 경상북도 김천 대휴사(大休寺)의 일본 불교 존상은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는 1910년경에 일본 신의진언종지산파(新義眞言宗智山派)가 대구에 설치한 별원(別院), 즉 대구 편조원(遍照院) 본당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이들 존상 중 목조홍법대사좌상(木造弘法大師坐像)은 일본 진언종을 개창한 고보다이시 쿠카이(弘法大師 空海, 774-835)의 모습이며, 목조대일여래좌상(木造大日如來坐像)과 목조부동명왕좌상(木造不動明王坐像)은 진언종의 불교 사상과 신앙을 대표하는 존상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대일여래상, 홍법대사상, 부동명왕상은 대부분 마애상이나 석조상으로, 대휴사의 존상들은 당시 일본 사찰에 봉안된 나무로 만든 일본 불교 존상이라는 점에서 매우 주목된다. 이들 불교 존상은 조형적으로는 근대적인 미감을 갖추고 있지만, 그 도상적인 연원은 헤이안(平安)시대(794-1185)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즉 대일여래상은 신의진언종을 개창한 고교다이시 가쿠반(興敎大師 覺鑁, 1095-1143)이 만든 대일여래상의 신앙적인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홍법대사상은 고보다이시 쿠카이의 제자였던 신뇨신노(眞如親王)가 그린 신뇨신노 스타일[樣]을 따르고 있고, 부동명왕상은 겐죠(玄祖) 스타일의 십구관(十九觀) 부동명왕상을 답습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대구 편조원에 봉안되었던 당시의 모습은 구체적으로 알 수가 없지만, 이들 존상은 신의진언종의 삼륜신상(三輪身像)으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대일여래상, 홍법대사상, 부동명왕상이 각각 자성륜신(自性輪身), 정법륜신(正法輪身), 교령륜신(敎令輪身)의 성격을 지녔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1950년대 전반의 실달사(悉達寺)(대구 편조원의 후신)의 상황이긴 하지만, 그 전신인 일제강점기의 대구 편조원에서 고보다이시 신앙의 전통이 계승되고 있었음을 추측하게 하는 본당 내부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달사 본당에 놓여 있던 유골들은 11세기 이후 고보다이시 신앙과 함께 유행했던 고야산(高野山)의 납골(納骨) 신앙의 전통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