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3-$3{\beta}$

검색결과 1,348건 처리시간 0.032초

AGS 위암세포에서 Akt/GSK-3β/p53 신호경로 조절을 통한 벌사상자 에탄올 추출물의 G1 Cell Cycle Arrest 유도 효과 (Ethanol Extract from Cnidium monnieri (L.) Cusson Induces G1 Cell Cycle Arrest by Regulating Akt/GSK-3β/p53 Signaling Pathways in AGS Gastric Cancer Cells)

  • 임은경;김은지;김보민;김상용;하성호;김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17-425
    • /
    • 2017
  • 벌사상자는 여성의 생식기 질환이나 화농성 피부염에 주로 사용되어온 한약재로, 최근 들어 암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짐에 따라 벌사상자의 항암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벌사상자의 대표적인 성분인 osthole, xanthotoxol 등은 벤젠고리 화합물로 에탄올과 같은 유기용매에 잘 용해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AGS 위암세포에서 벌사상자 에탄올 추출물(CME)에 대한 세포주기 정지 유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CME 처리에 의한 AGS 위암세포의 증식 억제 유도 효과 및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와 LDH release assay를 실시한 결과,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인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CM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AGS 위암세포의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세포증식 억제 유도 효과가 세포주기 정지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CME를 농도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주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G1기의 세포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CME의 처리가 세포주기와 관련된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 analysis를 실시하여 G1기 세포주기 정지와 관련된 신호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CME의 처리가 세포 증식과 분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Akt와 p-GSK-$3{\beta}$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p53의 발현과 활성이 증가하여 p21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p21의 증가에 따른 cyclin E의 발현 감소와 CDK2의 비활성화 상태인 p-CDK(T14), p-CDK(Y15)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CME의 세포주기 억제 유도 효과가 일어나는 신호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LY294002(PI3K/Akt 저해제), BIO(GSK-$3{\beta}$ 저해제), Pifithrin-${\alpha}$(p53 저해제)를 CME와 각각 또는 병행 처리한 후 MTT assay, 세포주기 측정, western blot analysis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LY294002의 처리는 CME 처리군과 유사하게 세포생존율을 저해시키고 G1기 정지를 유도했으며, 세포주기 단백질을 조절하였다. 또한, GSK-$3{\beta}$와 p53 저해제를 처리하였을 때 CME를 병행 처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세포증식 억제나 G1기 정지와 같은 항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관련 신호경로 단백질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CME의 처리가 Akt/GSK-$3{\beta}$/p53 신호경로를 조절하여 cyclin E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CDK2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G1기 세포주기 정지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GC/MS를 이용한 고산 홍경천의 스테롤 구성에 대한 초기연구 (Primary study of sterols composition of Rhodiola sachalinensis by using GC/MS)

  • 김은철;이희봉;이동호;노경호
    • 분석과학
    • /
    • 제22권3호
    • /
    • pp.219-227
    • /
    • 2009
  • 고산 홍경천에 포함된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구성을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래픽 정제와 GC/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스테롤은 에탄올과 디클로로메탄을 각각 초음파와 Soxhlet의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클로로포름과 물로 액-액 추출을 수행하여 분배하였으며, 실리카 컬럼으로 정제하였으며, BSTFA를 사용하여 silyl유도 반응을 수행하였다. GC/MS를 이용하여 고산 홍경천에서 $\beta$-sitosterol, stigmasterol과 cycloartenol을 포함한 18가지 자유 스테롤과 9가지 포합체 스테롤을 검출할 수 있었다. 그중에서 cholest-5-ene-3-ol, cholesterol, stigmasterol, $\beta$-sitosterol은 스테롤 표준품으로 확인하고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스테롤은 클로로포름 분액에서 검출되었고, $C_{29}$는 여러 그룹 중에서 가장 많은 그룹이었다. $\beta$-sitosterol은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이며 상대함량은 45.94%이고, 차례로 ergost-7-ene-3-ol (11.33%), 4,14-dimethyl-ergosta-8,24(28)-diene-3-ol (7.07%), stigmasterol (6.09%), cycloartenol (5.43%)과 4-methyl-cholest-5-ene-3-ol (5.39%)이었다.

Phenolic Compounds of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 Han, Suk-Young;Park, Jong-Cheol;Park, Hee-Juhn;Lee, Ji-Hyon;Choi, Jae-Su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14-117
    • /
    • 1991
  •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quercetin, astragalin, isoquercitrin, quercetin 3-O-$\beta$-D-sambubioside and chlorogenic acid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data.

  • PDF

Synthesis of 6-Exomethylenepenams as $\beta-Lactamase$ Inhibitors

  • Im, Cha-Euk;Oh, Jung-Suk;Yim, Chul-Bu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68-71
    • /
    • 1999
  • The 6,6-dibromopenam (6) was treated with CH3MgBr and carbaldehyde 5 to afford the hydroxy compound 7, which was reacted with acetic anhydride to give acetoxy compound 8. The deacetobromination of 8 with zinc and acetic acid gave 6-exomethylenepenams, E-isomer 10 and Z-isomer 9, which was oxidized to sulfone 11 by m-CPBA. The p-methoxybenzyl compounds were deprotected by AlCl3 and neutralized to give the sodium salts 12, 13, and 14.

  • PDF

산모(産母)와 태아(胎兒)의 혈청 Cholesterol 및 Lipoprotein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olesterol and Lipoprotein in the Maternal and Fetal Serum)

  • 이귀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권2호
    • /
    • pp.75-82
    • /
    • 1972
  • Fifteen cases of primiparas and their offsprings (fetal cord)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 their serum total, free and esterified cholesterol by means of Liberman Buchard reaction. The serum ${\alpha}-and\;{\beta}-lipoprotein$ were analyzed by cellulose acetate electrophoresis, and the serum atherolipid numbers were calculated on the bases of th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beta}-/{\alpha}-$ lipoprotein ratio,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 1.Total, free and esterified cholesterol are $178.9{\pm}25.3$, $45.1{\pm}12.6$ and $133.7{\pm}20.6\;mg.%$ in the normal control women, $201.5{\pm}29.5,\;58.7{\pm}42.1$ and $157.1{\pm}26.2\;mg.%$ in the maternal blood, showing hypercholesterolemia in the latter as compared to the former. 2. The serum total, free and esterified cholesterol in the cord blood are $94.5{\pm}20.4$, $32.9{\pm}1.5$ and $61.2{\pm}18.9mg.%$, showing hypocholesterolemia as compared to the control women and maternal blood. 3. The serum ${\alpha}-$, $pre-{\beta}$, ${\beta}-lipoprotein$ and chylomicron are $24.2{\pm}4.2$, $17.3{\pm}3.4$, $51.8{\pm}4.8$ and $6.0{\pm}1.6%$ in the normal women, whereas $14.9{\pm}2.1$, $22.2{\pm}5.1$, $58.7{\pm}3.3 and 3.1{\pm}1.2%$ in the maternal serum, $32.4{\pm}8.1$, $28.8{\pm}2.4$, $25.8{\pm}7.0$ and $3.1{\pm}0.9%$ in the cord serum, showing $hyper-{\beta}-lipoproteinemia$ in the former and $hypo-{\beta}-lipoproteinemia$ in the latter. 4. The serum atherolipid number of the normal control women, maternal cord blood are $4.21{\pm}1.24$, $8.02{\pm}1.42$ and $1.12{\pm}0.37$, showing hyperlipemia in the former and hypolipemia in latter. 5. The relative ratio of the serum free and esterified cholestrol of both normal control women and maternal blood is about 1 : 3, while that of the fetal blood about 1 : 2. 6. The relative ratioes of the serum ${\alpha}-and$ ${\beta}-lipoprotein$ in the control women is about 1 : 2, that of materna blood about 1 : 3 and that of the fetal blood about equal magnitude. 7. The serum esterified cholesterol, ${\alpha}-lipoprotein,\;{\beta}-/{\alpha}-lipoprotein$ ratio and atherolipid number fluctuates are proportionally between the maternal and fetal blood, while the serum free, total cholesterol and ${\beta}-lipoprotein$ between the two vary inversel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elations. 8. It is apparent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fetal nutritional demand for lipids resulted from hypocholesterolemia and hypo ${\beta}-lipoproteinemia$ seems to be met satisfactorily by maternal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 ${\beta}-lipoproteinemia$, which seems to pose a significant maternal-infant nutritional relationship. A brief ciscussion was made on these conciusion in the light of biochemistry and endocrinology.

  • PDF

Neurospora crassa ars-1 프로모터의 발현율 조사 (Transcription level of the ars-1 promoter of Neurospora crassa)

  • 이병욱;구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1-196
    • /
    • 2003
  • Arylsulfatase를 암호화하는 Neurospora crassa의 ars-1 유전자는 황의 결핍에 의해서 발현이 조절된다. lacZ 유전자에 연결된 ars-1 프로모터 (Pars)가 N. crassa RLM 35-35 a his-3 inl 균주에 형질전환되고, 유사 서열 재조합에 의한 단일 교차에 의해서 염색체의 his-3 부위로 도입이 되었다. 황이 결여된 Vogel의 배지에서 자란 균사로부터 $\beta$-galactosidase 활성이 측정되었다. $\beta$-galactosidase 활성은 derepression 조건으로 변환한지 14 시간 후에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Microconidiation에 의해서 생산된 homokaryon에서 측정된 활성은 heterokaryon보다 17% 증가가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 실험은 ars-1 프로모터의 발현율을 측정할 수 있는 한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보다 수월한 ars-1 발현 조절 연구가 기능할 것이다.

효소처리한 도공지의 인쇄적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Printability Coated Paper by the Enzyme Treatment)

  • 김창근;양이석;김병현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22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nzyme treatment of fiber for printability of coated paper. The results could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amples with enzyme treatment (average 87.8%) have higher ink gloss than the blank (85.6%). Printed density showed same trends with the ink gloss. However, the ${\beta}$-Glucosidase treated sample showed the lowest printed density (2.14 %) due to the lowest thickness of the ink layer, which is influenced by coated weight and surface smoothness. 2. The samples whose base paper was Xylanase and ${\beta}$-Glucosidase treated showed higher surface strength (4.2% and 4.0%, respectively) than the blank while the samples with the Hernicellulase and ${\beta}$-Glucuronidase treatment showed lower surface strength (3.2%and 3.7%, respectively) due to the influence of air permeability. 3. Hemicellulase and ${\beta}$-Glucuronidase treated base paper, which have relatively low air permeability, showed better ink repellence (4.3 and 4.4 %, respectively) than the blank (3.8 %). 4. The blank and the Xylanase treated base paper showed high set-off, which is the last category of printability.

  • PDF

암 환자의 혈장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농도 (Plasma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Levels of Cancer Patients)

  • 전지현;이시은;이수진;박찬후;장정순;하우송;박순태;박병규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1-190
    • /
    • 1999
  • 한국인의 대표적인 성인 고형 종양인 위암, 간암, 유방암과 소아 백혈병 및 2종의 소아 고형 종양 환자로부터 혈장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농도를 sandwich ELISA 분석법을 이용해 측정함으로써 TGF-$\beta$1을 이 질환들에 대한 새로운 종양표지자 (tumor marker)로 사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토한 연령 및 성별에 따른 혈장 TGF-$\beta$1 농도의 정상치를 조사하였다. 신생아에서 70대까지 혈장 TGF-$\beta$1 농도의 차이는 없었고 남녀간의 차이도 없었다. 위암 환자의 혈장 TGF-$\beta$1 농도는 16.0$\pm$6.8 ng/ml (평균$\pm$표준편차)로 정상 대조군의 TGF-$\beta$1 농도 (8.3$\pm$5.0 ng/ml)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간암, 유방암 환자의 혈장 TGF-$\beta$1 농도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위암 환자 16명 ,간암 환자 8명, 유방암 환자 7명 중 각각 7명 (43.7%), 1명 (12.5%), 1명 (14.3%)에서만 혈장 TGF-$\beta$1 농도가 증가되었다. 5명의 소아 백혈병 환자에서는 관해 (remission)여부와 상관없이 혈장TGF-$\beta$1농도가 모두 정상 범위에 있었으나 2명의 소아 고형암 환자에서는 종양 절제 전에는 혈장 TGF-$\beta$1농도가 높았다가 절제 후 정상으로 떨어졌다. 결론적으로 1)정상인의 혈장 TGF-$\beta$1 농도는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2)성인 고형암인 위암, 간암, 유방암에서는 낮은 민감도로 인해 TGF-$\beta$1을 진단을 위한 선별 검사로 이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3)정상 대조군보다 혈장 TGF-$\beta$1 농도가 높았던 위 암 환자와 종양 절제 전후로 혈장 TGF-$\beta$1 농도가 민감하게 변했던 소아 고형암 환자에 대 해서는 향후 표본 수를 늘려 부가적인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삼백초, 구릿대, 천궁의 잎 향기성분 조성과 정유함량 (Essential Oil Content and Composition of Aromatic Constituents in Leaf of Saururus chinensis, Angelica dahurica and Cnidium officinale)

  • 김상국;김영효;강동균;정상환;이승필;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9-304
    • /
    • 1998
  • 본 연구는 방향성 약용작물인 삼백초, 구릿대, 천궁의 향기 성분 조성과 식물정유 함량을 조사하여 향료업과 관련된 다양한 식품첨가물 또는 향원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몇가지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삼백초의 향기성분은 22종으로 1,6-octadien-3-ol, 1, 3-benzodioxole, myristicin, ${\alpha}-cadinol$, patchouene였고 조성은 alcohol류 6종, ester류 1종, ether류 2종, hydrocarbon류 11종, ketone류 1종, fatty acid류 1종이었다. 2. 구릿대의 향기성분은 14종으로 주요 성분은 3-carene, ${\beta}-caryophyllene$, ${\beta}-cubebene$, butylated hydroxytoluene, caryophyllene oxide, piperonal이었고 조성은 alcohol류 1종, ester류 1종, ether류 1종, hydrocarbon류 10종, aldehyde류 1종이었다. 3. 천궁의 향기성분은 16종으로 주요성분은 aristolene, benzocycloheptene, ylangene, valencene, ${\beta}-cedrene$, satene, and menthofuran이었고 조성은 alcohol류 2종, ether류 1종, hydrocarbon류 12종. furan류 1종이었다. 4. 삼백초, 구릿대 및 천궁 잎의 식물정유 함량은 각각 0.987%, 0.452%, 0.439%로 삼백초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 PDF