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6S rDNA partial sequencing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8초

치태 형성과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Lactobacillus salivarius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ALIVARIUS INHIBITING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AND THE PRODUC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 김미형;최남기;김선미;오종석;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44-356
    • /
    • 2005
  • 우리 인체에는 의학적으로 유용한 기능을 가진 세균들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며 구강내에도 독특한 기능을 나타내는 세균들이 상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치아우식증이 없는 소아의 타액에서 분리한 유산균 2주가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한 인공치태 형성과 혐기성 세균에 의한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고, API 50 CHL medium kit를 이용한 생화학적 검사와 16S rDNA sequencing으로 동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리균주는 2주 모두 그람양성 간균으로 과산화수소를 생성하였다. 2. 인공치태의 무게는 Streptococcus mutans의 단독 배양시 $124.4{\pm}30.4mg$이었으나, 분리균주와 병합 배양시에는 각각 $5.2{\pm}2.0mg,\;10.6{\pm}6.6mg$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3. Streptococcus mutans의 생균수는 단독 배양시 ml당 $3.4{\times}10^9$이었으나, 분리균주와 병합 배양시에는 각각 ml당 $4.6{\times}10^8$$2.4{\times}10^8$으로 감소하였다. 4. Fusobacterium nucleatum을 30분간 진탕한 후 측정한 상청액의 흡광도는 1.286이었으나, Fusobacterium nucleatum과 분리균주를 병합으로 30분간 진탕한 후 측정한 상청액의 흡광도는 각각 0.628과 0.497로 감소하였으며, 상호 결합 정도는 29.4%와 57.8%이었다. 5. Fusobacterium nucleatum의 단독 배양시 cysteine과 $FeSO_4$를 첨가한 배지를 가한 후 측정한 침전물의 배지 흡광도는 1.794이었으나, 분리균주와 병합 배양시 측정한 침전물의 배지 흡광도는 각각 1.144와 0.915로 감소하였으며, Porphyromonas gingivalis 단독 배양시 침전물의 배지 흡광도는 1.932이었으나 분리균주와 병합 배양시에는 침전물의 배지 흡광도가 각각 1.170과 1.266으로 감소하였다. 6. 분리균주를 API 50 CHL medium kit로 탄수화물 발효검사를 시행한 결과, 분리균주 1주는 Lactobacillus salivarius로, 다른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로 동정되었다. 7 분리균주를 16S rDNA partial sequencing으로 동정한 결과, 2주 모두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와 유전자 유사치가 99.60%, 99.73%를 보여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치아우식증이 없는 소아의 타액에서 분리된 유산균 중 과산화수소를 분비하여 인공치태 형성과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

  • PDF

Screening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Heterosigma akashiwo, a Red-Tide Causing Organism, Induced by Exposure to High Light

  • Ko, Young-Seok;Cho, Kyung-Je;Moon, Byoung-Yong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8권3_4호
    • /
    • pp.93-97
    • /
    • 2001
  • Heterosigma akashiwo has been reported as red-tide causing phytoplankton in the Korean coastal area during summer when they are exposed to high light. It also shows photosynthetic adaptability to strong light during culture in the laboratory.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s, we tried to find out some genes specifically expressed in Heterosimga akashiwo during exposure to high light, assuming that they might have some resistant mechanisms associated with light adaptation.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DD-PCR to detect differentially expressed mRNAs from cells that had been illuminated under high light for 3 days. We found eight cDNA clones that had been expressed specificically for high light. When they were further screened by reverse Northern hybridization, three of them were identified to be positive cDNA clones. When these cDNA fragments were subjected to DNA sequencing and then their base sequences were compared to GenBank database, one of them showed sequence homology 86% identical to the partial sequence of 16S rRNA gene of eubacterium CRO-18.

  • PDF

18S rDNA를 이용한 인삼(Panax ginseng)의 내생균근 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Colonizing Panax ginseng Using 18S rDNA Sequence)

  • 어주경;김동훈;정현숙;엄안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182-186
    • /
    • 2004
  • 아바스큘라 내생균근(arbuscular mycorrhizae, AM) 균은 대부분의 육상식물 뿌리와 공생하며,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균이다. 인삼은 다년생 식물로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약재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8개 지역에서 인삼을 채집하여 AM 균을 염색을 통하여 형태적으로 관찰하고,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뿌리내에 공생하는 다양한 AM 균을 확인하였다. 인삼의 뿌리에 감염되어 있는 AM 균을 염색하여 형태적으로 관찰한 결과 감염률이 낮고 흐리게 염색되었다. 또한 균사와 vesicle 이 발견되었고 이들은 Arum type 으로 판단되지만 arbuscule을 관찰하지 못했기 때문에 Arum-type으로 단정하기는 어려웠다. 식물 내에 공생하는 AM균들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채집된 인삼의 뿌리에서 내생균근 균의 DNA를 AM균에 특이적인 18s rDNA primer를 이용한 nested PCR을 수행하여 AM 균의 18S rDNA중 일부를 확보하였다. 증폭된 DNA는 클로닝을 통해서 개별 내생균근 균 종의 염기서열들로 분리하였고, 이들은 AluI, HinfI과 같은 제한 효소를 사용하여 RELP하였다. RELP 패턴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각 그룹에서 1개씩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염기서열은 기존의 서열과의 유사성과 계통 관계의 분석을 통하여 모두 AM균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다음 2개의 종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araglomus brasilianum, Glomus spurcum이 중 Paraglomus에 속하는 종인 P. brasil-ianum. 이 인삼의 뿌리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어 이들 균과 인삼과의 특이적 관계에 관하여 추측할 수 있었고, G. spurcum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된 염기서열들이 계통도 상에서 특이한 분지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분지에 대해서는 확충된 염기서열들과 비교 분석과 같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주황해변해면(Hymeniacidon sinapium) 공생세균 군집의 계절적 차이 (Seasonal Differences of Bacterial Communities Associated with the Marine Sponge, Hymeniacidon sinapium)

  • 정종빈;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62-269
    • /
    • 2012
  • ARDRA (amplified ribosomal DNA restriction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주황해변해면(Hymeniacidon sinapium)의 배양 가능한 공생세균 군집에 대하여 봄과 여름의 계절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공생세균의 배양은 변형된 Zobell 배지와 MA 배지를 사용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16S rDNA를 증폭하고 제한효소 HaeIII와 MspI을 이용하여 제한효소 type을 구별하였다. 그 결과 봄 해면인 경우 23개, 여름인 경우 28개의 ARDRA type을 구별할 수 있었다. 각 type 별로 1-3개의 분리균주를 선별하여 부분 염기서열 분석 결과, 알려진 세균 종과 94%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봄 해면으로부터 분리된 세균들은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Firmicutes, Actinobacteria, 4개의 문(phylum)에 속하였으며 여름 해면의 공생세균은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Firmicutes, Bacteroidetes, 5개의 문에 포함되었다. Gammaproteobacteria는 봄 해면에서 33.8%, 여름 해면에서 67.4%가 각각 관찰되어 두 계절에서 우점 하는 세균그룹으로 나타났으며 여름철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irmicutes와 Actinobacteria의 경우 봄 해면에서 각각30.2%, 8.3%로 관찰된 반면 여름해면에서는 6.9%, 0%로 관찰되어 여름철에 감소하는 세균 그룹이었다. Betaproteobacteria(4.7%)와 Bacteroidetes (4.7%)는 여름 해면에서만 관찰되었다. H. sinapium 해면에서 봄철에 비해 여름철에 더 다양한 세균그룹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동일한 해면 종일지라도 계절에 따라 공생세균 군집에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Zoogloea Ramigera 115SLR로부터 다당류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리 및 염기서열 결정 (Cloning and Sequencing of a Gene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Exopolysaccharide in Zoogloea Ramigera 115SLR)

  • Sam-Pin Lee;Min Y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
    • /
    • 2000
  • Zoogloea ramigera 115SLR로부터 다당류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해서 균주의 genomic DNA로부터 제조된 gene bank로부터 plasmid pLEX3이 얻어졌다. 이로부터 재조합된 5.0 kb DNA fragment를 포함하는 plasmid pLEX10은 다당류의 형태를 변환시키는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upstream 영역에 해당하는 1.7 kb DNA fragment가 분리되었다. 1.7 kb DNA 염기서열의 결과로부터 단백질을 인지 할 수 있는 2개의 ORF가 존재하였으며, 50 kDa 단백질을 인지 할 수 있는 ORF3은 X. campestris의 다당류 생합성 유전자들인 gumC와 R. meliloti의 exoP와 아미노산의 동질성을 나타내었다. ORF4는 N-terminal 영역이 결여된 단백질을 인지하며, Thermotoga maritime의 다당류 export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동질성을 보였다. Z. ramigera 115SLR and Z. ramigera 115SLR/pLEX10은 각각 slime또는 capsule 형태의 다당류를 생합성하며 이들로부터 생합성된 다당류양은 각각 0.26% (w/v) and 0.16% (w/v)였다.

  • PDF

First Report of Pectobacterium aroidearum Causing Soft Rot on Zamioculcas zamiifolia

  • Kyoung-Taek Park;Soo-Min Hong;Leonid N. Ten;Chang-Gi Back;Seung-Yeol Lee;In-Kyu Kang;Hee-Young Jung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445-451
    • /
    • 2023
  • Zamioculcas zamiifolia is a popular indoor ornamental plant in Korea. In August 2021, a severe outbreak of soft rot disease affected Z. zamiifolia in Emseong, Chungcheongbuk-do, Korea. Infected plants displayed wilting, water-soaked lesions, stem collapse, and green-brown discoloration. The bacterial strain KNUB-05-21 was isolated from infected stems and identified as Pectobacterium aroidearum using 16S rRNA nucleotide sequencing and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based on partial sequences of dnaX, leuS, and recA genes. Confirmation of its affiliation with P. aroidearum was also obtained through bio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To confirm the pathogenicity of strain KNUB-05-21, its suspension was injected into Z. zamiifolia stems. Within a week, soft rot developed on the stems, exhibiting symptoms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field-infected plants. The reisolated strain was identical to those of P. aroidearum. Before this study, P. aroidearum was not reported as a causative pathogen of Z. zamiifolia soft rot in Korea.

Partial denture metal framework may harbor potentially pathogenic bacteria

  • Mengatto, Cristiane Machado;Marchini, Leonardo;de Souza Bernardes, Luciano Angelo;Gomes, Sabrina Carvalho;Silva, Alecsandro Moura;Rizzatti-Barbosa, Celia Maris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6호
    • /
    • pp.468-474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and compare bacterial diversity on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RPD) framework over time. MATERIALS AND METHODS. This descriptive pilot study included five women who were rehabilitated with free-end mandibular RPD. The biofilm on T-bar clasps were collected 1 week ($t_1$) and 4 months ($t_2$) after the RPD was inserted ($t_0$). Bacterial 16S rDNA was extracted and PCR amplified. Amplicons were cloned; clones were submitted to cycle sequencing, and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GenBank (98% similarity). RESULTS. A total of 180 sequences with more than 499 bp were obtained. Two phylogenetic trees with 84 ($t_1$) and 96 ($t_2$) clones represented the bacteria biofilm at the RPD. About 93% of the obtained phylotypes fell into 25 known species for $t_1$ and 17 for $t_2$, which were grouped in 5 phyla: Firmicutes ($t_1=82%$; $t_2=60%$), Actinobacteria ($t_1=5%$; $t_2=10%$), Bacteroidetes ($t_1=2%$; $t_2=6%$), Proteobacteria ($t_1=10%$; $t_2=15%$) and Fusobacteria ($t_1=1%$; $t_2=8%$). The libraries also include 3 novel phylotypes for $t_1$ and 11 for $t_2$. Library $t_2$ differs from $t_1$ (P=.004); $t_1$ is a subset of the $t_2$ (P=.052). Periodontal pathogens, such as F. nucleatum, were more prevalent in $t_2$. CONCLUSION. The biofilm composition of the RPD metal clasps changed along time after RPD wearing. The RPD framework may act as a reservoir for potentially pathogenic bacteria and the RPD wearers may benefit from regular follow-up visits and strategies on prosthesis-related oral health instructions.

Heterotrophic Bacterial Growth on Hoses in a Neonatal Water Distribution System

  • Buffet-Bataillon, Sylvie;Bonnaure-Mallet, Martine;De La Pintiere, Armelle;Defawe, Guy;Gautier-Lerestif, Anne Lise;Fauveau, Severine;Minet, Jacque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779-781
    • /
    • 2010
  • After preliminary tests indicated an increased number of heterotrophic bacteria, we investigated possible sources of contamination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water distribution syst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of flexible metallic hoses associated with the system revealed the presence of a biofilm; partial 16S rDNA sequencing revealed that the biofilm contained Blastomonas natatoria. Purgation of the water system three times a day, reinforced faucet cleaning, decreasing the cold water temperature to $12^{\circ}C$, and six repeated chlorinations at concentrations as high as 2 mg/l were not sufficient to eradicate the bacterial contamination. Replacing all of the rubber-interior flexible metallic hoses with teflon-lined hoses, followed by heating the water to $70^{\circ}C$, successfully controlled the bacteria.

김치에서 tetracycline 내성 유산균의 분리 (Isolation of Tetracycline-resistant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강효진;김병천;박완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
    • /
    • 2004
  • 대구지역에서 수집한 50점의 김치 중에서 10점의 김치로부터 tetracycline내성 세균을 분리하였다. 이 균주들의 tetracycline에 대한 MIC는 25-100 mg/l 이상의 범위로 분포하였으며 다른 항생제에 대한 내성도 다양하였다. tet(M), tet(O)특이적 primer를 이용한 PCR에서 HJ9 한 균주에서만 tet(M)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tet(M)은 플라스미드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J9 균주의 tet(M)부분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기존에 보고된 Gram양성균의 tet(M)의 DNA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과 각각 90-99%, 94-100%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165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HJ9 균주는 Lactobacillus sakei로 동정되었다. 김치를 통하여서도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전파 확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Polyphasic Analysis of the Bacterial Community in the Rhizosphere and Roots of Cyperus rotundus L. Grown in a Petroleum-Contaminated Soil

  • Jurelevicius, Diogo;Korenblum, Elisa;Casella, Renata;Vital, Ronalt Leite;Seldin, Lucy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5호
    • /
    • pp.862-870
    • /
    • 2010
  • Cyperus rotundus L. is a perennial herb that was found to be dominating an area in northeast Brazil previously contaminated with petroleum. In order to increase our knowledge of microorganism-plant interactions in phytoremediation, the bacterial community present in the rhizosphere and roots of C. rotundus was evaluated by culture-dependent and molecular approaches. PCR-DGGE analysis based on the 16S rRNA gene showed that the bacterial community in bulk soil, rhizosphere, and root samples had a high degree of similarity. A complex population of alkane-utilizing bacteria and a variable nitrogen-fixing population were observed via PCR-DGGE analysis of alkB and nifH genes, respectively. In addition, two clone libraries were generated from alkB fragments obtained by PCR of bulk and rhizosphere soil DNA samples. Statistical analyses of these libraries showed that the compositions of their respective populations were different in terms of alkB gene sequences. Using culturedependent techniques, 209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and rhizoplane/roots of C. rotundus. Dot-blot analysis showed that 17 strains contained both alkB and nifH gene sequences.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ing revealed that these strains are affiliated with the genera Bosea, Cupriavidus, Enterobacter, Gordonia, Mycoplana, Pandoraea, Pseudomonas, Rhizobium, and Rhodococcus. These isolates can be considered to have great potential for the phytoremediation of soil with C. rotundus in this tropical soi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