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6-bits Processor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2초

분산전원 전력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 하드웨어 테스트 (Embedded Hardware Tests for a Distributed Power Quality Monitoring System)

  • 신명준;김성종;손영익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51-153
    • /
    • 2006
  • When distributed powers are interconnected to the grid, lack of source stability may cause some events that should be measured and stored as soon as they occur. This paper presents a real-time hardware system that has been developed for quick and reliable monitoring of the distributed powers quality. The system is composed of a digital signal processor (MPC7410, Motorola) and a 16 bits A/D board (VMIVME3122, GE). To guarantee the real time operation, it is based on a real time OS (VxWorks). Hardware tests of the embedded system have been made to check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system. Test signals of several events are generated by using a LabView (hardware) system. The tests show that the system complies with the desired IEEE standard for power quality monitoring.

  • PDF

ARM9 $Thumb^{\circledR}$ 프로세서 코어를 이용한 G.729A의 실시간 구현 (Real-time Implementation of the G.729 Annex A Using ARM9 $Thumb^{\circledR}$ Processor Core)

  • 성호상;이동원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63-6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국제 통신 표준화기구인 ITU-T의 SG15에서 채택된 G.729 Annex A (이하G.729A)음성 부호화기를 ARM9 Thumb/sup R/ 프로세서 코어에 적용 가능하도록 전체 모듈을 다양한 최적화방법을 이용하여 어셈블리어로 실시간 구현하였다. G.729A는 8 kbit/s의 전송률을 갖는 ITU-T표준 음성 부호화기이며, 입력신호는 8 kHz로 샘플링되며 샘플당 16 비트로 양자화된 PCM신호이다. G.729A는 앞서 표준화된 G.729와 비트단위로 상호호환 가능하며 계산량을 대폭 감소시킨 버전이다. 구현된 G.729A음성 부호화기는 부호화기와 복호화기 부분이 각각 약 35 MIPS 및 8 MIPS의 복잡도를 나타내며, 사용된 메모리양은 프로그램 ROM 36.5 kBytes, RAM 6.3 kBytes이다 구현된 G.729A 음성 부호화기는 ITU-T에서 제공하는 9개의 테스트 벡터를 모두 통과하였다.

  • PDF

고성능, 저전력 임베디드 비디오 프로세서를 위한 YUV 인식 명령어의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YUV-Aware Instructions for High-Performance, Low-Power Embedded Video Processors)

  • 김철홍;김종면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3권5호
    • /
    • pp.252-259
    • /
    • 2007
  • 멀티미디어 응용과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발전 속도가 급속하게 빨라짐에 따라 고성능, 저전력 멀티미디어 처리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고성능, 저전력 임베디드 비디오 프로세서를 위한 YUV (Y: 휘도신호, U, V: 색차신호) 인식 명령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멀티미디어 전용 명령어 (e.g., MMX, SSE, VIS, AltiVec)는 일반적인 서브워드 병렬 기법을 이용하여 적당한 성능향상을 꾀하는 반면, 제안하는 YUV 인식 명령어는 두 쌍의 16-bit YUV (6-bit Y, 5-bits U, V) 데이타를 32-bit 레지스터에 저장하여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칼라 비디오 처리 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타 포맷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임베디드 슈퍼 스칼라 프로세서에서 모의 실험한 결과, YUV 인식 명령어 기반 프로그램은 baseline 프로그램에 비해 3.9배 성능 향상을 보인 반면, 동일한 프로세서 환경에서 Intel의 대표적인 멀티미디어 명령어인 MMX기반 프로그램은 baseline 프로그램보다 단지 2.1배의 성능 향상을 보인다. 또한 YUV 인식 명령어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평균 75.8% 소모 에너지를 감소시킨 반면, MMX는 단지 54.8%의 소모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인다.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최적의 플리커 프리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구현 (Implementation of Optimal Flicker Free Display Controller for LED Display System)

  • 이주연;김대순;이종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6호
    • /
    • pp.123-13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적인 구동방식에서 LPM 모듈의 구성에 관계없이 휘도구현 비트를 16비트 이내, 휘도 구현 펄스를 512개 이내에서 최적의 플리커 프리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를 구현하였다. 구현방법으로는 완전한 색 표현을 위한 기존의 시프트-래치 방법을 변형하여 여러 번의 시프트-래치를 수행하게 하여 스캔횟수를 늘림으로써 리플레시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로 기존의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리플레시율이 240~480[Hz]를 수행하지만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면 리플레시율을 2,040[Hz] 이상으로 높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플리커 현상을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임베디드 병렬 프로세서를 위한 칼라미디어 명령어 구현 (Color Media Instructions for Embedded Parallel Processors)

  • 김철홍;김종면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5권7호
    • /
    • pp.305-317
    • /
    • 2008
  • 최근 모바일 컴퓨팅 환경의 변화로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고성능, 저전력 처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프로세서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전용 가속기 기능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고성능, 저전력 멀티미디어 처리를 위한 SIMD 병렬 프로세서용 칼라미디어 명령어를 제안한다. 기존의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용 멀티미디어 명령어 (e.g., MMX, VIS, AltiVec)는 4개의 8 비트 픽셀을 32 비트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처리하는 반면에, 제안하는 칼라미디어 명령어는 인간의 시각이 칼라에 덜 민감한 점을 고려하여 32비트 데이타패스 아키텍처에서 두 쌍 (6개의 픽셀)의 압축된 16비트 YCbCr (6비트 Y, 5비트 Cb와 Cr) 데이타를 32비트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YCbCr 데이타 처리에서 높은 병렬성과 효율성을 보여준다. 또한 칼라미디어 명령어는 데이타 포맷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전체시스템의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데이타 대역폭의 감소로 시스템 디자인을 간소화한다. SIMD 병렬 프로세서 아키텍처에서 모의 실험한 결과, 칼라미디어 명령어 기반 프로그램은 baseline 명령어 프로그램보다 평균 6.3배 성능향상을 보여준다. 반면, Intel의 대표적인 멀티미디어 명령어인 MMX 기반 프로그램은 동일한 SIMD 병렬 프로세서에서 baseline 명령어 프로그램보다 단지 3.7배 성능향상을 나타낸다. 또한, 칼라미디어 명령어는 MMX보다 시스템 면적 효율 (52% 증가 대비 13% 증가)과 시스템 전력 효율 (50% 증가 대비 11% 증가)에서 우수성을 보여준다. 칼라미디어 명령어는 이러한 성능과 효율을 단지 3%의 시스템 면적과 5%의 시스템 전력의 증가로 얻는 반면, MMX는 14%의 시스템 면적과 16%의 시스템 전력증가가 요구된다.

반도체 소자용 자동 Die Bonder 기계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Die Bonder Machine for Semiconductor Automatic Assembly)

  • 변증남;윤명중;오상록;오영석;서일홍;안태영;권구빈;김제옥;김정덕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7년도 전기.전자공학 학술대회 논문집(I)
    • /
    • pp.284-287
    • /
    • 1987
  • In this pape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ultiprocessor based Die Bonder Machine for the semiconductor will be described. This the partial research result, that is, the 1st year portion of the project to be performed for a period of two years from June, 1986 to May, 1988. The mechanical system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ubsystems : (i) transfer head unit, (ii) die feeding XY-table unit, and (iii) plunge up unit. The overall control system is designed to be essentially a master-slave type in which each slave is functionally fixed in view of software and also the time shared common bus structure with hardwired bus arbitration scheme is utilized, the control system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ubsystems each of which employs a 16 bits microprocessor MC 68000 : (i) die bonder processor controller, (ii) visual recognition/inspection and display system, (iii) the servo control system. It is reported that the proposed control system were applied to Working Sample and tested in real system, and the results are successful as a working sample phase.

  • PDF

ARM926EJ-S 프로세서 코어를 이용한 G.729.1의 실시간 구현 (Real-Time Implementation of the G.729.1 Using ARM926EJ-S Processor Core)

  • 소운섭;김대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8C호
    • /
    • pp.575-58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ITU-T의 SG15에서 채택된 G.729.1 광대역 음성 코덱을 ARM926EJ-S(R) 프로세서 코어에 적용하기 위해 기본연산자 및 산술기능 함수를 포함한 G.729.1 코덱 프로그램 일부를 어셈블리어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동작하도록 구현한 절차 및 결과를 기술하였다. G.729.1은 $8{\sim}32kbps$의 가변 전송률을 갖는 ITU-T 표준 광대역 음성 코덱이며, 입력신호는 8kHz 또는 16 kHz로 샘플링 되어 샘플 당 16 비트로 양자화된 PCM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코덱은 앞서 표준화된 G.729 및 0.729A와 상호 호환이 가능하며 음질 향상을 위해 기존의 협대역($300{\sim}3,400Hz$)에 비해 대역폭을 광대역($50{\sim}7,000Hz$)으로 확장한 버전이다. 실시간으로 구현된 G.729.1 광대역 음성 코덱은 32kbps에서 인코더와 디코더 부분이 각각 약 31.2 MCPS 및 22.8 MCPS의 복잡도를 가지며, 실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실행 시간은 인코더와 디코더 평균 6.75ms와 4.76ms로 총 11.5ms가 걸렸다. 또한 이 코덱은 ITU-T에서 제공하는 모든 테스트 벡터에 대해 비트 단위로 정확하게 시험하여 통과하였으며, 실제 인터넷 전화기에 적용한 실시간 음성통화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